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SC03209.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좌석버스 22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221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상남도 김해시 삼문동(장유온천) ||<-2> 종점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하단역) || ||<|2> 종점[br]행 || 첫차 || 06:00 ||<|2> 기점[br]행 || 첫차 || 07:05 || || 막차 || 19:50 || 막차 || 21:00 || ||<-2> 평일배차 || 40~45분[*A] ||<-2> 주말배차 || 40~45분[*A] || ||<-2> 운수사명 || [[태영버스]] ||<-2> 인가대수 || 2대 || ||<-2><|2> 노선 ||<-4> 장유온천 - 삼문마을 - 쌍용예가 - 장유우체국 - 장유농협 - ___무계교___ - 하봉마을 - [[장유중학교]] - 신문 - 롯데프리미엄아울렛 - [[롯데워터파크]] - 용산마을 - 한림풀에버 - 중앙하이츠후문 - 서부문화센터 - 장유모산마을[*B ] - 응달마을 - 수가마을 - 가동마을입구 - 녹산동행정복지센터 - 렛츠런파크입구 - 세산삼거리 - 생곡마을 - 용적사입구 - 가리새마을 - 순아동 - 강서경찰서 - 사취등 - 부산현대미술관 - [[을숙도]] - [[하단역]] || ||<-4> '''가늘게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 == 개요 == [[태영버스]]가 [[김해 버스 220|김해 220번]]과 [[공동 배차]] 형식으로 운행했던 좌석버스 노선. [[http://map.naver.com/?busId=71215|221번]] == 역사 == * 2007년 5월 15일에 [[부산광역시]]가 [[준공영제]]를 시행하면서 사라지지 않은 부산 면허 [[김해 버스 220|220번]]의 인가를 활용하여 221번을 개통하였다. 번호를 붙이던 당시에는 [[김해시]]와 [[부산광역시]]가 서로 환승할인을 실시하지 않아서 구분지을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운행은 [[태영버스]]가 담당했었다. * 2009년 5월 1일에 롯데프리미엄아울렛 경유로 변경되면서 220번과 통합 시간표로 운행하게 되었다. * 2009년 12월 5일에 율하지구를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 2014년 12월 27일에 [[부산 버스 1005|1005번]] 신설로 221번의 인가대수가 1대 감차되었다. * 2019년 10월 25일에 221번이 김해농수산물유통센터를 경유하지 않고 바로 [[롯데워터파크]]로 가도록 변경되었다. * 2023년 7월 29일 [[강서공영차고지(부산)|강서공영차고지]]가 준공되어 이 노선의 운행업체인 태영버스가 이전하며, 폐선되었다. 대신 [[김해 버스 220]]번이 풍유동에서 하단역까지 단독으로 운행 중이다. == 특징 == * '''환승대기시간이 90분으로 적용됐었다.''' * 운행당시 220번과 시간표를 통합으로 적용하여 번갈아가며 운행했다.[* 단 221번 막차는 1대만 운행했다.] * [[장유신도시]]와 [[하단역]]을 오가는 장거리 수요가 상당히 많았다. 동시에 [[렛츠런파크 부산경남]]을 경유하기 때문에 관광객 수요도 존재했다. * 2018년에 개관한 김해서부문화센터와 하단역을 바로 잇는 유일한 노선이었어서 [[서부산]]권에서 장유에 문화생활을 즐기러갈때 이노선을 많이 이용했었다. * [[수가로]] 구간은 마을 입구만 경유하는 구간이라 승객이 거의 없어서 통과하는 정류장이 대부분이라 70~80km/h로 과속했다. 그래서 만약 승객이 타려고 손을 흔들면 기사가 급하게 브레이크를 밟기 때문에 버스는 정류장을 벗어나서 정차하고 승객은 버스를 타려고 뛰어오는 촌극이 연출되기도 했다. * [[부산광역시]] 경계에 소재한 마을인 가동마을을 경유하는 유일한 버스였다.[* [[세진여객]] 정관영업소가 위치한 곳도 이름이 같은 가동마을이며, 세진여객 소속 [[정관신도시]] 경유 노선들이 모두 정차한다. 이름만 같을 뿐 두 마을의 거리는 굉장히 멀다.] * '율하지구~수가리' 구간은 [[김해 버스 23|23번]]과 중복되어 수요가 저조한 편이었다. * [[부산 버스 55|55번]]과 [[부산 버스 58|58번]]이 정차하는 진목을 통과했었다. * 운행당시 220번이 221번보다 수요가 2배 더 많았다. 출근 수요와 막차 수요를 220번이 담당하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221번은 220번과 달리 [[장유신도시]]를 깊게 들어가기 때문에 오히려 [[장유신도시]] 수요는 221번이 더 많았다. * '풍유동~장유농협' 구간은 220번이 단독으로 운행하고 '장유온천~장유농협' 구간은 221번이 단독으로 운행했었다. * 221번은 [[태영버스]] 본사부터 장유온천까지 회송하여 운행을 시작했다. * 폐선전 221번은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노선들 중 인가대수가 가장 적은 노선이었다. == 사건사고 == [include(틀:사건사고)] 2021년 11월 15일 오후 12시 05분경, 221번 버스가 강서구 생곡동 인근 식당 앞에서 주차된 덤프트럭을 들이받아 차량 전면부가 박살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2793897|#]] == 일평균 승차량 == * 출처는 [[https://www.kotsa.or.kr/ptc/inside_use.do|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고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한다. * 소수점 3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한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한다. || '''{{{#fff32b 연도}}}''' || '''{{{#fff32b 일평균 승차량}}}''' || '''{{{#fff32b 전년대비 변동폭}}}''' || || 2014년 || 612.71 || || || 2015년 || 455.43 || {{{#blue ▽ 157.28}}} || || 2016년 || 448.00 || {{{#blue ▽ 7.43}}} || || 2017년 || 455.71 || {{{#red △ 7.71}}} || || 2018년 || 455.28 || {{{#blue ▽ 0.42}}} || || 2019년 || 474.28 || {{{#red △ 19.00}}} || === 시간표 === || {{{#ffffff 221번 운행시간표[br]2021년 08월 01일 기준}}}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순번 || 김해 || 부산 || || 1 || 06:00 || 07:05 || || 2 || 06:40 || 07:50 || || 3 || 08:40 || 09:50 || || 4 || 09:20 || 10:30 || || 5 || 11:15 || 12:25 || || 6 || 12:00 || 13:10 || || 7 || 14:50 || 16:00 || || 8 || 16:40 || 18:00 || || 9 || 17:30 || 18:50 || || 10 || 19:40 || 20:50 || }}}}}}}}} || ==== 통합시간표 (하단역 기준) ==== 다음은 하단역 정류장에 부착된 하단역 기준 시간표이다. (2022.07.28.촬영) [[파일:김해버스220/부산버스221시간표(하단역부착기준).jpg]] ===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좌석버스 221번}}}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낙동남로|{{{#353535,#eee '''낙동남로'''}}}]] || || {{{-2 성산 ▼}}}||{{{-2 ▲ 순아동}}} || ||<-2> [[생곡로|{{{#353535,#eee '''생곡로'''}}}]] || || {{{-2 세산삼거리 ▼}}}||{{{-2 ▲ 세산삼거리}}} || ||<-2> [[가락대로|{{{#353535,#eee '''가락대로'''}}}]] || || {{{-2 조만포 ▼}}}||{{{-2 ▲ 사구}}} || ||<-2> [[수가로|{{{#353535,#eee '''수가로'''}}}]] || || {{{-2 용곡마을 ▼}}}||{{{-2 ▲ 수가마을}}} || ||<-2> [[수가로|{{{#353535,#eee '''수가로360번길'''}}}]] || || {{{-2 장유유치원 ▼}}}||{{{-2 ▲ 태정마을}}} || ||<-2> [[수가로|{{{#353535,#eee '''수가로'''}}}]] || || {{{-2 율하2지구입구 ▼}}}||{{{-2 ▲ 장유모산마을}}} || ||<-2> [[율하4로|{{{#353535,#eee '''율하4로'''}}}]] || || {{{-2 서부문화센터 ▼}}}||{{{-2 ▲ 율하2지구입구}}} || ||<-2> [[율하1로|{{{#353535,#eee '''율하1로'''}}}]] || || {{{-2 중앙하이츠 후문 ▼}}}||{{{-2 ▲ 중앙하이츠}}} || ||<-2> [[율하3로|{{{#353535,#eee '''율하3로'''}}}]] || || {{{-2 한림풀에버 ▼}}}||{{{-2 ▲ 관동초등학교}}} || ||<-2> [[관동로(김해)|{{{#353535,#eee '''관동로'''}}}]] || || {{{-2 ▼}}}||{{{-2 ▲ 용산마을}}} || ||<-2> [[장유로|{{{#353535,#eee '''장유로'''}}}]] || || {{{-2 ▼}}}||{{{-2 ▲}}} || ||<-2> [[칠산로(김해)|{{{#353535,#eee '''칠산로'''}}}]] || || {{{-2 신문마을 ▼}}}||{{{-2 ▲}}} || ||<-2> [[장유로|{{{#353535,#eee '''장유로'''}}}]] || || {{{-2 장유농협 ▼}}}||{{{-2 ▲ 무계교}}} || ||<-2> [[장유로|{{{#353535,#eee '''장유로301번길'''}}}]] || || {{{-2 ▼}}}||{{{-2 ▲ 장유농협}}} || ||<-2> [[금관대로|{{{#353535,#eee '''금관대로'''}}}]] || || {{{-2 장유우체국 ▼}}}||{{{-2 ▲}}} || ||<-2> [[장유로|{{{#353535,#eee '''장유로'''}}}]] || || {{{-2 쌍용예가아파트 ▼}}}||{{{-2 ▲ 무계교}}} || ||<-2> [[장유로|{{{#353535,#eee '''장유로334번길'''}}}]] || || {{{-2 ▼}}}||{{{-2 ▲ 삼문마을}}} || ||<-2> [[삼문로(김해)|{{{#353535,#eee '''삼문로'''}}}]] || || {{{-2 장유온천 ▼}}}||{{{-2 ▲}}} || ||<-2> [[반룡로(김해)|{{{#353535,#eee '''반룡로'''}}}]]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하단역]] == 둘러보기 == [include(틀:장유지역 교통편)] [include(틀:부산-김해 버스)] [include(틀:하단역 환승센터 경유버스)] [[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폐선]][[분류:2007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23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