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부병각}}}'''[br]'''夫秉恪'''}}}}}}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부병각.jpg|width=100%]]}}} || || '''창씨명''' ||[[요시다]] 헤이카쿠(吉田秉恪) || || '''본관''' ||[[제주 부씨]][* 열공계(悅公系) 17세 병(秉) 항렬.] || ||<|2> '''출생''' ||[[1898년]] [[12월 13일]][* 제주부씨족보 권2 513쪽에는 9월 3일생으로 등재되어 있다.] || ||[[전라남도]] [[제주시|제주목]] 좌면 조천리[br](現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조천리 337번지) || || '''사망''' ||[[1963년]] [[4월 11일]][* 제주부씨족보 권2 513쪽에는 1962년 1월 11일에 별세한 것으로 등재되어 있다.] (향년 64세) || || '''묘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조천리 || || '''상훈''' ||대통령표창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2018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독립유공자]] [[부덕환]]·[[부장환]] 형제는 부병각의 7촌 재종질(再從姪)이다.[* [[독립유공자]] [[부덕환]]·[[부장환]] 형제의 아버지 부병익(夫秉益, 1877. 2. 18 ~ 1964. 10. 24)은 부병각의 6촌 재종형(再從兄)이다.] == 생애 == 1898년 12월 13일 전라남도 제주목 좌면 조천리(現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조천리 337번지)에서 아버지 부달현(夫達鉉, 1863. 10. 18 ~ 1909. 5. 23)[* 족보명 부회순(夫晦淳).]과 어머니 [[진주 강씨]](1865. 12. 7 ~ ?. 2. 1)[* 강기원(姜基元)의 딸이다.] 사이의 3남 1녀 중 장남으로 [[https://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80481|태어났다]]. 1919년 3월 21일 오후 3시에 고향 조천리 '[[https://naver.me/5zJw61zE|조천만세동산]]'에서 일어난 [[조천만세운동]]에 참여했다가 체포되었고, 1919년 4월 26일 광주지방법원 제주지청에서 소위 [[다이쇼]] 8년(1919) 제령 제7호 위반 및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6개월형을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7801&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12358&actionType=det&flag=2&search_region=|선고받았다]]. 이에 공소하여 그해 5월 30일 광주지방법원 제주지청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에 대해 징역 6개월, [[집행유예]] 3년을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6825&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12294&actionType=det&flag=2&search_region=|선고받아]] 곧 출옥했다. 출옥 후에는 은거하다가 1963년 4월 11일 별세했다. 2018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 여담 == * 장남 부의환(夫義煥, 1927. 12. 28 ~ 1950. 9. 10)[* 군번 0400109. 전쟁기념관 전사자정보에는 천의환으로 오기되어 있다.]은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자 [[대한민국 육군]] [[이등병]]으로 입대해 [[대한민국 육군본부]] 직할부대에 배치된 뒤 종군하다가 그해 9월 10일 [[경기도]] [[광주시|광주군]](現 [[성남시]] 지역)에서 전사했다. 유해는 제주시 조천읍 신흥리에 있는 충혼묘지에 안장되었고, 이후 [[국립서울현충원]]에 위패가 봉안되었다. 사후 [[일등병]]으로 1계급 추서됐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제주 부씨]][[분류:제주시 출신 인물]][[분류:1898년 출생]][[분류:1963년 사망]][[분류:대통령표창(독립유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