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파일:DSC_0714.jpg|width=100%]] || [[파일:IMG_0120 (1).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08번}}} || ||<-6><^|1>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108번_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민락동기점) ||<-2> 종점 || 부산광역시 사상구 엄궁동(쌍용스윗닷홈) || ||<|2> 종점[br]행 || 첫차 || 05:00 ||<|2> 기점[br]행 || 첫차 || 05:58 || || 막차 || 22:20 || 막차 || 23:20 || ||<-2> 평일배차 || 출퇴근 8분 / 평시 11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13분 / 공휴일 14분 || ||<-2> 운수사명 || [[오성여객]] ||<-2> 인가대수 || 18대[*주말 토요일 15대 / 공휴일 14대 운행] || ||<-2> 노선 ||<-4> [[민락동(부산)|민락동]]기점 - [[광안리해수욕장]] - [[금련산역]] - 대남교차로.[[남천역]] - [[경성대학교]] - 남구청.[[못골역]] - 문현교차로 - (→ 부산진성공원 → [[범일역]] →/← 범일동국민은행 ←) - [[범내골역]] - [[서면역]].서면지하상가 - [[서면역]].롯데호텔백화점 - 부산진우체국.가야1치안센터 - [[개금역]] - [[주례역]] - 학장입구 - 엄궁럭키아파트 → 엄궁아파트 → 코오롱아파트 → 쌍용스윗닷홈 → 한신아파트 → 엄궁동주민센터 → 엄궁럭키아파트 → 이후 역순 || == 개요 ==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43km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http://map.naver.com/?busId=71187|여기로]] == 역사 == * 이 노선은 원래 번호가 108-1번이었으며 2002년 107번의 폐지로 잉여대수 활용을 위해 108번에서 분리개통되었다. 준공영제 노선개편 이전에 구.108번 노선과 형제노선으로 운행하였다. 108번과의 차이점은 엄궁아파트단지 경유였다. 2008년 9월 1일 지선번호만 존재하는 노선 번호정리 정책에 의해 108-1번에서 108번으로 변경되었다. * 원래 108번은 62번과 운행대수가 동일했고 차별 또한 없었다. 오히려 108번에 신차투입이 활발하였다.[* 108번에 신차를 투입안한지 4년째 되어가다가 2016년에 2대가 신차로 투입되었다. 그리고 오성여객은 2010년 후반부터는 저상버스 위주로 신차를 출고했고 고상차량은 2012년에 1대(108번), 2013년에 1대만(62번) 투입했다.] 그러다가 2017년 62번에 마지막 신차가 나왔고 그뒤 108번에 신차가 주력으로 들어가며 62번은 108번에서 다닌 낡은 차량들이 운행하게 되었다. * 2016년 11월 29일 전기버스 전용 노선인 1번의 신설로 감차되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261838&page=1&search_pos=&s_type=search_all&s_keyword=%EB%B6%80%EC%82%B0|62번 인가대수가 2대 감차되면서]] 나머지 3대는 108번에서 전부 감차되었다.[* [[부산 버스 138-1|138-1번]]과 동일 인가대수인 18대로 운행되는데 학장.엄궁지역의 교통불편이 조금 더해졌다. 그러나 2017년 4월 22일 68번, 168번 인가대수가 각각 4대, 2대가 증차되는 덕분에 학장, 엄궁지역의 교통불편이 다소 해소되었다. 다만 저들 노선은 엄궁동 윗동네까지 올라가지 않는 노선이기에 엄궁아파트단지에서 서면으로 가는 이 노선의 증차가 절실해보인다. 2021년 1월 16일부로 1번이 폐선되었음에도 1번 차량이 모두 62번으로 이동하면서 108번의 운행대수는 환원되지 못했다. 이로 인하여 배차간격은 전혀 개선되지 못하여 엄궁동 지역 주민들의 불만이 많다고 한다.][* 그도 그럴것이 도심인 서면까지 한 번에 바로 이어주는 노선이기에 엄궁아파트단지 지역 주민들의 수요가 매우 많기 때문이다. 엄궁아파트단지로 올라오는 노선들 중에선 16번과 67번이 배차간격이 가장 좋으나 16번은 부도심인 하단과 자갈치로 운행하는 노선인데다 67번은 서면까지 이어주긴 하나 바로 가지 않고 빙빙 둘러서 우회하는 노선이라 이용에 적합하지 않아 부산역 방면으로 갈 때만 이용한다. 148-1번의 경우에는 다른 부도심인 덕천과 동래, 부산대 지역으로 운행하는데 배차간격이 매우 길다. 그마저도 사상으로 갈 때 [[장인로]]를 경유하여 빙 둘러간다.] * 2021년 12월 20일 서면 ~ 충무 BRT 개통으로 인한 광무교 교통신호체계 개선으로 기점방향 노선이 서면복개로를 경유하는 것에서 양방향 [[서면역]]과 서면한전 경유로 변경되었다. === 구.108번 === [include(틀:폐선)] > 설명에 앞서 덧붙이면 '''현재 운행 중인 108번은 2008년 8월 31일까지 108-1번이었다가 2008년 9월 1일에 108번으로 노선번호가 변경된 것'''이므로 현재 이 문단에 서술된 108번 노선과는 엄연히 다르다. * 사진 링크: [[http://cafe.naver.com/65736385/912|#]][* 2009년에 NSAC F/L CNG로 교체되었고 2018년 12월 '''2017년에 생산한''' 화이버드로 교체되었다.] * 1970년대 이전부터 운행했던 역사 깊은 노선이다. 현.108번의 맏형격의 노선이었으며 엄궁동사무소에서 회차하다가 1994년부터 엄궁농산물시장에서 회차하게 되었다. 엄궁아파트단지로 올라가는 108-1번이 신설되자 108-1번에게 수요가 밀리면서 오성여객에서는 이 노선에 감차를 하게 된다. 구.108번은 여러 중복노선과 비수요지역인 엄궁농산물시장 경유로 수요에서도 뒤쳐졌다. * 그러다가 2003년에 [[미월드]] 개장으로 구.106번과 같이 민락수변공원까지 연장하여 108-1번과의 차별화를 좀 더 늘렸고 여러가지 변화를 주었지만 그래도 이 노선은 수요가 전혀 늘지 않았고 최후에는 40분 정도의 간격로 운행하고 노후차량만 투입되는 수모를 겪다가 결국 106번과 사이좋게 망해버렸다. 게다가 108-1번은 배차간격 문제[* 2007년 5월 15일부터 2016년 11월 28일까지는 21대로 운행했지만 그 전까지는 13대 뿐이었다.]로 주례, 학장, 엄궁동 등의 지역에서 불만이 상당했었다. 2007년 5월 15일에 108-1번으로 통폐합되면서 이 노선은 폐선되었다. * 개통 초기부터 1999년까지는 화진여객과 공동배차했다.[* 당시 화진여객은 오성여객의 계열사였다. 오성여객이 지하철 2호선 개통으로 경영난이 심해지자 규모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2001년에 계열관계가 정리되었다.] == 특징 == * 일반버스 6대, 전기 저상버스 12대로 운행한다. * 108번은 광안리, 남천동, 대연동 일대에서 서면으로 향하는 [[부산 버스 83-1|83-1번]]과는 달리 유이하게 [[롯데백화점 부산본점|서면 롯데백화점]]을 경유하는 노선[* [[부산 버스 83-1|83-1번]]은 [[새싹로]] 방면으로 빠진다. 83번도 부전시장방향 운행 시 롯데호텔을 경유한다.]이라 환승수요와 등하교 수요가 상당히 좋다. * 또한 [[부산 도시철도 2호선]]과 상당히 중복되나[* [[광안역]]~[[지게골역]] 구간, [[서면역]]~[[주례역]] 구간] 노선의 인지도와 수영로→범일동 구간의 지하철 비이용 승객들로 꾸준히 수요를 모으고 있다. 그리고 엄궁동아파트단지에서 [[가야대로]] - [[서면교차로]]로 가주는 유일한 노선이라서[* 67번도 있으나 [[굴곡 노선/버스|굴곡 노선]]인지라...] 출퇴근시간에 수요가 넘친다. 서면롯데 이후에는 주로 학장동, 엄궁동 지역의 승객들이 이용하는데, 이쪽은 거의 [[부산 버스 68|68번]]을 보조하는 형태다. [[부산 버스 68|68번]]이 [[가축수송(교통)/사례/버스|가축수송]]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보니 이 노선이 수요분산을 꽤 하고 있다.[* 그래도 2호선 중복 구간을 이용할 사람은 도시철도가 낫긴 하다. 특히 [[수영로(부산)|수영로]] 연선을 이용할 승객은 무조건 2호선을 타자. 여느 수영로 경유 버스가 그렇듯 엄청나게 막힌다.] * 종점인 엄궁아파트단지에서도 유이하게 [[서면]]으로 가는 노선[* [[부산 버스 67|67번]]도 서면으로 가지만 세원교차로~[[구덕터널]]~[[구덕운동장]]~동대신동~[[부산터널]]~영주동~[[부산역]]~[[부산진역]]~보림극장~[[범내골]]~[[서면]]으로 빙빙 둘러서 간다. 서면으로 빠르게 가려면 무조건 이 노선을 타야 한다. 두 버스를 비교해본 결과 약 15분 정도 108번이 빠르다.]으로 중요성이 있어서 이쪽 수요는 꽤 괜찮은 편이다. 또한 [[부산 버스 16|다른]] [[부산 버스 67|세]] [[부산 버스 148-1|노선]]과는 달리 유일하게 굴곡 노선이 아니라서 장거리 수요도 가장 많다. 특히 엄궁동에서 [[동서대]], [[동의대]]는 물론이거니와 [[남구(부산)|남구]] 방면 [[경성대]], [[부경대]]로 유일하게 가는 노선인지라 장거리 통학 수요도 제법 담당하고있다.[* 67번을 타고 부산역에서 [[부산 버스 27|27번]], [[부산 버스 40|40번]], [[부산 버스 41|41번]]으로 환승하면 경성대로 갈 수 있으나 환승저항이 발생하며 이미 좌석을 다 채워오기에 착석의 메리트가 거의 없다. 다만 이 노선의 경우 서면을 거쳐가는 특성상 이동 소요시간은 거의 엇비슷하다.] * 반대편 민락동~[[수영로(부산)|수영로]]~서면 구간에서는 [[부산 버스 83|83번]]과 수요 경쟁을 펼치고 있지만 경쟁에서 이 노선이 불리한 상황이다. 그래도 83번과 서면 정류장의 위치가 서로 다르며 83번은 부전시장을 경유하나 이 노선이 서면롯데백화점을 경유해서 확실히 차별화되어있다. 그러나 2020년도에 BRT 개편으로 인해 [[부산 버스 83|83번]]의 상행노선이 롯데호텔.백화점 정류장을 경유하게 되면서 이 노선 수요가 더 줄어들고 있다. 83번이 이 노선보다 운행거리가 훨씬 짧은데다가 운행대수는 고작 2대 밖에 차이가 안나기때문에 이 노선이 경쟁에서 절대적으로 불리하다. * 자사노선 [[부산 버스 62|62번]]보다는 못하지만 그래도 그럭저럭 잘 다녀주고 있으며 이 노선은 일일 평균 승객 수도 약 1만명, 대당 운송수입금도 꾸준히 50만원대를 유지했지만 2018년 하반기부터는 하락세를 타고 시작하여 2019년 3월에는 평균 승객 수는 약 9천명, 운송수입금은 대당 48만원으로 떨어졌다. 특히 승객 수가 눈에 띄게 많이 줄어들었는데 가장 큰 원인은 [[부산 버스 1|1번]] 노선으로 인해 3대가 감차되어 배차간격이 1분 가량 늘어난 점이 뼈아프다. 심지어 일요일 야간시간대엔 20분 정도를 기다려야 1대가 올 정도이고 평일 야간에도 15분 배차이다. 현재 1번은 폐선되었지만 1번 차량이 전부 62번으로 가버린 탓에 상황은 여전하다. 이 때문인지 과속--폭주--운행도 매우 잦다. * 오래 전부터 이 노선의 승무원들이 62번보다 불친절하고 난폭운전한다는 평들이 많다.[* 대략 어느 정도냐면 [[첫차]]나 [[막차]]가 엄궁에서 경성대까지 50분 미만으로 가는 경우가 많고 또한 이 노선이 62번 보다 배차간격을 잘 지키지 않는다. 어쩔 수 없는 것이 [[동서고가로]]가 합류하는 [[가야대로]] 일대가 [[부산 도시철도 5호선]] 공사 여파로 인하여 극심한 교통 체증에 시달리며 이 노선은 [[부산 버스 138|138번]]을 제외하면 가야대로 거의 모든 구간을 주파하는 노선인지라 연착이 빈번히 일어나서 배차간격 유지를 위해 어쩔 수 없이 과속을 하게 된다.] 아직까지도 난폭운전을 하는 기사들은 간간이 있지만, 예전만큼 난폭운전이 심하진 않다. 오히려 요즘은 기사들이 아예 난폭운전을 안하는 추세이지만 그래도 여전히 62번보다는 불친절하며 난폭운전을 한다고 느껴지는게 대다수이다. * 여담으로 [[광안리해수욕장]]에서 연마다 [[부산불꽃축제]]를 개최하면 역시 사람이 몰린다. 끝나고 나서는 돌아가려는 인파 때문에 광안리 전체가 [[충격과 공포]]에 빠진다. 버스는 --당연히--'''[[가축수송(교통)|가축수송]]'''의 상황. * [[동서대학교]], [[경남정보대학교]]가 있는 냉정, 개금 일대에서 엄궁동까지 주례 및 학장 경유로 바로 가는 노선이다. [[부산 버스 67|67번]]을 타고 [[굴곡 노선/버스|부산시내 한바퀴 돌고 싶지 않다면]] 숙지해서 이걸 타야 한다. * 이 노선에는 [[오성여객]]의 다른 노선인 [[부산 버스 62|62번]]과 다르게 [[저상버스]]가 아예 투입되지 않았다. 이유는 엄궁동의 경사 구간 때문이다. 그리고 2017년에 디젤차가 전멸한 [[부산 버스 62|62번]]과 달리 아직도 상당수가 2007~2008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 디젤차량으로 운행하고 있었지만 뉴 슈퍼 에어로시티, e-화이버드로 순차적으로 대차되면서 2018년 4월에 디젤차량은 전멸되었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엄궁동 구간에 시험운행한 결과 저상버스가 다니는데는 크게 무리가 없다고 판단하였는지 E-화이버드가 투입되어 엄궁동에는 구.128번 이후 6년만에 다시 저상버스가 다니게 되었다. 그 이후 2021년 11월초에 일렉시티 2대가 추가로 투입되었다. * [[가야대로]]에서 학장동 골목길로 바로 좌회전이 금지되어있는지라 이 노선만 유일하게 학장입구→학장초등학교 방향으로 갈 때 중고차매매시장 안쪽을 경유한 다음 P턴을 해서 학장입구쪽으로 빠진다.[* 참고로 [[가야대로]] 고가 아래부분인 주례사거리~감전IC까지 구간 중 골목길로 좌회전 할 수 있는 구간은 감전IC방향으로 주례사거리를 지나서 있는 첫번째 교차로밖에 없다. 즉 감전IC→주례사거리 구간에선 전혀 없다. 유턴가능 구간은 제법 있다.] * 천연가스버스 충전은 운행종료 후 용당동 신선대CNG충전소까지 가서 한다. 전기버스 충전은 본사에 설치되어있는 전기버스 전용 충전기로 한다. === 이용시 유의해야 할 점 === 민락동/광안리해수욕장에서 엄궁동으로 갈 때 이 노선을 이용하면 서면(롯데백화점), 가야, 동의대역, 주례쪽으로 빙빙 둘러가기 때문에 이 노선 보다는 민락동에서 [[부산 버스 41|41번]]을 타고 [[부산역]]에서 [[부산 버스 168|168번]]으로 환승하는게 더 나을수도 있다.[* 하지만 차이라 해봤자 10분 정도 차이라서 그냥 애초부터 민락동 종점에서 엄궁까지 108번을 타고 한번에 가는게 더 나을수도 있다.] 또한 수영로 광안역 ~ 문현교차로 구간에서는 [[부산 버스 22|22번]][* 경성대 ~ 문현교차로 구간만 해당, 국민은행 정류장 하차 후 도보], [[부산 버스 27|27번]][* 경성대 ~ 문현교차로 구간만 해당], [[부산 버스 40|40번]], [[부산 버스 41|41번]][* 남천역 ~ 문현교차로 구간만 해당], [[부산 버스 1001|1001번]], [[부산 버스 1003|1003번]]을 타고 부산진역에서 67번으로 환승하거나 [[부산 버스 1001|1001번]][* 동아대에서 16번으로 환승하면 급행 특성상 빠르고 편하게 엄궁동으로 갈 수 있다.]을 이용하면 108번 보다 더욱 빠르게 엄궁동으로 갈 수 있다. 아니면 정시성이 좋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전철]]을 타고 주례역에서 이 노선이나 [[부산 버스 68|68번]], [[부산 버스 138|138번]]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 연간 일평균 승차량 === * 원 출처는 [[https://www.kotsa.or.kr/ptc/inside_use.do|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 '''{{{#fff32b 연도}}}''' || '''{{{#fff32b 일평균 승차량}}}''' || '''{{{#fff32b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12346.29|| || ||2015년|| 12066.29|| {{{#blue ▽ 370}}}|| ||2016년|| 12157.57|| {{{#red △ 91.28}}}|| ||2017년|| 10528.14|| {{{#blue ▽ 1629.43}}}|| ||2018년|| 9469.85|| {{{#blue ▽ 1058.29}}}|| ||2019년|| 9272.57|| {{{#blue ▽ 197.28}}}|| ===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08번}}}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엄궁로|{{{#353535,#eee '''엄궁로'''}}}]] || || {{{-2 엄궁한신1차아파트 ▼}}}||{{{-2 ▲ 엄궁아파트}}} || || [[낙동대로(부산)|{{{#353535,#eee '''낙동대로'''}}}]]||<|2>[[대동로(부산)|{{{#353535,#eee '''대동로'''}}}]] || || {{{-2 엄궁사거리 ▼}}}|| ||<-2> [[대동로(부산)|{{{#353535,#eee '''대동로'''}}}]] || || {{{-2 학장입구 ▼}}}||{{{-2 ▲ 학장입구}}} || ||<|2> [[가야대로|{{{#353535,#eee '''가야대로'''}}}]]||[[가야대로|{{{#353535,#eee '''가야대로133번길'''}}}]] || ||{{{-2 ▲ 자동차매매시장}}} || ||<-2> [[가야대로|{{{#353535,#eee '''가야대로'''}}}]] || || {{{-2 서면시장 ▼}}}||{{{-2 ▲ 롯데호텔백화점(서면역)}}} || || [[서면로(부산)|{{{#353535,#eee '''서면로'''}}}]]||<|4>[[중앙대로(부산)|{{{#353535,#eee '''중앙대로'''}}}]] || || {{{-2 부산진초등학교 ▼}}}|| || [[신천대로(부산)|{{{#353535,#eee '''신천대로'''}}}]]|| || {{{-2 ▼}}}|| ||<-2> [[중앙대로(부산)|{{{#353535,#eee '''중앙대로'''}}}]] || || {{{-2 중앙시장 ▼}}}||{{{-2 ▲ 범내골역}}} || ||<-2> [[범일로(부산)|{{{#353535,#eee '''범일로'''}}}]] || || {{{-2 범일동국민은행 ▼}}}||{{{-2 ▲ 범일역.범일동부산은행}}} || || [[범일로(부산)|{{{#353535,#eee '''범일로102번길'''}}}]]||[[자성공원로|{{{#353535,#eee '''자성공원로'''}}}]] || || {{{-2 ▼}}}||{{{-2 ▲ 자성대}}} || || [[조방로|{{{#353535,#eee '''조방로'''}}}]]||<|2>[[자성로|{{{#353535,#eee '''자성로'''}}}]] || || {{{-2 ▼}}}|| ||<-2> [[자성로|{{{#353535,#eee '''자성로'''}}}]] || || {{{-2 문현교차로 ▼}}}||{{{-2 ▲}}} || ||<-2> [[수영로(부산)|{{{#353535,#eee '''수영로'''}}}]] || || {{{-2 광안리입구 ▼}}}||{{{-2 ▲ 수영중학교}}} || ||<-2> [[광안로|{{{#353535,#eee '''광안로'''}}}]] || || {{{-2 광안리해수욕장 ▼}}}||{{{-2 ▲ 광안리해수욕장}}} || ||<-2> [[광남로(부산)|{{{#353535,#eee '''광남로'''}}}]]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범일역]], [[범내골역]], [[서면역]] * [[파일:Busan2.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광안역]], [[금련산역]], [[남천역]], [[경성대·부경대역]], [[대연역]], [[못골역]], [[지게골역]], 서면역, [[부암역]], [[가야역]], [[동의대역]], [[개금역]], [[냉정역]], [[주례역]] == 둘러보기 == [include(틀:부산광역시 엄궁동 경유버스)] [include(틀:부경대학교 경유버스)] [[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2002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