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구 93번, rd1=부산 버스 93)] [include(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 [[파일:DSC_0720 (1).jpg|width=100%]] || [[파일:부산23 3445.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23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23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감만동차고지) ||<-2> 종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부산진우체국.가야1치안센터) || ||<|2> 종점[br]행 || 첫차 || 04:30 ||<|2> 기점[br]행 || 첫차 || 05:12 || || 막차 || 22:45 || 막차 || 23:28 || ||<-2> 평일배차 || 출퇴근 4~5분 / 평시 5~6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6~7분 / 공휴일 7~8분 || ||<-2> 운수사명 || [[신성여객(부산)|신성여객]] ||<-2> 인가대수 || 25대[*주말 토요일 22대 / 공휴일 20대 운행] || ||<-2> 노선 ||<-4> 감만동차고지 - 감만시장 - 감만창의문화촌 - 우암초등학교 - 7부두 - 문현교차로 - ( → 부산진성공원 →/← 국민은행범일동지점 ←) - 중앙시장 - [[범내골역]] - [[서면역]].서면지하상가 - [[서면역]].롯데호텔백화점 - 진양교차로 - 부산진구생활문화센터 - 청수탕 - (→ 백양뜨란채아파트 →/← [[선암사(부산)|선암사]]입구 ←) - 국제백양아파트 - 개금주공아파트 - 부산진우체국.가야1치안센터 || == 개요 ==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28.7km다. [[http://map.naver.com/?busId=71048|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1970년에 신설되었다. 당시엔 당감동까지 운행했으며, 대성여객[* 1987년에 폐업했다.] 소속 노선이었다. * 1980년 신성여객이 대성여객으로부터 분리될 때 같이 넘어가 현재까지도 신성여객에서 운행중이다. 2003년도 기준 운행대수는 23대였다. * 2007년 5월 15일 폐선된 구.93번 출신 차량 2대가 증차분으로 넘어오면서 운행대수가 25대가 되었고, 폐선된 25번을 대신하여 선암사입구까지 연장되었다. 동시에 감만동 방향으로 서면롯데백화점에도 추가 정차를 하게 되었다. 이전에는 감만동 방향으로 서면롯데백화점 정류장엔 정차하지 않았다.[* 이 때는 서면복개로 정류장에 정차했다. 같이 [[우암동(부산)|우암동]]을 경유하는 68번, 구.25번과 구.68-1번도 마찬가지였다.] * 2009년 12월 1일 당감동 단선 순환 구간이 선암사입구→개성고교에서 개성고교→선암사입구 순으로 변경되었다. * 2022년 2월 12일 [[동의대역]]까지 연장되었다. 동의대역 정류장은 부산진우체국 앞에서 유턴한 이후 [[동의대역]] 2번출구 앞에 위치한 [[부산 버스 부산진9|부산진9번]]만 정차하는 단독 정류장에 공동으로 정차한다. 기존 단선회차 구간은 그대로 유지되며 [[개성고등학교]] 구간은 동의대역 방향, 선암사입구 구간은 감만동 방향으로 변경되었다. * 2022년 12월 28일 BRT 서면~주례 구간 개통으로 [[동의대역]]에서 부산진우체국으로 왕복 1.5km 가량 소폭 연장되었다.[* BRT 부산진우체국 정류장에 정차한 이후 가야119안전센터 앞에서 유턴하여 다시 부산진우체국으로 향한다.] BRT 개통으로 인해 BRT에서 바로 우회전해서 당감동 쪽으로 진입하기 때문에 [[동의대역]]2번출구 정류장은 정차가 불가능해져 10개월 만에 폐지되었다.[* 동시에 행선판 표기도 동의대역에서 부산진우체국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서면복개로에서 중앙대로 BRT 진입 불가[* 중앙대로 BRT 개통 이후에도 서면복개로를 경유할 때 부산진초등학교에서 BRT로 진입을 하지 못해 범내골역 정류장을 미정차하는 문제가 발생했다.]로 양방향 중앙대로 경유로 변경되었다. === 구 23-1번 === * 당시 감만1동 - 7부두 - 문현2동 파출소[* 현.성동초교 후문] - 문전교차로 - 동성고교 - 대우자동차[* 현 전포부영아파트] - 서면교차로 - 진양교차로 - 당감4동으로 운행되었다. * 그러나 수요 저조를 면치못하여 1989년 6월 4일에 당감4동~문현2동파출소까지 단축되었지만, 이마저도 오래가지 못하고 유령화되었다가 폐선되었다. 이후 23-1번의 대체노선인지는 불분명하지만 선암사입구~동성고교 구간의 [[부산 버스 503|503번]]이 신설되었다. 그러나 2006년 버스환승시행제가 도입되면서 폐지되었다. == 특징 == * '''[[신성여객(부산)|신성여객]]의 주력/간판 노선이다.''' * 2023년 1월 시행된 저상버스 의무화 정책에서 저상출고 예외노선 중 하나다. 예외 사유는 당감동 구간 때문. 실제로 당감주공을 경유하는 노선 중에 저상버스는 전기 저상버스만 운행하는데, [[신성여객(부산)]]은 아직 전기버스 충전 여건이 마련되지 않아 지정되었다. * 노선은 짧은 편이지만 주거지와 중심지를 잇는 노선으로 단거리 노선답지 않게 구간 수요가 매우 많은 편이다. * [[감만동]]에서 [[서면]]으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라 지역주민들의 이용율이 상당히 높다. 다만 서면보다는 [[범일역]]에서 [[부산 도시철도 1호선]]으로 환승하기 위해 이용하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다.[* 68번/168번의 경우에는 범일역 8번, 10번 출구 쪽으로 운행한다. 23번은 중앙시장에서 내릴 경우 범일역 8번, 10번 출구는 승강장까지 거리가 엄청나기 때문에 부산은행범일동지점에서 내려서 걸어가는 게 빠르다.] 또한 엄청난 물량공세 덕에 구간수요를 많이 확보하고 있다. 당감동 쪽 수요도 괜찮은 편이고 '우암동 - 서면' 구간 수요는 시민회관에서 자유시장으로 질러가는 [[부산 버스 68|68번]]에 조금 밀리지만 그래도 많은 편이다. * 자성대, 범일동(부산은행 인근)을 유일하게 경유하고 있어 68번과는 꽤 차별을 두고 있다. 준공영제 때 구 17-1번이 폐선되면서 '당감동 - [[범일로(부산)|범일로]]' 노선은 23번이 유일하여 당감동에서 중앙시장이나 현대백화점, 범일동으로 이동하는 수요를 흡수했으며 구 68-1번 폐선 이후 168번이 신설되기 전까지 감만1동에서 유일하게 범내골, 서면으로 가는 노선이 되었다. 그리고 당감주공(선암사입구)까지 연장되어 구 25번과 구 93번 수요까지 그대로 흡수하여 [[부산 버스 17|17번]]과 경쟁 중이나 부암3동 주택가 쪽은 개성고등학교를 경유하여 우회하는 단점이 있어 17번에 밀리고 있다. 그래서 한때는 68번 + 17번 조합이 23번 하나 타는 것보다 시간이 절약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68번 감차, 시민회관쪽의 신호체계 변경, 그리고 168번의 배차간격 등으로 인해 최근에는 68번을 압도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 감만동 이후로 중복노선들이 많아 노선의 메리트가 떨어지고 또한 노선자체로 봐선 주거지와 중심지만을 이어주는 단거리 노선에 평시시간대에 배차간격이 짧고 운행대수가 너무 많아보이는 등 과소평가를 받고 있는 노선이다.[* 따라서 본 노선에서 몇 대 감차하여 68번이나 138번, 138-1번에 투입시해달라는 요구가 많이 나온다. 특히 138번과 138-1번은 운행거리는 엄청 긴데 인가대수가 턱없이 부족하다. 물론 버스 회사가 달라서 일방적인 차돌리기는 불가능하고 감차시킨 차량 대수분을 그대로 동남여객으로 이관시켜야 할 것이다.] 17번이나 68번에게 밀리는 것은 사실이지만, 상대적으로 수요가 떨어질 뿐이지 17번이나 68번이 워낙에 고수익 노선들이다. 그리고 상술했듯이 구간수요가 많은 노선이고, 워낙에 감만동 쪽 수요가 많다.[* 감만동에서는 남포동보다 서면이 더욱 가깝다 따라서 서면으로 가려는 수요가 더욱 많다. --문화생활을 영위하기엔 남포동보다 서면이 더욱 낫기도 하고--] * 그리고 짧은 노선임에도 불구하고 1일 평균 약 1만 5천 명 가량이 이 노선을 이용하고 있으며[* 놀랍게도 승객 수는 흑자 노선인 [[부산 버스 24|24번]]보다 더 많다. 그도 그럴것이 [[감만동|양]] [[당감동|끝]] 주거지역이 도시철도가 닿지 않는 음영지역이기때문에 서면으로 나가려면 버스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운송수입금으로 봐도 알 수가 있는데 비수기 운송수입금 순위로도 20위권 안에 들어간 노선이다. 따라서 지금과 같은 인가대수로 운행하는게 맞고 노선도 별다른 조정없이 계속 같은 노선으로 운행될 가능성이 높다. * 2015년에 신설된 [[부산 버스 168|168번]]이 동항초등학교, 감만현대아파트를 경유해 수요가 분산될 것으로 보였으나 워낙 뜸하게 오다보니 '신선대부두 - 감만현대아파트' 구간을 제외하면 여전히 이 노선이 압도하고 있다.--기다리느니 걸어가는 게 더 빠를듯-- * 2015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으로 68번이 15대나 감차되어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중 운행횟수가 가장 많은 노선이 되었다.[* 평일 '''264회'''/토요일 233회/휴일 211회.] 때문에 이 노선을 신성여객 기점에서 더 지나 현재 [[부산 버스 168|168번]]만 단독으로 경유하는 동항초등학교, 감만현대아파트까지 노선을 소폭 연장하여 오토닉스로 연장된 43번 노선 형태처럼 돌아나가도록 노선을 연장시켜달라고 요구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결국 이 노선 대신에 [[부산 버스 26|26번]]이 출근 시간대인 07:00~09:00에 그리고 [[부산 버스 101|101번]]이 감만현대아파트까지 연장 운행하게 되었으며, 서면행도 좀 돌아 가지만 [[부산 버스 10|10번]]이 추가로 연장 운행 하고 있다.[* 아마 168번이 이 노선과 같이 서면 롯데호텔.백화점을 잇는 노선인지라 부전시장,전포초등학교를 경유하는 10번이 추가로 투입한 것으로 보이며, 이것과 마찬가지로 부산역행인 26과 101번이 투입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동의대역 연장 이후 운행횟수가 200회로 많이 줄었다. * [[부산 버스 138-1|138-1번]]도 이 노선과 함께 당감1치안센터에서 우암초등학교까지 이어주지만, 138-1번은 경남공고,전포역 국제금융센터 부산은행을 경유하는 노선이기에 이 노선과 경유지는 많이 다르다. * 평시에는 진양교차로의 상습적인 교통정체로 인해 짧은 노선임에도 불구하고 운행시간이 늘어나는 경우가 있다. * 2022년 2월 12일 [[동의대역]]으로 연장되었으며 그 동안 철도수혜를 덜 받았던 당감동 지역에서 [[동의대역]]으로 내려가는 노선이 생겼다. 다만 [[수정터널]] 위가 아닌 부산진우체국 앞에서 유턴 회차를 하고 동의대역 2번 출구 앞에만 정차하기 때문에 [[동의대학교]]로 올라가는 [[부산 버스 부산진9|부산진9번]]과 나머지 서면행 노선들과 바로 연계가 안되는 것이 아쉬운 점. 또한 연선 거주인구가 상대적으로 많은 [[백양산로]] 방면에서 동의대역으로 가는 것이 아닌 상대적으로 연선 인구가 적은 [[당감서로]]에서 동의대역으로 운행하는 노선이라 백양산로에서는 바로 동의대역으로 갈 수 없다는 점이 아쉽다.[* 선암사입구에서는 백양뜨란채아파트 정류장까지 걸어가서 이용하거나 용사촌입구나 동원초등학교에서는 청수탕 정류장까지 걸어내려가야 한다.] 이후 BRT 개통으로 인해 부산진우체국까지 연장되었지만 이로 인해 오히려 동의대역 정류장이 주례 방면으로 더 뒤로 이전되는 바람에 동의대역과 직접 연계가 되지 않는 노선이 되었다. 대신 BRT 정류장에 정차하면서 당감동에서 가야대로 연선과의 환승 연계는 오히려 편리해졌다. 부산진우체국으로 소폭 연장된 이후 행선판도 동의대역에서 부산진우체국으로 변경되었다. * [[부산진시장]]으로 간다면 범일동 국민은행에서 내려 조금 걸어가면 된다.[* 당감동 방향은 범일역에 내려서 걸어가면 된다.] * 막차 시각이 22:45로 늦는 편이지만 운행거리가 짧은 편이라 23:30경에 부산진우체국에서 회차하여 돌아나가면 익일 00:10경 운행이 끝난다. * 부산진우체국 연장 이후 연장 이전의 차내 노선도를 아직도 붙여놓은 차량이 몇대 있다. * 2023년 7월 29일 개편의 뜻밖의 수혜 노선이다. 감만1동~범내골~서면 노선이었던 168번이 이번에 서면으로 가지 않고 부산역으로 가서 부산터널과 구덕터널을 거쳐가는 노선으로 180도 완전히 된데다, 당감동에서는 17번의 배차간격 대폭 증가, 국제백양아파트 인근의 경우에는 1004번과 1009-1번의 30분이 넘어가는 배차간격으로 인하여 해당지역 주민들이 견디다 못해 이 노선을 타고 서면, 서면롯데백화점이나 부산진우체국으로 나가는 수요가 크게 늘어 뜻밖의 반사 이익을 제대로 보고 있다. 후술할 현직 23번 승무원 유튜버의 전언에 의하면 수요가 기존보다 2배 가량 늘었다고 한다.[* 현재 회사의 요청으로 회사 관련 영상은 모두 내린 상태다.] * 해당 노선에 유튜브를 하는 기사가 있다.[* [[https://www.youtube.com/@HBTAGO|링크]]] 여담으로 이분은 가끔 라이브도 한다. === 사건 및 사고 === [include(틀:사건사고)] [[2020년]] [[10월 28일]] 오후 4시 14분쯤, [[우암동(부산)|우암동]] 부산은행 앞에서 미군 화물차량이 이 노선의 버스 후미를 추돌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 사고로 승객 1명이 다쳐 병원으로 옮겨졌다. 사고가 난 차량은 2020년 11월초에 수리후 다시 운행중이다. [[https://m.lawissue.co.kr/view.php?ud=2020102818062320589a8c8bf58f_12|관련 기사]] === 연간 일평균 승차량 === * 원 출처는 [[http://www.kotsa.or.kr/ptc/inside_use.do|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 재구성된 자료이므로, 계산 및 산출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 '''{{{#FFF32B 연도}}}''' || '''{{{#FFF32B 일평균 승차량}}}''' || '''{{{#FFF32B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16264.43||<)>|| ||2015년||<)>15900.43||<)>{{{#blue ▽ 364.00}}}|| ||2016년||<)>15383.29||<)>{{{#blue ▽ 517.14}}}|| ||2017년||<)>15105.14||<)>{{{#blue ▽ 278.15}}}|| ||2018년||<)>14678.86||<)>{{{#blue ▽ 426.28}}}|| ||2019년||<)>14098.86||<)>{{{#blue ▽ 580.00}}}|| === 노선 === ||<#3399f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23번}}} || ||<^|1><#ffffff,#1f2023>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6> '''백양가족공원[br]05289''' || || 백양뜨란채아파트[br]05294 ||<#3399ff> || || ||<#3399ff> || 선암사입구[br]05291 || || 동원초등학교[br]05301 ||<#3399ff> {{{#ffffff ↓}}} || || ||<#3399ff> {{{#ffffff ↑}}} || 개성고등학교[br]05300 || || 용사촌입구[br]05035 ||<#3399ff> || || ||<#3399ff> || 당감벽산아파트[br]05078 || || 청수탕[br]05181 ||<#3399ff> {{{#ffffff ↓}}} || || ||<#3399ff> {{{#ffffff ↑}}} || 청수탕[br]05008 || || 당감동[br]05081 ||<#3399ff> || || ||<#3399ff> || - || || (구)당감4동주민센터[br]05088 ||<#3399ff> {{{#ffffff ↓}}} || || ||<#3399ff> {{{#ffffff ↑}}} || (구)당감4동주민센터[br]05320 || || 화승삼성아파트[br]05083 ||<#3399ff> || || ||<#3399ff> || 화승삼성아파트[br]05084 || || 당감초등학교[br]05088 ||<#3399ff> {{{#ffffff ↓}}} || || ||<#3399ff> {{{#ffffff ↑}}} || 당감초등학교[br]05087 || || 당감1치안센터[br]05154 ||<#3399ff> || || ||<#3399ff> || 당감1치안센터[br]05155 || || 진양교차로[br]05158 ||<#3399ff> {{{#ffffff ↓}}} || || ||<#3399ff> {{{#ffffff ↑}}} || 진양교차로[br]05340 || || 부암역.당감입구[br]05193 ||<#3399ff> || || ||<#3399ff> || 부암역.당감입구[br]05192 || || 롯데호텔백화점(서면역)[br]05319 ||<#3399ff> {{{#ffffff ↓}}} || || ||<#3399ff> {{{#ffffff ↑}}} || 롯데호텔백화점(서면역)[br]05189 || || 서면시장[br]05236 ||<#3399ff> || ||<#3399ff> || || 서면역 서면지하상가[br]05710 || || 서면복개로[br]05234 ||<#3399ff> {{{#ffffff ↓}}} || ||<#3399ff> {{{#ffffff ↑}}} || || 서면한전[br]05712 || || 부산진초등학교[br]05230 ||<#3399ff> || || ||<#3399ff> || 범내골역[br]05227 || || 중앙시장[br]05215 ||<#3399ff> {{{#ffffff ↓}}} || || ||<#3399ff> {{{#ffffff ↑}}} || 중앙시장[br]05221 || || 범일동국민은행[br]03146 ||<#3399ff> || || ||<#3399ff> || 범일역.범일동국민은행[br]03140 || || - ||<#3399ff> {{{#ffffff ↓}}} || || ||<#3399ff> {{{#ffffff ↑}}} || 자성대[br]03143 || || 문현교차로[br]07044 ||<#3399ff> || || ||<#3399ff> || 문현교차로[br]07045 || || 7부두[br]07080 ||<#3399ff> {{{#ffffff ↓}}} || || ||<#3399ff> {{{#ffffff ↑}}} || 7부두[br]07079 || || 남부중앙새마을금고[br]07081 ||<#3399ff> || || ||<#3399ff> || 남부중앙새마을금고[br]07077 || || 우암초등학교[br]07076 ||<#3399ff> {{{#ffffff ↓}}} || || ||<#3399ff> {{{#ffffff ↑}}} || 우암초등학교[br]07075 || || 우암자유아파트[br]07083 ||<#3399ff> || || ||<#3399ff> || 우암자유아파트[br]07084 || || 감만창의문화촌[br]07086 ||<#3399ff> {{{#ffffff ↓}}} || || ||<#3399ff> {{{#ffffff ↑}}} || 감만창의문화촌[br]07085 || || 감만시장[br]07087 ||<#3399ff> || || ||<#3399ff> || 감만시장[br]07088 || ||<-6> '''감만동[br]07201 · 07089''' || ||<-6><#3399ff> || }}}}}}}}} || ||<^|1><#ffffff,#1f2023>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백양산로|{{{#353535,#eee '''백양산로53번길'''}}}]] || || {{{-2 동원초등학교 ▼}}}||{{{-2 ▲ 백양가족공원}}} || || [[백양산로|{{{#353535,#eee '''백양산로'''}}}]]||[[당감서로|{{{#353535,#eee '''당감서로'''}}}]] || || {{{-2 청수탕 ▼}}}||{{{-2 ▲ 당감백산아파트}}} || || [[당감서로|{{{#353535,#eee '''당감서로100번길'''}}}]]||[[백양순환로|{{{#353535,#eee '''백양순환로'''}}}]] || || {{{-2 당감동 ▼}}}||{{{-2 ▲}}} || ||<|2> [[당감서로|{{{#353535,#eee '''당감서로'''}}}]]||[[당감서로|{{{#353535,#eee '''당감서로94번길'''}}}]] || ||{{{-2 ▲ 청수탕}}} || ||<-2> [[당감서로|{{{#353535,#eee '''당감서로'''}}}]] || || {{{-2 화승삼성아파트 ▼}}}||{{{-2 ▲ (구)당감4동주민센터}}} || ||<-2> [[당감로|{{{#353535,#eee '''당감로'''}}}]] || || {{{-2 당감1치안센터 ▼}}}||{{{-2 ▲ 당감초등학교}}} || ||<-2> [[백양대로|{{{#353535,#eee '''백양대로'''}}}]] || || {{{-2 부암역.당감입구 ▼}}}||{{{-2 ▲ 진양교차로}}} || ||<-2> [[신천대로(부산)|{{{#353535,#eee '''신천대로'''}}}]] || || {{{-2 롯데호텔백화점(서면역) ▼}}}||{{{-2 ▲ 부암역.당감입구}}} || ||<-2> [[가야대로|{{{#353535,#eee '''가야대로'''}}}]] || || {{{-2 서면시장 ▼}}}||{{{-2 ▲ 롯데호텔백화점(서면역)}}} || || [[서면로(부산)|{{{#353535,#eee '''서면로'''}}}]]||<|4>[[중앙대로(부산)|{{{#353535,#eee '''중앙대로'''}}}]] || || {{{-2 부산진초등학교 ▼}}}|| || [[신천대로(부산)|{{{#353535,#eee '''신천대로'''}}}]]|| || {{{-2 ▼}}}|| ||<-2> [[중앙대로(부산)|{{{#353535,#eee '''중앙대로'''}}}]] || || {{{-2 중앙시장 ▼}}}||{{{-2 ▲ 범내골역}}} || ||<-2> [[범일로(부산)|{{{#353535,#eee '''범일로'''}}}]] || || {{{-2 범일동국민은행 ▼}}}||{{{-2 ▲ 범일역.범일동부산은행}}} || || [[범일로(부산)|{{{#353535,#eee '''범일로102번길'''}}}]]||[[자성공원로|{{{#353535,#eee '''자성공원로'''}}}]] || || {{{-2 ▼}}}||{{{-2 ▲ 자성대}}} || || [[조방로|{{{#353535,#eee '''조방로'''}}}]]||<|2>[[자성로|{{{#353535,#eee '''자성로'''}}}]] || || {{{-2 ▼}}}|| ||<-2> [[자성로|{{{#353535,#eee '''자성로'''}}}]] || || {{{-2 문현교차로 ▼}}}||{{{-2 ▲}}} || ||<-2> [[우암로(부산)|{{{#353535,#eee '''우암로'''}}}]] || }}}}}}}}} || ||<#3399ff> || == 연계 철도역 == *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범일역]], [[범내골역]], [[서면역]] * [[파일:Busan2.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서면역, [[부암역]] [[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1970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