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부산 버스 20(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s20-efb.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20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20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남구국민체육센터) ||<-2> 종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서면역.서면지하상가) || ||<|2> 종점[br]행 || 첫차 || 05:01 ||<|2> 기점[br]행 || 첫차 || 05:50 || || 막차 || 22:26 || 막차 || 23:17 || ||<-2> 평일배차 || 출퇴근 5분 / 평시 7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8분 / 공휴일 9분 || ||<-2> 운수사명 || [[시민여객(부산)|시민여객]] ||<-2> 인가대수 || 21대[* 토요일 19대 / 공휴일 16대 운행] || ||<-2> 노선 ||<-4> 남구국민체육센터 - 백운포 - [[부산성모병원]] - [[이기대]]입구 - 남부운전면허시험장 - 부경대대연캠퍼스 - [[경성대학교]] - 대남교차로.[[남천역]] - [[금련산역]] - [[광안역]] - 수영교차로.[[수영역]] - 부산지방병무청 - [[배산역]] - 연제구청 - [[양정역(부산)|양정역]] - [[송상현광장]] → [[부전역(도시철도)|부전역]] → 부전도서관 → 서면한전 → [[서면역]].서면지하상가→ [[부전시장]] → 송상현광장 → 이하 역순 || == 개요 ==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34km다. [[http://map.naver.com/?busId=71046|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1978년 9월 18일에 개통되었으며, 당시에는 '서면 → 서면복개로(신진공업) → 부전시장' 순으로 회차하였다. [[부산 버스 22|22번]]에서 7대를 차출하였다. * 1990년대 중반에 현재 회차방식으로 변경되었다. * 2012년 11월 17일에 회차경로를 [[중앙대로(부산)|중앙대로]]666번길에서 [[신천대로(부산)|신천대로]]로 변경되었다. [[http://bus.busan.go.kr/busanBIMS/bus_info/adjust_view.asp?seq=12|부산시 노선조정안내]] * 2016년 5월부터 20번 버스를 이용한 버스전용차로/불법 주정차 단속이 시작되었다. * 2017년 12월 30일에 노선이 연장된 [[부산 버스 24|24번]]의 증차를 위해 2대가 감차되었다. * 2018년 6월 2일에 남구국민체육센터(남구실내빙상장)까지 연장되었다.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tation&no=1359|관련 게시물]] == 특징 == * '''[[시민여객(부산)|시민여객]]의 준 간판노선이다.''' * 노선의 전체적인 선형을 보면 [[물음표]](?) 형태다. * '용호동 - 부경대' 구간을 제외하면 노선 대부분이 도시철도와 겹치고[* 비슷한 예로 [[부산 버스 67|67번]]과 [[부산 버스 113|113번]]이 있다.] 버스노선들 중에서도 [[부산 버스 39|39번]]이 수영교차로까지, [[부산 버스 131|131번]]이 연제구청까지 겹치지만 두 노선 모두 서면으로 가지 않으며 이 노선들보다 훨씬 오래된 노선이라 인지도가 높고 배차간격도 압도적으로 짧아서 [[용호동(부산)|용호동]] 주민들의 고정수요만으로도 충분히 수요가 좋다.[* 대단지 아파트가 많으며 부산에서 인구가 3번째로 많은 동네일 만큼 인구밀집지역이다보니 버스 수요가 상당히 많이 나온다. 또한 제일 가까운 도시철도역이 [[남천역]] 혹은 [[경성대·부경대역]]이라 [[환승저항]]으로 인해 특히 버스를 더 많이 이용하는 편이다.] * 노선이 그리 길지 않고 중복노선이 많음에도 흑자 노선이다. 원래 운송수입금으로 꾸준히 6~9위를 기록하는 수준이었는데 2017년 5월부터 본격적으로 흑자를 보기 시작하였다. 원래 [[부산 버스 68|68번]]이 넘사벽 흑자노선이었는데 [[부산 버스 168|168번]] 분리로 인해 3~4위로 하락하였고 자사노선 [[부산 버스 24|24번]]에게 약 1만원 차이로 2위를 기록했다. 이 때 대당 운송수입금도 약 69만원. 그리고 2018년 3월에는 자사 노선 24번과 신한여객 113번을 제치고 부산 1위를 달성하였다. * 뿐만 아니라 [[망미역]]부터 [[송상현광장]]까지 [[부산 버스 5-1|5-1번]], [[부산 버스 57|57번]], [[부산 버스 62|62번]], [[부산 버스 141|141번]]과 중복이 상당히 심한 편이지만 저들 중에서 수익이나 인지도 등 모든 면에서 압도하고 있는 중이며 [[연수로(부산)|연수로]] 구간에서 가장 배차간격이 짧고 잘 오는 노선이다. 단거리 노선에 짧은 배차간격의 특징을 잘 살려 물량배차로 승부를 보는 노선이라 [[부산 도시철도 3호선|3호선]] 개통 때도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 [[용호동(부산)|용호동]] 등지에서 이용하는 승객들은 주로 경성대학교 입구 정류장에서 환승을 하거나 [[남천동(부산)|남천동]](대남교차로 정류장)까지 가는 수요가 가장 많다. 광안역 이후부터는 송상현광장까지 노선이 동일한 [[부산 버스 62|62번]]과 수요를 공동 분담을 하는 편이다. 다만 서면행은 [[동천로(부산진구)|동천로]]로 돌아갔다 나오는 애매한 회차방식때문에 시내로 나갈때는 서면롯데백화점을 양방향으로 다녀주는 62번이 더 유리하다. 이때문에 24번과는 달리 20번으로 종점행 서면까지 계속 타고가는 경우는 드물며 서면(서면한전, 부전도서관, 쥬디스태화)에서 용호동으로 다시 돌아가는 기점행에서 진가를 발휘한다. 그 외의 구간은 중복노선이 많아서 수요분담을 주로 하는 편이지만 [[연수로(부산)|연수로]]가 이 노선 저 노선 가릴거 없이 원체 시내버스 이용률이 높은 곳인데다가[*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의 대부분의 역 깊이가 너무 깊기 때문에 도시철도 한번 타러 내려갔다 올라오는 것보다는 버스로 편하게 가는 것을 더 선호하기 때문이다. 특히 [[배산역]]과 [[망미역]]의 경우에는(...)] 종점인 서면에 도착하면 엄청난 인파가 몰리기도 한다. * 같은 회사에서 운행하는 [[부산 버스 24|24번]]과는 기종점이 동일하다. 단 운행거리나 소요시간은 24번이 훨씬 더 짧다. * 과거에 이 노선과 24번, 심야 1002번만 정차하는 단독 정류장을 따로 마련해 놓았었다.[* 서면 (05-247) 정류장. 동보프라자 앞에 위치해 있었다.] 그만큼 이용객이 엄청 많다는 것을 보여준다. 버스 정류장 대기구역도 다른 정류장보다 더 크게 마련해 놓았었다. 11시를 넘으면 이곳은 막차를 타기 위한 사람들로 붐볐는데 그 수를 보면 따로 정류장을 만들어 놓은 이유를 알 수 있었다. 그러다 2019년 12월 30일에 [[부산광역시 BRT|BRT]]가 개통하면서 서면역 · 서면지하상가 정류장으로 통합되어 단독 정류장은 폐쇄되었다. * 일부 버스차량 뒷문부에는 시점이 백운포 해군작전사령부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 행선판 표기에서도 지적이 많은데 후면 행선판이 '''"용호동 ◀▶ 연산동 ◀▶ 서면"'''으로 되어있다. 다만 부산 시민들이 흔히 말하는 [[연산동(부산)|연산동]]이란 [[연산교차로]] 일대나 [[부산광역시청]]의 연산5동이나 [[토곡]]의 연산9동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이 노선이 지나가는 [[연수로(부산)|연수로]] 구간은 연산2동, 연산3동만 해당한다. 이처럼 연산동의 면적이 넓어서 정확히 연산동 어디를 경유하는지 모르는 외지인들이 많기 때문에 "용호동 ◀▶ 배산역 ◀▶ 서면"이나 "용호동 ◀▶ 수영교차로 ◀▶ 서면"으로 표기하면 더욱 나았을 것이다.[* 이는 행선판 표기를 "용호동 ◀▶ 전포동 ◀▶ 서면"으로 표기한 24번도 마찬가지다. 24번의 경우 전포동 끄트머리만 차고지 방면 한정으로 잠깐 거쳐가는 것에 불과하다.] === 이용 시 유의할 점 === * 용호동에서 서면까지 가려는 경우, 이 노선 탑승을 절대 추천하지 않는다. 용호동에서 경성대학교를 거쳐 [[문현동]]으로 가지 않고 광안리와 수영교차로, 망미동과 연제구청, 양정을 거쳐서 [[서면]]으로 돌아가는 노선이다. 따라서 목적지가 서면이라면 이 노선보다는 [[부산 버스 24|24번]]을 이용하거나 [[경성대학교]] 입구에 내려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을 이용하는 편이 더 빠르다. * 구도색 차량 우측 행선판에 '''광안리해수욕장''' 이라고 적혀있는데 광안리해수욕장을 직접 경유하는 타 노선들[* 38번, 41번, 42번, 49번, 62번, 83번, 83-1번, 108번]과는 달리, 광안리해수욕장을 직접 경유하지 않는다.[* 이 외에 [[부산 버스 155|155번]]도 광안리해수욕장을 가지 않는데다가 구도색 우측 행선판이 광안해수욕장으로 표기되어있다. 또한 [[부산 버스 51|51번]]의 경우에는 광안리해수욕장이 아닌 광안역을 경유함에도 중간경유지가 아예 광안리로 표기되어 있다.] === 연간 일평균 승차량 === * 원 출처는 [[http://www.kotsa.or.kr/ptc/inside_use.do|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 재구성된 자료이므로, 계산 및 산출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 '''{{{#fff32b 연도}}}''' || '''{{{#fff32b 일평균 승차량}}}''' || '''{{{#fff32b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15939.14|| || ||2015년|| 15300.86|| {{{#blue ▽ 638.28}}}|| ||2016년|| 16251.86|| {{{#red △ 951.00}}}|| ||2017년|| 16676.00|| {{{#red △ 424.14}}}|| ||2018년|| 14709.43|| {{{#blue ▽ 1966.57}}}|| ||2019년|| 14043.14|| {{{#blue ▽ 666.29}}}|| ===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20번}}}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중앙대로(부산)|{{{#353535,#eee '''중앙대로'''}}}]] || ||<|5> [[중앙대로(부산)|{{{#353535,#eee '''중앙대로'''}}}]]||{{{-2 ▲ 서면한전}}} || ||[[신천대로(부산)|{{{#353535,#eee '''신천대로'''}}}]] || ||{{{-2 ▲}}} || ||[[동천로(부산진구)|{{{#353535,#eee '''동천로'''}}}]] || ||{{{-2 ▲ 전포초등학교}}} || ||<-2> [[중앙대로(부산)|{{{#353535,#eee '''중앙대로'''}}}]] || || {{{-2 양정역4번출구 ▼}}}||{{{-2 ▲ 양정역}}} || ||<-2> [[연수로(부산)|{{{#353535,#eee '''연수로'''}}}]] || || {{{-2 수영교차로(수영역) ▼}}}||{{{-2 ▲ 수영사적공원}}} || ||<-2> [[수영로(부산)|{{{#353535,#eee '''수영로'''}}}]] || || {{{-2 경성대학교입구 ▼}}}||{{{-2 ▲ 경성대 부경대역}}} || ||<-2> [[용소로(부산)|{{{#353535,#eee '''용소로'''}}}]] || || {{{-2 ▼}}}||<|5>[[용소로(부산)|{{{#353535,#eee '''용소로'''}}}]] || || [[조각공원로|{{{#353535,#eee '''조각공원로'''}}}]]|| || {{{-2 도로교통공단 ▼}}}|| || [[유엔로|{{{#353535,#eee '''유엔로'''}}}]]|| || {{{-2 ▼}}}|| ||<-2> [[용소로(부산)|{{{#353535,#eee '''용소로'''}}}]] || || {{{-2 남부운전면허시험장 ▼}}}||{{{-2 ▲ 도로교통공단}}} || ||<-2> [[용호로(부산)|{{{#353535,#eee '''용호로'''}}}]] || || {{{-2 백운포 ▼}}}||{{{-2 ▲ 백운포고개}}} || ||<-2> [[백운포로|{{{#353535,#eee '''백운포로'''}}}]]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서면역]][*A 용호동 방향 한정으로 경유한다.], [[부전역(도시철도)|부전역]], [[양정역(부산)|양정역]] * [[파일:Busan2.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수영역]], [[광안역]], [[금련산역]], [[남천역]], [[경성대·부경대역]], [[전포역]], [[서면역]][*A 용호동방향 한정으로 경유한다.] * [[파일:Busan3.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수영역]], [[망미역]], [[배산역]], [[물만골역]] * [[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width=17]] [[동해선 광역전철]]: [[부전역(동해선)|부전역]] * 일반철도: 부전역(ITX-새마을, 무궁화호) == 둘러보기 == [include(틀:부경대학교 경유버스)] [include(틀:용호동 경유버스)] [[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1978년 개업한 버스 노선]] [include(틀:포크됨2, title=부산 버스 20, d=2023-01-08 06:0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