[include(틀:부기팝 시리즈)] ||<-2>
{{{#373a3c,#dddddd '''{{{+1 부기팝은 웃지 않는다}}}''' (2019)[br]ブギーポップは笑わない[br]Boogiepop And Other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부기팝은웃지않는다2019_애니키비주얼.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373a3c,#dddddd 원작}}}''' ||[[카도노 코우헤이]] || || '''{{{#373a3c,#dddddd 원작 일러스트}}}''' ||[[오가타 코우지]] || || '''{{{#373a3c,#dddddd 감독}}}''' ||[[나츠메 신고]] || || '''{{{#373a3c,#dddddd 부감독}}}''' ||[[핫타 요스케]] || || '''{{{#373a3c,#dddddd 시리즈 구성}}}''' ||[[스즈키 토모히로]] || ||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사와다 히데히코]] || || '''{{{#373a3c,#dddddd 총 작화감독}}}''' ||[[시노 마사노리]][br]츠치야 케이(土屋 圭) || || '''{{{#373a3c,#dddddd 미술 감독}}}''' ||이케다 시게미(池田繁美)[br]마루야마 유키코(丸山由紀子) || || '''{{{#373a3c,#dddddd 색채 설계}}}''' ||하시모토 사토시(橋本 賢) || || '''{{{#373a3c,#dddddd 촬영 감독}}}''' ||[[후시하라 아카네]] || || '''{{{#373a3c,#dddddd 3D CG 감독}}}''' ||히로즈미 시게노리(廣住茂徳) || || '''{{{#373a3c,#dddddd 편집}}}''' ||키무라 카시코(木村佳史子) || || '''{{{#373a3c,#dddddd 음향 감독}}}''' ||하타 쇼지(はたしょう二) || || '''{{{#373a3c,#dddddd 음악}}}''' ||[[우시오 켄스케]] || || '''{{{#373a3c,#dddddd 음악 제작}}}''' ||[[KADOKAWA]] || || '''{{{#373a3c,#dddddd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쿠도 다이죠(工藤大丈)[br]토쿠다 나오미(徳田直巳)[br]야마다 노보루(山田 昇)[br]타카하시 마사히로(髙橋正弘)[br]시노자키 후미히코(篠崎文彦) || || '''{{{#373a3c,#dddddd 프로듀서}}}''' ||타나카 쇼(田中 翔)[br]키요세 타카오(清瀬貴央)[br]이이즈카 아야(飯塚 彩)[br]타구치 아유리(田口亜有理)[br]오가타 미츠히로(尾形光広)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후쿠시 유이치로]]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매드하우스]] || || '''{{{#373a3c,#dddddd 제작}}}''' ||부기팝은 웃지 않는다 [[제작위원회]] || || '''{{{#373a3c,#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19년 1월|2019. 01. 04.]] ~ 2019. 03. 29. || ||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AT-X]] / (금) 21:0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플러스]] / (일) 00:00 || || '''{{{#373a3c,#dddddd 스트리밍}}}''' ||[[애니플러스]] [[https://aniplustv.com/items/2116|▶]][br][[Laftel]] [[https://laftel.net/item/39077|▶]][br][[네이버 시리즈온]] [[https://serieson.naver.com/v2/broadcasting/356876|▶]]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24분 || || '''{{{#373a3c,#dddddd 화수}}}''' ||18화 || || '''{{{#373a3c,#dddddd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ffffff 19세 이상 시청가}}}]] {{{-2 {{{#ffffff (폭력성)}}}}}} || || '''{{{#373a3c,#dddddd 관련 사이트}}}''' ||[[http://boogiepop-anime.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oogiepop_anime)]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카도노 코우헤이]]의 소설 [[부기팝 시리즈]]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나츠메 신고]], 제작사는 2000년판 애니메이션인 [[부기팝은 웃지 않는다 Boogiepop Phantom]]을 제작했던 [[매드하우스]]. 전체적으로 [[ACCA 13구 감찰과/애니메이션|ACCA 13구 감찰과]]를 담당했던 주요 스태프들이 거의 다시 뭉친 모양새를 취하고 있다.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19년 1월|2019년 1월]]. 앞서 애니화된 [[부기팝은 웃지 않는다 Boogiepop Phantom]]이 원작과 다른 내용이었던 것과 달리 이 애니메이션은 원작의 시나리오를 따라가는 형식으로 애니화되었다. == 공개 정보 == 꽤 오랜 시간이 흘려 2018년에 돼서야 [[http://dengekionline.com/elem/000/001/692/1692774/|발표]]되었다. 꽤 오랜 시간 원작대로 애니화 해달라는 의향이 많았던 작품이라 좋아하는 사람도 있었고 왜 이제와서 하냐는 반응도 있었다. 제작은 프로듀서 타나카 쇼(田中 翔)가 이 작품의 팬이라 추진했다고 한다. 학생 때 좋아했는데 20년 뒤에 서점에서 우연히 속편을 보고 "아직도 연재하고 있었다니." 하는 생각이 들었고 원작대로 애니메이션을 만들고 싶어졌다고'PASH! PLUS'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성우진은 [[미야시타 토우카]]/[[부기팝]]이 [[유우키 아오이]], [[키리마 나기]]가 [[오오니시 사오리]]로 바뀌는 등을 포함해 Boogiepop Phantom에서 완전히 갈렸다. 원작자 카도노가 현재 발매된 22권 중 어떤 에피소드를 영상화할 것이냐고 묻자 '웃지 않는다' 시리즈의 1권부터라는 얘기를 꺼냈고, 최종적으로는 대표적인 에피소드를 영상화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이렇게 돼서 1화부터 3화까지는 1권인 '[[부기팝은 웃지 않는다]]'를 바탕으로 진행되었지만, 1화는 사이의 에피소드를 날려 갑작스럽게 종반의 전개가 나오고 중간 내용은 2화와 3화에서 풀어가는 구성이 되었다. 이번 애니판은 19년 전 애니판과 달리 원작 소설 내용을 베이스로 1권부터 차례로 전개된다. 캐릭터의 경우 부기팝의 로브[* 이 경우도 원작에서 묘사되던 체인이나 기타 장신구 등이 대부분 생략되었다.]나 [[키리마 나기]]의 라이더 슈츠 정도를 제외하면 원작의 삽화와는 판이하게 다른 디자인이 되었다. 이에 관해 잠시 트러블이 생기기도 했는데, 자세한 것은 논란 항목에서 후술. 7화에 등장한 라이브 하우스는 [[신주쿠]]에 있는 라이브하우스 로프트(ライブハウス・ロフト)를 모델로 삼고있다. 한국에서는 2000년판을 방영한 [[투니버스]]가 일본 애니메이션 방영을 사실상 포기했고, 2011년 어린이 예능 채널로 완전히 전향하면서 더 이상 19세 이상 시청가 등급의 애니메이션을 방영하지 않겠다고 선언함[* 말이 19세 이상만이지 현재 투니버스는 코난과 짱구를 제외한 모든 일본 애니메이션을 손절한 상태다. 심지어 보루토마저도 방영을 포기했다.]에 따라 애니플러스에서 동시방영만 되었다. 미국에서는 [[퍼니메이션]]에 의해, 한국과는 달리 더빙으로도 방영되었다.[[https://en.m.wikipedia.org/wiki/List_of_Boogiepop_characters|#]] 일본 애니메이션에서는 이례적으로 '''18화 배정에, 1쿨(3개월) 완결 애니'''이다.[* 16~18화 구성의 애니는 2010년대 중반 이후로 간간히 나오고 있지만,(ex)[[나가토 유키짱의 소실/애니메이션|나가토 유키짱의 소실]], [[Dies irae(게임)/애니메이션|Dies irae]], [[살육의 천사/애니메이션|살육의 천사]], [[아이돌리쉬 세븐(애니메이션 1기)|아이돌리쉬 세븐]] 등) 한 쿨(3개월) 내에 전부 방영하기보다 남는 에피소드는 방영 포맷을 변경하거나, 추후 다른 시기를 잡아 따로 방영하는 등의 형식을 취했다.] 그러다 보니 1주에 여러 화가 연달아 나오기도 한다.[* 1, 2화 / 9~13화가 1주에 연달아 나왔다.] 이는 원작 5권에 해당하는 왜곡왕까지인데, 마침 작가가 원래 구상했던 완결편이기도 하다. ===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ReGOM4liVPs, width=100%)]}}} || || '''PV 제1탄'''[* 2018년 8월 10일 공개.] || 팬서비스격 영상이었는지 마지막 만티코어 확인사살 장면 빼고는 본편에 사용되지 않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yKwalYCVJZg, width=100%)]}}} || || '''PV 제2탄'''[* 2018년 11월 30일 공개.] || == 줄거리 == >"너는 꿈을, 미래를 생각할 수 있니? 아쉽지만 난 그럴 수 없어." > >"나는 자동적이야. 기분 나쁜 거품이란 뜻이지." > > >세상의 적이 감지되면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거품, 부기팝. > >떠오른 바로 그때, 무엇인가 일어난다. [* [[http://www.aniplustv.com/main.asp#/tv/program_view.asp?gCode=TV&sCode=010&contentSerial=2116|출처]] ] == 등장인물 == ||첫등장 기준 || === 주연 === * '''[[부기팝]]''' / '''[[미야시타 토우카]]''' {{{-1 - 성우: [[유우키 아오이]]/[[미셸 로하스]]}}} || [[파일:부기팝_미야시타 토우카.png|width=400]] || [[파일:부기팝_미야시타 토우카_2.png|width=400]] || || 본편 || [[새벽의 부기팝|중학 시절]] || * '''[[키리마 나기]]''' {{{-1 - 성우: [[오오니시 사오리]]/[[모건 개릿]]}}} || [[파일:키리마 나기.png|width=500]] || [[파일:키리마 나기_2.png|width=300]] || || 본편 || [[새벽의 부기팝|중학 시절]] || * '''[[미나호시 스이코]]''' {{{-1 - 성우: [[하나자와 카나]]/[[브린 애프릴]]}}} || [[파일:미나호시 스이코.png|width=400]] || [[파일:미나호시 스이코_2.png|width=400]] || || [[부기팝 리턴즈 VS 이미지네이터 PART1|본편]] || [[새벽의 부기팝|중학 시절]] || === 부기팝은 웃지 않는다 === * '''[[스에마 카즈코]]''' {{{-1 - 성우: [[콘도 레이나]]/[[나탈리 후버]]}}} || [[파일:스에마 카즈코.png|width=400]] || [[파일:스에마 카즈코_2.png|width=400]] || || 본편 || 중학 시절 || * '''[[타케다 케이지]]''' {{{-1 - 성우: [[코바야시 치아키]]/[[매트 시프먼]]}}} [[파일:타케다 케이지.png]] * '''[[니이토키 케이]]''' {{{-1 - 성우: [[시모지 시노]]/[[질 해리스]]}}} [[파일:니이토키 케이.png]] * '''[[카미키시로 나오코]]''' {{{-1 - 성우: [[스와 아야카]]/[[스카일러 매킨토시]]}}} || [[파일:카미키시로 나오코.png|width=400]] || [[파일:카미키시로 나오코_2.png|width=400]] || || 본편 || 중학 시절 || * '''[[사오토메 마사미]]''' {{{-1 - 성우: [[에노키 쥰야]]/[[스테판 푸]]}}} [[파일:사오토메 마사미.png]] * '''[[다나카 시로]]''' {{{-1 - 성우: [[이치카와 아오이]]/[[댈러스 레이드]]}}} [[파일:다나카 시로.png]] * '''[[유리하라 미나코]]''' {{{-1 - 성우: [[타케타츠 아야나]]}}} [[파일:유리하라 미나코.png]] * '''[[에코즈#s-3]]''' {{{-1 - 성우: [[미야타 코우키]]}}} [[파일:에코즈.png]] === VS 이미지네이터 === * '''[[타니구치 마사키]]''' {{{-1 - 성우: [[야시로 타쿠]]}}} [[파일:타니구치 마사키.png]] * '''[[오리하타 아야]]''' {{{-1 - 성우: [[이치노세 카나]]}}} [[파일:오리하타 아야.png]] * '''[[아스카이 진]]''' {{{-1 - 성우: [[호소야 요시마사]]}}} [[파일:아스카이 진.png]] * '''아노 신지로''' {{{-1 - 성우: [[하세가와 요시아키]]}}} [[파일:아노 신지로.png]] * '''키누카와 코토에''' {{{-1 - 성우: [[아스미 카나]]/[[말로리 로닥]]}}} [[파일:키누카와 코토에.png]] * '''[[스푸키 일렉트릭]]''' {{{-1 - 성우: [[우에다 요우지]]}}} [[파일:스푸키 일렉트릭.png]] === 새벽의 부기팝 === * '''[[키스기 마키코]]''' {{{-1 - 성우: [[키노시타 사야카]]}}} [[파일:키스기 마키코.png]] * '''[[쿠로다 신페이]]''' {{{-1 - 성우: [[미야우치 아츠시]]}}} [[파일:쿠로다 신페이.png]] * '''[[피죤]]''' {{{-1 - 성우: [[카쿠마 아이]]}}} [[파일:피죤.png]] * '''[[사사키 마사노리]]''' {{{-1 - 성우: [[사카구치 슈헤이]]}}} [[파일:사사키 마사노리.png]] * '''[[키리마 세이이치]]''' {{{-1 - 성우: [[카와다 신지]]}}} [[파일:키리마 세이이치.png]] === 오버드라이브 왜곡왕 === * '''[[사카키바라 겐]]''' {{{-1 - 성우: [[타케우치 료타]]}}} [[파일:사카키바라 겐.png]] * '''[[테라츠키 쿄이치로]]''' {{{-1 - 성우: [[오오카와 토오루]]}}} [[파일:테라츠키 쿄이치로.png]] * '''[[하바라 켄타로]]''' {{{-1 - 성우: [[무라이 유지]]}}} [[파일:하바라 켄타로.png]] * '''[[하시자카 마코토]]''' {{{-1 - 성우: [[나이토 아미]]}}} [[파일:하시자카 마코토.png]] * '''[[하시자카 시즈카]]''' {{{-1 - 성우: [[스기야마 리호]]}}} [[파일:하시자카 시즈카.png]] * '''[[미치모토 사키코]]''' {{{-1 - 성우: [[츠다 미나미]]/[[크리스티나 켈리]]}}} [[파일:미치모토 사키코.png]] * '''[[히나코]]''' {{{-1 - 성우: [[아카사키 치나츠]]}}} [[파일:히나코.png]] == 설정 == [[부기팝 시리즈#s-3|해당 문서]] 참고. == 음악 == === 주제가 === ==== OP ==== ||<-2>
'''{{{#373a3c,#dddddd OP[br]shadowgraph}}}'''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kakaotv(400839536,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epz9O3OStZM, width=100%)]}}} || ||<-2> '''{{{#373a3c,#dddddd MV ver.}}}''' || || '''노래''' ||<|4> [[MYTH & ROID]] || || '''작사'''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김세준(애니메이터)|김세준]] || || '''연출''' || || '''작화감독''' || [[사와다 히데히코]]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ED ==== ||<-2>
'''{{{#373a3c,#dddddd ED[br]Whiteou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kakaotv(400839539,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BYQYf7CjmQ, width=100%)]}}} || ||<-2> '''{{{#373a3c,#dddddd MV ver.}}}''' || || '''노래''' || 아즈나 리코(安月名莉子) || || '''작사''' ||<|2> 봉주르 스즈키(ボンジュール鈴木) || || '''작곡''' || || '''편곡''' || 스즈키 Daichi 히데유키(鈴木Daichi秀行)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3> [[사이토 케이이치로]] || || '''연출''' || || '''작화'''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삽입곡 === ||<-2>
'''{{{#373a3c,#dddddd 9화 ED[br]Sayonar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아즈나 리코(安月名莉子) || || '''작사''' ||<|2> [[히게드라이버]] || || '''작곡''' || || '''편곡''' || 시노자키 아야토(篠崎あやと)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회차 목록 == * 본방송에서는 각 에피소드별 제목이 표시되지 않으며, 공식 홈페이지에서만 기재되어 있다. * 전화 각본: [[스즈키 토모히로]] ||
'''회차''' ||<-2> '''에피소드'''[*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 {{{-1 제1화}}} ||<|3> {{{-1 ブギーポップは笑わない[br]부기팝은 웃지 않는다}}} || {{{-1 1}}} ||<-2> {{{-1 [[나츠메 신고]]}}} || {{{-1 [[시노 마사노리]]}}} ||<|2> - || {{{-1 日: 2019.01.04.[br]韓: 2019.01.06.}}} || || {{{-1 제2화}}} || {{{-1 2}}} ||<-2> {{{-1 [[시게하라 카츠야]]}}} || {{{-1 츠치야 케이[br](土屋 圭)}}} || {{{-1 日: 2019.01.04.[br]韓: 2019.01.07.}}} || || {{{-1 제3화}}} || {{{-1 3}}} || {{{-1 나츠메 신고}}} || {{{-1 [[핫타 요스케]]}}} || {{{-1 [[나가사카 케이타]]}}} || {{{-1 시노 마사노리}}} || {{{-1 日: 2019.01.11.[br]韓: 2019.01.13.}}} || || {{{-1 제4화}}} ||<|6> {{{-1 VSイマジネーター[br]VS 이미지네이터}}} || {{{-1 1}}} ||<|3> {{{-1 [[카와지리 요시아키]]}}} || {{{-1 카와노 아사미[br](川野麻美)}}} || {{{-1 [[김세준(애니메이터)|김세준]]}}} || {{{-1 츠치야 케이}}} || {{{-1 日: 2019.01.18.[br]韓: 2019.01.20.}}} || || {{{-1 제5화}}} || {{{-1 2}}} || {{{-1 마타노 히로미치[br](又野弘道)}}} || {{{-1 코야마 토모히로[br](小山知洋)}}} || {{{-1 시노 마사노리}}} || {{{-1 日: 2019.01.25.[br]韓: 2019.01.27.}}} || || {{{-1 제6화}}} || {{{-1 3}}} || {{{-1 노가미 카즈오[br](のがみかずお)}}} || {{{-1 마츠모토 준페이[br](松本純平)[br][[아오노 아츠시]][br]시가 미치노리[br](志賀道徳)}}} || {{{-1 츠치야 케이}}} || {{{-1 日: 2019.02.01.[br]韓: 2019.02.03.}}} || || {{{-1 제7화}}} || {{{-1 4}}} ||<-2> {{{-1 [[사이토 케이이치로]]}}} || {{{-1 [[하라시나 다이키]]}}} || {{{-1 시노 마사노리}}} || {{{-1 日: 2019.02.08.[br]韓: 2019.02.10.}}} || || {{{-1 제8화}}} || {{{-1 5}}} ||<-2> {{{-1 시게하라 카츠야}}} || {{{-1 니시카와 치히로[br](西川千尋)}}} || {{{-1 츠치야 케이}}} || {{{-1 日: 2019.02.15.[br]韓: 2019.02.17.}}} || || {{{-1 제9화}}} || {{{-1 6}}} ||<-2> {{{-1 핫타 요스케}}} || {{{-1 나가사카 케이타[br]이마무라 타이키[br](今村大樹)}}} || {{{-1 시노 마사노리}}} || {{{-1 日: 2019.02.22.[br]韓: 2019.02.25.}}} || || {{{-1 제10화}}} ||<|4> {{{-1 夜明けのブギーポップ[br]새벽의 부기팝}}} || {{{-1 1}}} || {{{-1 [[쿠가이 노리후미]]}}} || {{{-1 시게하라 카츠야}}} || {{{-1 쿠가이 노리후미}}} || {{{-1 츠치야 케이}}} || {{{-1 日: 2019.02.23.[br]韓: 2019.02.26.}}} || || {{{-1 제11화}}} || {{{-1 2}}} || {{{-1 [[나카조노 마코토]]}}} || {{{-1 박명환}}} || {{{-1 이관우[br]민현숙[br]유승희[br]이정훈}}} || {{{-1 시노 마사노리}}} || {{{-1 日: 2019.02.23.[br]韓: 2019.02.26.}}} || || {{{-1 제12화}}} || {{{-1 3}}} || {{{-1 카와노 아사미[br]핫타 요스케}}} || {{{-1 노가미 카즈오}}} || {{{-1 마츠모토 준페이[br]아오노 아츠시[br]시가 미치노리[br]하시모토 코이치[br](橋本浩一)}}} || {{{-1 츠치야 케이}}} || {{{-1 日: 2019.02.23.[br]韓: 2019.03.04.}}} || || {{{-1 제13화}}} || {{{-1 4}}} ||<-2> {{{-1 사이토 케이이치로}}} || {{{-1 하라시나 다이키}}} || {{{-1 시노 마사노리}}} || {{{-1 日: 2019.02.23.[br]韓: 2019.03.04.}}} || || {{{-1 제14화}}} ||<|5> {{{-1 オーバードライブ 歪曲王[br]오버드라이브 왜곡왕}}} || {{{-1 1}}} ||<|2> {{{-1 카와지리 요시아키}}} || {{{-1 카와노 아사미}}} || {{{-1 김세준}}} || {{{-1 츠치야 케이}}} || {{{-1 日: 2019.03.01.[br]韓: 2019.03.05.}}} || || {{{-1 제15화}}} || {{{-1 2}}} || {{{-1 박명환[br]이시가오카 노리카즈[br](石郷岡範和)}}} || {{{-1 유승희[br]이관우[br]민현숙}}} || {{{-1 시노 마사노리}}} || {{{-1 日: 2019.03.08.[br]韓: 2019.03.10.}}} || || {{{-1 제16화}}} || {{{-1 3}}} ||<-2> {{{-1 나카조노 마코토}}} || {{{-1 [[한다 슈헤이]]}}} || {{{-1 츠치야 케이}}} || {{{-1 日: 2019.03.15.[br]韓: 2019.03.17.}}} || || {{{-1 제17화}}} || {{{-1 4}}} ||<-2> {{{-1 시게하라 카츠야}}} || {{{-1 하라시나 다이키}}} || {{{-1 시노 마사노리}}} || {{{-1 日: 2019.03.22.[br]韓: 2019.03.24.}}} || || {{{-1 제18화}}} || {{{-1 5}}} ||<-2> {{{-1 핫타 요스케}}} || {{{-1 나가사카 케이타}}} || {{{-1 츠치야 케이}}} || {{{-1 日: 2019.03.29.[br]韓: 2019.03.31.}}} || == 각 화 참여 원화 애니메이터 == 감독 [[나츠메 신고]] 및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후쿠시 유이치로]]의 인맥이 총동원 되어 실력있는 원화 애니메이터가 많이 참가한 작품이며, 그래서 작화를 볼 때 [[작화감독]]만 따져서는 안 되는 작품이다. 다만 일부 에피소드는 그로스 하청이 들어갔으며, 해당 에피소드는 기재하지 않는다. 콘티, 연출, 작화감독은 회차 목록 참조. * 1화 - [[카메자와 란]], [[쿠가이 노리후미]], [[사이토 케이이치로]], [[나가사카 케이타]], [[나가사와 레이코]], [[하라시나 다이키]], [[이카라시 카이]], [[에노키도 슌]], [[나카노 사토시|와시오]] 등 * 2화 - [[카메자와 란]], [[나가사와 레이코]], 아다치 유스케(安達祐輔), 사토 미치오(佐藤道雄), 마에다 요시히로(前田義宏), 마스다 토시히코(増田敏彦) 등 * 3화 - [[사토 토시유키]], [[토다 마이]], [[하라시나 다이키]], [[이스타(애니메이터)|이스타]], 미미우라 토모아키(耳浦朋彰), [[와타나베 케이이치로]] 등 * 4화 - [[김세준(애니메이터)|김세준]], [[나가사와 레이코]], [[나가하라 케이타]] 등 * 5화 - 사토 미치오 등 * 7화 - [[카메자와 란]], [[카리야 노부히데]], [[쿠가이 노리후미]], [[사이토 케이이치로]], [[사토 토시유키]], [[나가사와 레이코]], [[하라시나 다이키]], [[시카마 타카히로]], [[치나(애니메이터)|치나]], [[야마다 유케이]] 등 * 8화 - [[시노다 토모히로]], 요시카와 신이치(吉川真一), 아다치 유스케 등 * 9화 - [[토다 마이]], [[나가사와 레이코]] 등 * 10화 - [[한다 슈헤이]], [[사토 토시유키]], [[후지사와 켄이치]], [[카메자와 란]], [[에노키도 슌]], [[나가사와 레이코]], [[토다 마이]], [[와타나베 케이이치로]], [[나가하라 케이타]] 등 * 13화 - [[카리야 노부히데]], [[사이토 케이이치로]], [[사토 토시유키]], [[하라시나 다이키]], [[미노와 유타카]], [[이스타(애니메이터)|이스타]], [[사카즈메 타카히토]] 등 * 14화 - [[나가사와 레이코]], 마에다 요시히로, [[쿠가이 노리후미]] 등 * 16화 - [[사토 토시유키]], [[미키 타츠야]], [[오가사와라 신]], [[아메미야 아키라]], [[토다 마이]], [[스테]], [[스도 아키히토|카센]][* 애니메이터 [[스도 아키히토]]의 필명.], [[나가사카 케이타]] 등 * 17화 - [[카메자와 란]], [[카리야 노부히데]], [[사이토 케이이치로]], [[나가하라 케이타]], [[와타나베 케이이치로]], 아다치 유스케, [[사와다 히데히코]] 등 * 18화 - [[아오야마 히로유키]], [[에노키도 슌]], [[카메자와 란]], [[쿠가이 노리후미]], [[사이토 케이이치로]], [[사와다 히데히코]], [[토다 마이]], [[나가사와 레이코]], [[나가하라 케이타]], [[나카노 사토시|와시오]] 등 == 평가 == 원작이 첫 발매된지 20여년이 지나 이루어지는 애니화인만큼 이에 맞추어 현대적으로 각색된 부분이 많으며[* 마찬가지로 원작 발매 후 한참이 지나 애니화된 사례인 [[기생수(애니메이션)|기생수]], [[바나나 피쉬/애니메이션|바나나 피쉬]] 등도 이런 식의 각색을 거쳤다. 시대상이나 분위기까지 거의 그대로 재현한 [[죠죠의 기묘한 모험 The Animation|죠죠의 기묘한 모험]]은 또다른 케이스.], 처음에는 시청자가 이야기에 따라오기 쉽도록 특정 주인공을 마련하자는 이야기도 있었지만 그렇게 하면 더이상 '부기팝'이 아니게 된다는 지적을 받고 원작대로 다수의 등장인물의 시점에서 구성되는 스타일이 채택되었다. 또한 감독은 공포감을 연출하기 위해 대화 템포가 매우 천천히 흘러가게 했다고 한다. 그렇다고는 해도 [[serial experiments lain]]의 연출을 강하게 의식했던 [[부기팝은 웃지 않는다 Boogiepop Phantom|부기팝 팬텀]]의 세기말 스타일의 음울하고 칙칙한 분위기까지 그대로 재현하는 수준은 아니다. 전반적으로 치밀한 군상극 서사를 보여준다. 스토리가 중요한 애니인데도, 웬만한 액션 애니들보다 액션 퀄리티가 좋은데, 엄청난 스피드의 초인들끼리의 액션도 있고, 싸움 잘하는 인간 캐릭터들의 현실적이고 역동적인 [[종합격투기]] 액션도 선보인다.[* [[MMA]]기술 고증이 좋다.] === 논란 === 2018년 3월 24일에 [[오가타 코우지]]가 스태프 크레딧에 '캐릭터 원안'이 아닌 '원작 일러스트'로 이름이 올라와있는 것을 처음으로 알게 되었고, 자기는 한 번도 본 적 없는 이미지가 상단의 공식 키비주얼이 되어 있다면서 자신한테 한 번도 연락을 주지 않은 애니메이션 공식 측에게 [[http://news.livedoor.com/article/detail/14467848/|분노]]한 적이 있었다.[* 정황상 오가타는 새로 애니메이션화 된다는 사실은 알고 있었으나, 오가타의 원안이 아닌 새로운 캐릭터 디자인을 사용한다는 정보가 사전에 오가타에게 전달되지 않았고, 이를 알게 된 오가타가 공식 측에 DM으로 해결하자고 말했으나 이를 무시하자 폭발한 것으로 추정된다.] 결국 5월 28일, KADOKAWA와 오가타 코우지, 양측이 사과문을 내면서 일단락 되었다.([[http://boogiepop-anime.com/news/|#]]) 이 사건의 영향 때문인지, 본래 2018년에 방영 예정이었으나, [[애니메이션/2019년 1월|2019년 1월]]로 방영 시기가 늦춰졌다. == 방송국 일람 == ||
'''방영시각''' || '''방송국''' || '''대상 지역''' || '''비고''' || ||<-4> '''일본''' || ||금요일 21:00 ||[[AT-X]] ||일본 전역 ||CS위성중계, 재방송 || ||금요일 22:30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TOKYO MX]] ||도쿄 도 || || ||토요일 03:05 ||TV아이치 ||아이치 현 || || ||토요일 00:30 ||KBS교토 ||교토 부 || || ||토요일 00:30 ||[[선 텔레비전]] ||효고 현 || || ||금요일 23:00 ||BS11 ||일본 전역 ||ANIME+ 프로그램에서 방영 || ||<-4> '''한국''' || ||일요일 00:00 ||[[애니플러스]] ||한국 전역 || || == 기타 == * 첫 방송은 1시간 특별 편성으로 1, 2화가 연속으로 방영된다. 한국의 경우, 애니플러스에서는 하루 차이를 둬서 1화는 1월 6일 자정, 2화는 1월 7일 자정에 방영된다. * 방영 전 제작진 인터뷰 [[http://www.pashplus.jp/interview/122930/|링크]] * 방송 기념으로 하여 스페셜 기획을 진행하고 있다. [[http://www.madhouse.co.jp/special/boogiepop/|링크]] 1회 - 캐릭터 설정[* 선화][* 부기팝은 웃지 않는다] 소개 [[https://twitter.com/Madhouse_News/status/1081149959804641280|트위터]] 2회 - 미술 설정[* 학교] 소개 [[https://twitter.com/Madhouse_News/status/1083661406627540993|트위터]] 3회 - 캐릭터 설정[* 선화] 소개 Part2[* VS 이미지네이터] [[https://twitter.com/Madhouse_News/status/1086159439441256448|트위터]] 4회 - OP의 3가지 소재[* 그림 콘티, 작화 소재, 선촬 영화] 소개[[https://twitter.com/Madhouse_News/status/1088704104329707525|트위터1[* 그림콘티]]][[https://twitter.com/Madhouse_News/status/1088704639216771073|트위터2[* 작화 소재]]][[https://twitter.com/Madhouse_News/status/1088705384502575109|트위터3[* 선촬 영화]]] 5회 - ED 소개[[https://twitter.com/Madhouse_News/status/1091231569577013248|트위터]] 6회 - 7화 설정[* 회상 설정 · 게스트 캐릭터 설정 · 미술 보드] 소개[[https://twitter.com/Madhouse_News/status/1093770573753118722|트위터]] 7회 - 의상 설정[* VS이미지네이터 등장인물 위주] 소개[[https://twitter.com/Madhouse_News/status/1096306164302630912|트위터]] 8회 - 데포르메 캐릭터 소개[[https://twitter.com/Madhouse_News/status/1098862838376914944|트위터]] 9회 - 캐릭터 설정[* 선화] 소개 Part3[* 새벽의 부기팝] [[https://twitter.com/Madhouse_News/status/1099205360689139712|트위터]] 10회 - 캐릭터 설정[* 선화] 소개 Part4[* 오버드라이브 왜곡왕] [[https://twitter.com/Madhouse_News/status/1101383254534283265|트위터]] 11회 - 미술 보드[* 왜곡왕 편의 문템플] 소개 [[https://twitter.com/Madhouse_News/status/1103918836313600000|트위터]] 12회 - 조라기 설정 소개[[https://twitter.com/Madhouse_News/status/1106454271204028416|트위터]] * 2019년 3월 27일에 블루레이 1권[* 1~3화]이 발매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부기팝 시리즈/애니메이션, version=175, paragraph=2)] [[분류:부기팝 시리즈]][[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매드하우스]][[분류:2019년 1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라이트 노벨 원작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