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동아프리카의 통화)] [[룬디어]]: Y'Amafaranga Y'Amarundi / [[프랑스어]]: Franc Burundais [[파일:Bank_of_the_Republic_of_Burundi_(emblem).png|align=right&width=200]] [목차] == 개요 == 부룬디 프랑은 [[부룬디]]의 통화이다. ISO 4217 부호는 BIF, 기호는 FBu. 비록 1 프랑은 100 "상팀"(centimes)으로 나뉘기는 하나, 부룬디가 독자적인 프랑을 발행한 뒤 상팀 동전은 발행되지 않는다. 부룬디가 벨기에령 콩고 프랑을 사용한 기간 동안만 상팀 동전이 발행되었다. 인플레이션은 2007년 기준으로, 7% 이다. == 환전 == 2022년 12월 6일 기준 이 나라의 지폐를 갖고 있다면 [[KEB하나은행]]의 비고시 추심이 가능한 통화가 아니라서 처분 방법이 없다. 반대의 경우 다음 통화로 환전이 가능하다. [[https://www.bancobu.com/index.php/cours-de-change|BANCOBU은행 환율창]] * 아메리카: 미국 달러 * 아프리카: 지부티 프랑, 케냐 실링, 남아공 랜드, 르완다 프랑, 우간다 실링, 탄자니아 실링 * 유럽: 유럽 유로, 영국 파운드[* 잉글랜드 발행권만 가능], 스웨덴 크로나, 덴마크 크로네, 노르웨이 크로네 * 오세아니아: 호주 달러 * 아시아: 일본 엔 == 지폐 == === 1차 === 이전의 [[부룬디 왕국]]에서 발행된 지폐의 국호를 공화국으로 수정한 형태. === 2차 === ||||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부룬디 프랑/burundi00.jpg|width=100%]] || 10FBu || [[부줌부라]] 혁명 기념비 ||<|3> 국가 표어 || || [[파일:attachment/부룬디 프랑/burundi03.jpg|width=100%]] || 50FBu || 은고마(전통 북) 연주자 || || [[파일:attachment/부룬디 프랑/burundi04.jpg|width=100%]] || 100FBu || [[루이 르와가소레]], 독립기념비 || || [[파일:attachment/부룬디 프랑/burundi05.jpg|width=100%]] || 500FBu || 구 부룬디은행 || 국장 || || [[파일:attachment/부룬디 프랑/burundi06.jpg|width=100%]] || 1,000FBu || 넓은꼬리천연조 || 큰뿔소 무리 || || [[파일:attachment/부룬디 프랑/burundi07.jpg|width=100%]] || 5,000FBu || 미셸 미촘베로[* 초대 대통령] || 선박에 컨테이너 싣기 || === 3차 === ||||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부룬디 프랑/burundi01.jpg|width=100%]] || 10FBu || 부룬디 지도와 국장 ||<|2> 국가 표어 || || [[파일:attachment/부룬디 프랑/burundi02.jpg|width=100%]] || 20FBu || 전통춤 추는 전사 || || [[파일:attachment/부룬디 프랑/burundi08.jpg|width=100%]] || 50FBu || 전통 덕아웃 카누 || 고기잡이 준비, 하마 || || [[파일:attachment/부룬디 프랑/burundi09.jpg|width=100%]] || 100FBu || '''전판과 동일''' || 새 집 짓는 사람들 || || [[파일:attachment/부룬디 프랑/burundi10.jpg|width=100%]] || 500FBu || [[멜키오르 은다다예]](구권)[br]한 부룬디 화가의 그림(신권)[* 옆의 도안은 신권.] || 부룬디 은행 건물 || || [[파일:Burundi old 1000 Francs.jpg|width=100%]] || 1,000FBu || 여러가지 소들과 커피 열매 || 국가 통합 기념비 || || [[파일:Burundi old 2000 Francs.jpg|width=100%]] || 2,000FBu || 차 수확 || [[탕가니카 호]] || || [[파일:Burundi old 5000 Francs.jpg|width=100%]] || 5,000FBu || 정부 청사 || [[부줌부라]] 항 || || [[파일:Burundi old 10000 Francs.jpg|width=100%]] || 10,000FBu || [[멜키오르 은다다예]]와 [[루이 르와가소레]] || 공부하는 학생들[* 본래 미국의 사진작가 켈리 퍼잭(Kelly Fajack)이 2002년 경 아프리카 활동시 찍은 사진으로 부룬디 측이 '''무단으로''' 사용한 것이다. 이 사실이 알려지기까지 발행 후 2년간 켈리 본인은 그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었다고 한다. 결국 개정되면서 해당 이미지는 강판되었다.] || * 100프랑권은 아직 동전이 나오지 않아서 유일하게 통용을 허용하고 있다. 나머저는 모두 통용 금지. === 4차(현행권) === |||| || 앞면 || 뒷면 || || [[파일:Burundi 500 Francs.jpg|width=100%]] || 500FBu || 커피열매, [[악어]] || 부룬디 지도와 전통 어선 || || [[파일:Burundi 1000 Francs.jpg|width=100%]] || 1,000FBu || 소, 넓은꼬리천연조 || 부룬디 지도와 바나나나무 || || [[파일:Burundi 2000 Francs.jpg|width=100%]] || 2,000FBu || [[파인애플]], [[영양(동물)|영양]] || 부룬디 지도와 차 수확하는 농부 || || [[파일:Burundi_BRB_5000_francs_2022.11.07_B244a_PNL_AB_0123456_digital_f-1536x769.jpg|width=100%]] || 5,000FBu || 전통 춤, [[아프리카물소]] || 부룬디 지도와 키바라 국립공원 || || [[파일:Burundi_BRB_10000_francs_2022.11.07_B245a_PNL_AB_0123456_digital_f-1536x768.jpg|width=100%]] || 10,000FBu || [[멜키오르 은다다예]]와 [[루이 르와가소레]], 하마 || 부룬디 지도와 열대 식물 || 2023년 6월 7일 갑작스레 고액권 2종의 색깔을 바꾼 신권을 발행했다.[* 5,000프랑 청색▶회색 / 10,000프랑 금색▶적색] 동시에 10일 후인 6월 16일까지만 기존 구권의 계좌 입금을 받아주고 이후로 전면 폐기할 것을 발표했는데, 시중에 고액권이 잘 유통되지 않는 현상이 일부 계층의 탈세용 지하자금 사재기로 인해서라는 정부의 판단이 있었기 때문. 그래서인지 현금 장롱 쌓아두기 방지의 목적으로 교환이 아닌 입금으로 제한한 것으로 추측된다. == 주화 == [[파일:Burundi 1-50 Francs, 1976-2013, KM 19-22, Mint.jpg]] 1, 5, 10, 50프랑 4종 [[분류:부룬디의 경제]][[분류:통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