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부리올레스테스}}}[br]Buriolestes}}}''' || ||<-2> [[파일:Foto_do_bloco_com_o_buriolestes_Foto_Flavio_Lopes_(Ufrgs).jpg|width=100%]] || ||<#F93> '''학명''' || ''' ''Buriolestes schultzi'' '''[br]Cabreira ''et al'', 2016 || ||<-2><#F96> '''분류''' || ||<#FC6>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FC6>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FC6> {{{#000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FC6>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용반목]]^^Saurischia^^|| ||<#FC6> '''아목''' ||†용각아목^^Sauropodomorpha^^ || ||<#FC6>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부리올레스테스속^^''Buriolestes''^^'''||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 * †부리올레스테스 스쿨트지(''B. schultzi'')^^{{{-1 [[모식종]]}}}^^|| [[파일:440px-Buriolestes_schultzi_restoration.png|width=575]] 복원도 [[파일:buriolestes.png|width=575]] 골격도 [목차] [clearfix] == 개요 ==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후기 [[남아메리카]]에 살았던 '''육식성''' 초기 [[용각류]] [[공룡]]. 속명은 '부리올(Buriol)의 도둑'이라는 뜻으로, 화석이 발견된 [[브라질]] 남부 부히올 협곡의 이름을 따와 붙인 것이다. 정확한 화석 산지의 이름은 히우그란지두술 주의 파라나(Paraná) 분지 산타마리아 층(Santa Maria Formation). == 연구사 == [[파일:Buriolestes_teeth.jpg|width=500]] 상단의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육식성 수각류와 유사한 형태의 이빨과 턱을 갖고 있어 육식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기에 얼핏 보면 [[수각류]] 공룡으로 오인할 수도 있겠지만, 엄연히 초기 용각류 중 하나로 근연종인 [[테코돈토사우루스]]와 가장 비슷하게 생겼다. 이 부리올레스테스 역시 수각류와 용각류의 공통조상이 2족보행을 하던 작은 육식공룡 혹은 잡식공룡이였다는 것을 나타내기도 한다. [[파일:Buriolestes-schultzi.jpg|width=500]] [[2020년]] [[11월 4일]]에 출간된 한 잡지에 의하면 고생물학자들이 이 공룡의 '''뇌구조를 복원하였다고 한다!''' [[https://scitechdaily.com/complete-brain-of-one-of-the-oldest-dinosaurs-reconstructed-for-the-first-time/|링크]] 이 뇌구조에 의하면 부리올레스테스는 후각보다 시각이 발달하여 동물들을 사냥하는 데에 특화되었다고 한다. 또한 뇌 자체의 크기가 후대의 [[용각류]]들의 뇌보다 훨씬 더 크다는 점 역시 신기한 부분이다. == 기타 == 여담으로 이 공룡의 화석 옆에 라게르페톤과(Lagerpetidae)의 작은 조룡류 익사레르페톤(''Ixalerpeton'') 2마리의 화석도 묻혀 있었다고 한다. 또한 이 공룡을 저술한 논문의 대표 저자 세르기오 후르타도 카브레이라 박사(Dr. Sérgio Furtado Cabreira)는 후에 [[헤레라사우루스]]의 근연종인 [[그나토보락스]]의 종명에 그 이름이 새겨졌다. [[분류:용각아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