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개통)] [include(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부산 버스 148H.png|width=10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22번 || ||<-2> 기점 ||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삼계동차고지) ||<-2> 종점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명지환승센터) || ||<|2> 종점[br]행 || 첫차 || 미정 ||<|2> 기점[br]행 || 첫차 || 미정 || || 막차 || 미정 || 막차 || 미정 || ||<-2> 평일배차 || 미정 ||<-2> 주말배차 || 미정 || ||<-2> 운수사명 || [[성원여객(부산)|성원여객]] ||<-2> 인가대수 || 5대 || ||<-2><|2> 노선 ||<-4> 삼계동차고지 - 신명마을 - 부영6차아파트 - [[구산동(김해)|구산육거리]] - [[김해여자고등학교|김해여고]] - 김해세무서 - 부원교차로 - 쇠내 - 송산 - 가락동행정복지센터 - 부산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교 - [[둔치도]]입구 - 통합세산마을 - 미음산업단지 - __지사산단입구 - 지사삼정그린코아 - 지사휴먼시아 - 삼영MT - YMP지사단지기점 - 삼영MT - 지사동휴먼시아 - 지사삼정그린코아 - 지사산단입구__ - 세산교차로 - 장락 - 성산 - 강서경찰서 - [[경일고등학교(부산)|경일고교]] - 명지새동네 - 더스퀘어 - 명지환승센터 || ||<-4> '''가늘게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 == 개요 == 부산광역시의 개통 예정인 시내버스 노선. == 역사 == * 2023년 6월 1일에 김해와 명지 지역 연계를 목적으로 신설될 예정이다. == 특징 == * [[금진여객]]과 [[태영버스]]의 [[강서공영차고지(부산)|강서공영차고지]] 이전에 따른 김해시 노선 대개편의 일환으로 신설되는 노선으로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업체 중 유일하게 김해에 남는 성원여객에서 맡으며, 김해와 서부산 간 교통 편의성을 위해 신설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82/0001207117?sid=102]] ] 다만 122번이라는 노선은 가칭으로 상황에 따라 번호 또는 노선이 바뀔 가능성도 있다. 김해시에서 버스노선개편 설명회를 할 때는 123-1번이라는 가칭을 사용했었다. * 2006년에 폐선된 [[부산 버스 48|48번]] 이후로 17년만에 가락동을 지나는 부산시 소속의 시내버스가 부활하는 셈이다. 다만 48번과는 지나는 지역이 다르며, 죽동, 쇠내, 송산 지역을 경유하는 노선은 이 노선이 처음이다. [[김해여객]] 폐업 후 부활하지 못한 [[시외버스 김해-부산서부]] 노선의 부원동 ~ 가락IC 구간과 비슷하다. * 노선 경로 중간에 [[지사동]]을 들어갔다 나오는 구간이 있는데 [[부산 버스 55|55번]]과 동일한 선형으로 경로가 정해졌다. 다만 인가대수 5대로 운행하여 배차간격이 30분이 넘어가는 편인데 굳이 지사동까지 들어갔다 나올 필요성이 있냐는 반응들이 오간다.[* 지사동의 경우 하단까지 이어주는 강서12번 마을버스나 55번이 있고 사상역으로 가는 1005번이 운행하는데 이 노선은 강서구 명지동과 김해시로 가는 노선이다.] === 연간 일평균 승차량 === === 노선 === == 연계 철도역 == * [[파일:BGL_logo.svg|width=17]] [[부산김해경전철]]: [[부원역]] == 둘러보기 == [include(틀:부산-김해 버스)] [[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2023년 개업 예정인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