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구 302번 좌석버스(송정.해운대 - 대학병원), rd1=부산 버스 1003)] [include(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부산버스302.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302번}}} || ||<-6><^|1>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302번_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상남도 양산시 용당동(웅상공영차고지) ||<-2> 종점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동리(원자력의학원) || ||<|2> 종점[br]행 || 첫차 || 05:00 ||<|2> 기점[br]행 || 첫차 || 06:05 || || 막차 || 22:30 || 막차 || 23:35 || ||<-2> 평일배차 || 출퇴근 40분 / 평시 45분 ||<-2> 주말배차 || 47분 || ||<-2> 운수사명 || [[삼신교통]] ||<-2> 인가대수 || 4대 || ||<-2><|2> 노선 ||<-4> [[웅상공영차고지]] - 서창동행정복지센터 - 개운중.효암고 - 웅상문화체육센터입구 - 웅상도서관 - 덕계사거리 - 덕계상설시장 - 월평교차로 - [[부산추모공원]] - 모전초등학교 - [[신정초등학교]] - 계룡리슈빌 - 한진해모로 - 정관읍행정복지센터·[[기장소방서]] - 덕산마을 - (→ 서희스타힐스 → 달산마을 →/← [[부산중앙중학교|중앙중학교]] ← 달산초등학교 ←) - 강변마을 - 기장구조대 - 내덕입구 - [[부산장안고등학교]] - 좌천초등학교 - __[[좌천역(동해선)|동해선좌천역]]__ - [[장안제일고등학교]] - 원자력의학원 → 이후 역순 || ||<-4>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 == 개요 ==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48.5km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http://map.naver.com/?busId=71127&enc=b64|여기로]] == 역사 == * [[양산시]]의 [[웅상]] - [[정관]] 간 버스노선 신설 요청을 부산시가 받아들여 2014년 7월 26일에 '''정책노선'''으로 신설되었다. [[http://bus.busan.go.kr/busanBIMS/bus_info/adjust_view.asp?seq=30|부산시 노선조정안내]] * 2015년 1월 30일에 차고지를 양산 [[용당동(양산)|용당동]]에 신축한 [[웅상공영차고지]]로 이전하였다.[* 원래는 [[삼신교통]] 서창영업소를 명동 화성파크드림 근처로 이전하려 했으나 주민들의 반대가 심했고 [[양산시]]와 용당동에 공영차고지를 만들도록 협의가 되면서 현재 차고지로 이전하였다.] 하지만 공식적으로 인가가 나지는 않아 중간 정류소에는 세울 수 없었고 차고지에서만 승하차해야 했다. * 2015년 4월 18일에 양산 용당동 [[웅상공영차고지]]로 공식 연장되면서 중간 정류소(편들마을)에도 승하차할 수 있게 되었다. [[http://bus.busan.go.kr/busanBIMS/bus_info/adjust_view.asp?seq=35|부산시 노선조정안내]] * 2021년 1월 16일에 [[정관신도시]]에서 [[부산 버스 37|37번]]의 선형을 따라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을 거쳐 장안읍 좌천리까지 연장되었다.[* 회차 방식은 [[부산장안고등학교]]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좌천삼거리 → 좌천초등학교 → 부산장안고등학교 순의 단선순환 방식으로 [[좌천로(기장)|좌천로]]를 경유하게 되었다.] 조만간 전철이 좌천을 지나 태화강까지 연장될 예정이므로 이로서 부산, 울산으로 가는 전철 환승 수요가 새로 생겨날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부산 버스 50|50번]]과 [[부산 버스 1002|1002번]]의 인가대수를 각각 1대씩 감차하여 이 노선의 인가대수를 2대 증차하여 4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 2021년 12월 28일에 [[동해선 광역전철]]이 일광역에서 태화강까지 연장되면서 이 노선은 [[좌천역(동해선)|동해선 좌천역]] 역내를 경유하는 노선으로 변경되면서 기존 단선 회차에서 왕복 회차로 바뀌었으며[* 부산장안고등학교 - 좌천초등학교 - 좌천역 - 좌천삼거리 - 원자력의학원 노선으로 운행한다. [[부산 버스 1008|1008번]]과 같은 노선으로 따라간다.] 회차지점이 [[동남권원자력의학원]][* 병원 앞에 있는 [[부산 버스 1008|1008번]] 간이 차고지에서 회차한다.]으로 변경되었다. === 구.302번 === [include(틀:폐선)] [[부산 버스 1003#s-3.2]] 문서로. == 특징 == * '''환승대기시간이 60분으로 적용된다.''' * '''구(區) 단위 지역을 가지 않는 단 둘 뿐인 노선'''이다.[* [[양산시]]와 [[기장군]]만 경유한다. 다른 하나는 [[부산 버스 180|180번]] 오전 3회 지선으로 기장군과 해운대구를 경유한다. 여담으로 한때 기장군과 해운대구(윗반송역)를 경유했던 [[부산 버스 188|188번]]은 2021년 1월 16일 노선 개편으로 기장군만 경유하고 있다.] 또한 부산에서 덕계 이북 지역인 서창으로 올라가는 유일한 입석노선이다. 덤으로 정관에서 부산 시가지로 가는 대부분의 노선들과는 달리 유일하게 양산 방면으로 운행하는 노선이기도 하다.[* 37번이 변두리 지역인 노포동으로 가며 중간에 양산시 땅을 거쳐가긴 하나 양산 시내구간은 아니다.] * 양산시 [[웅상]] 주민들의 [[정관신도시]] 방면 이동이 많은 것을 감안하여 [[양산시]]가 [[부산광역시]]에 버스노선 신설을 요청하였다고 한다.[[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140628.22006221334|#]] 또한 [[정관신도시]] 내에서도 [[웅상]]으로 향하는 버스노선 신설을 계속 요청하였기에 [[부산광역시]]와 [[양산시]]가 원만하게 합의하여 노선신설을 이끌어냈다. * [[정관신도시]]에서 월평교차로를 경유하여 덕계, 서창 쪽으로 진출하기 때문에 울산 시내버스들과도 연계가 되어 수요가 괜찮은 편이다.[* 단 울산 버스인 1127번, 1137번, 714번과의 환승할인은 적용되지 않는다. 물론 양산 버스인 2100번, 2300번을 이용하면 환승할인이 적용된다.] * 준공영제 시행 이후 7년여 만에 시계 외 지역에 신설된 부산시내버스 노선이다. 또한 302번이라는 노선 번호도 [[부산 버스 1003|1003번]]으로 급행화된 이후 7년여만에 부활했다. 다만 이 노선은 1003번과는 무관하며 [[부산 버스 301|301번]]에서 분리신설된 노선이다. * 도시철도와 연계되지 않음에도 정관 - 덕계 구간을 이어주다 보니 울산 시내버스와 연계가 되기 때문에 시간에 맞추어 이용하는 승객이 늘어났다. 하지만 울산시내버스와의 환승은 불가능해서인지 적은 운행대수에 비해 운송수입금은 상당히 많은 편이다. 인가대수가 2대 시절때, 1일 평균 총 승객 수도 약 800명에 불과하지만 1일 대당 운송수입금은 40만원을 넘기고 있다. 2018년 6월에는 1일 대당 운송수입금 45만원을 기록하였다. 특히 최근에는 웅상 주민들이 문화생활과 업무 등으로 정관을 찾는 사례가 많아졌고 정관 주민들도 대중교통으로 울산을 가기 위해 이 노선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과거에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웅상 쪽으로 가는게 더 빨랐다. 웅상 쪽으로 가지 않고 차량 경로와 비슷하게 가려면 [[부산 버스 37|37번]]을 타고 월내에 내려 [[울산 버스 715|715번]]으로 환승해야 한다. 하지만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는데 울산 도심이라고 할 수 있는 공업탑까지 약 2시간은 잡아야 했다. 현재는 동해선이 개통되어 좌천역가는 아무 버스나 잡아타고 좌천역으로 간 다음 동해선을 이용하면 된다.] * 지금은 나름대로 인지도가 생겨서 정관 쪽으로 오가는 승객들이 302번이 오는 시간에 맞춰 이용하고 있으며 서창에서 월평까지는 와일드카드식의 노선으로 승객들이 이용하고 있다. 서창에서는 천성리버타운으로 우회하지 않고 개운중.효암고 방면으로 운행하는 특성상 1002번보다 더욱 빠르게 가기 때문에 이용하는 승객들이 많다. 반대로 정관 내부 승하차도 어느정도 있는 편인데 정관내부를 우회하지 않고 다니는 몇 안되는 노선이기 때문이다.[* 당장 동일 구간을 빙글빙글 돌며 운행하는 [[부산 버스 37|37번]]을 생각하면 답이 나온다.] 이후 반응이 더 좋아져서 인지 삼신교통 홈페이지의 건의게시판에 증차요구 글까지 올라왔다. * 웅상 구간 승하차도 약간 있는 편인데 천성리버타운으로 우회하여 가는 [[부산 버스 1002|1002번]]과는 달리 구.301번의 선형을 따라 웅상중앙병원과 [[개운중학교(경남)|개운중]], [[효암고등학교|효암고]]를 경유하여 바로 서창동행정복지센터로 향하기 때문이다. 물론 덕계~서창 구간은 마을버스들이 거의 5~10분 간격으로 다니고 있어 큰 의미는 없다. * 홈플러스 정관점 근처를 이어주기 때문에 [[웅상]] 거주민들이 홈플러스에 가려고 이 노선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다. 양산에는 홈플러스가 없기 때문이다.[* 덕계에서는 [[부산 버스 50|50번]]을 타고 [[온천장역]]에 내러서 홈플러스 온천점으로 가도 무방하나 이동 시간이 40~50분 정도가 걸린다. 반면 이 노선을 타고 정관점까지 가면 빠르면 30분 이내로 이어준다. 다만 정관점은 영업 종료 시간이 22:00으로 이른데다 점포 규모가 적고 물건 종류도 적어서 그냥 온천점까지 내려가는 사람들도 많다. 참고로 이 때문에 오히려 정관 쪽 주민들이 덕계 쪽에 있는 이마트 트레이더스나 서창 쪽에 있는 롯데마트를 이용하는 경우도 제법 있다. 사실 정관 거주민이 이마트 트레이더스를 이용하려면 무조건 덕계점으로 가는 편이 훨씬 낫다. [[트레이더스 서면점|서면점]]이나 연산점은 부산 시내로 나가야 하는데다 환승이 필수이고, [[스타필드시티 명지|명지점]]은 반대편 끄트머리인 [[명지국제신도시]]에 위치해 있어서 매우 멀리 떨어져있다.--대중교통으로만 2시간 넘게 걸린다--] * 2016년 3월 12일에 [[부산 버스 301|301번]]이 웅상에서 완전히 철수하게 되어 301번에서의 승객 유입이 생겼지만 [[금정구]]로 가지 못하는 단점 때문에 효과가 크진 않다. 301번 단축 후 유사노선인 [[양산 버스 58|양산 58번]]이 수요가 많이 늘어 인가대수 증차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2021년 12월 1일에 [[양산 버스 60|60번]] 개통으로 통신사로,두산위브 경유노선과는 달리 월평에서는 무정차로 통과한다. * 전차량 전기버스여서 운행하기 편한데다가, 과거에는 노선 거리와 소요시간이 짧아 상대적으로 근무여건이 좋았기 때문에 50번 승무원들이 302번으로 가고 싶어 했다. 허나 노선이 좌천까지 연장되어 예전만은 못하다고 한다. 현재는 기점에서 종점까지 대략 90여분 정도 소요되고 있어 보통의 노선들과 큰 차이가 없어졌다. * 동해선 [[좌천역(동해선)|좌천역]]에서 월평까지는 [[부산 버스 기장57|기장57번]]과 겹친다. * [[삼신교통]] 노선들 중, [[금정구]]와 관련없는 유일한 노선이다. * 동해선 좌천역에서 양방향이 동일한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방향혼동 방지를 위해 보조 행선판을 확인하여야한다. || '''웅상공영차고지 방향'''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방향''' || || '''{{{+3 {{{#red 덕계, 서창행}}}}}}''' || '''{{{+3 {{{#blue 원자력의학원행}}}}}}''' || === 개통 당시 논란 === * [[부산광역시]]의 버스가 준공영제로 차량총량제에 묶여있는 데다[* 203번과 2000번은 한정면허] [[부산 버스 1008|1008번]] 노선 증차로 서창영업소의 차량들을 최대로 끌어썼기 때문에 더 이상 타 노선에서의 감차가 힘들어[* 간혹 본사 주재 노선인 [[부산 버스 49|49번]], [[부산 버스 80|80번]], [[부산 버스 148|148번]]의 감차를 주장하는 이들이 있는데 오래 전부터 본사 주력노선과 웅상 노선 간의 전체 승객 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절대 쉽게 주장할 문제가 아니다.] 적자가 상당히 누적된 [[부산 버스 301|301번]] 노선에서 분리신설하는 방향으로 [[부산 버스 301|301번]]에서 2대 감차하여 2014년 7월 26일에 개통되었다. [[부산 버스 301|301번]]은 감차로 배차간격이 심하게 늘어날 것을 우려하여 같은 날부터 [[노포동]]까지 단축운행하게 되었고 [[웅상]]지역 노선도 차고지에서 출발하여 곧장 대동아파트로 향하고 서창아파트단지를 거쳐 곧바로 덕계로 가게 되었다.[* 아침에만 5회 [[부산대학교]]까지 지선격으로 운행하게 되었고 본 노선이 [[노포동]]까지 단축되었다 하더라도 [[부산 버스 301|301번]]의 운행거리는 결코 짧지 않아 [[부산 버스 301|301번]] 이용 승객들의 불편도 여전했다.] * 기존의 [[양산개운중학교]], 웅상병원 쪽 경로는 302번이 대신하여 운행하게 된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웅상]]지역 주민들은 [[정관신도시]]가 부산 버스를 뺏어간다며 [[http://ysnews.co.kr/default/index_view_page.php?part_idx=218&idx=62831|#]] 분통을 터뜨렸고 [[양산시]] 측은 웅상 - [[정관신도시]] 간 버스노선 신설을 부산시에 적극 요청했고 부산시에서 웅상 - 부산 간 장거리 승객이 많은 [[부산 버스 301|301번]]에서 분리신설하는 방향으로 조치하게 되어서 적잖이 당황한 것 같다. * 302번은 정관에서 서창, 덕계를 연결하려는 목적으로 신설된 노선인데 오히려 부산으로 가는 서창, 덕계 주민들에게 민폐만 끼치는 노선으로 취급받았었다. === 미래 === * [[울산 버스 714|울산 714번]]의 [[정관신도시]] 연장 떡밥이 꾸준히 나오고 있는 상황이었다.[[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240281&page=1&search_pos=&s_type=search_all&s_keyword=714%EB%B2%88|#]] 아무래도 입석으로 다니기에는 심히 무리라고 판단했는지 714번/715번 연장은 사실상 무산되었고 대신 울산 - 부산 간 광역급행버스 2개(가칭 3001번, 3002번)의 노선을 구상하여 울산광역시와 신설 협의 중이라고 하였다. 만약 개통된다면 가칭 3002번과 노선이 상당수 겹치기 때문에, 현재 이 노선이 상당히 애매한 포지션에 놓일 위험이 있으므로[* 배차간격이 평균 50분으로 상당히 이용하기 애매한데다 가칭 3002번 노선과 선형이 너무 겹친다.] 일각에서는 이 노선이 존폐위기에 놓일지도 모른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그러나 2017년 하반기 쯤 정관신도시 - 웅상 - 울산역 간 버스 노선 신설이 거의 목전까지 왔다가[*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양산시 모두 동의를 했었고 노선선형, 인가대수, 정류장 명칭까지 자세히 나와있었다.] ~~그놈의 시외버스 타령하는~~ 경상남도에서 난색을 표하면서 신설이 보류되기도 했다.[* 당시는 부산~울산~경남이 뭔가 협의하는 분위기가 아니었다. 무엇보다 당시 도지사가 부재했었기 때문에 권한대행 입장에서 결정하기 부담스러웠던 것으로 보인다. 경남이 다른지역보다 시외버스 업계의 입김이 강한 것도 있고.] * 그리고 2019년 초반에 울산 - 양산시장 - 양산 을 국회의원이 울산역 방면 노선신설에 합의했고 정관까지 노선을 잇기 위해 부산시와 협의에 들어갔지만 신복로터리 통과 문제로 울산시의 버스업체들이 심한 반발을 표하면서 노선신설이 또다시 보류된 적이 있었다. 이는 2017년도와 상황이 다소 달라졌기 때문인데 [[양산 버스 2100, 2300|2100, 2300번]]이 광역환승제한을 풀면서 울산직행노선들의 수요감소가 매우 급격히 이뤄졌기 때문이다.[* 물론 울산 직행좌석과 정관~웅상~울산역 노선은 직접적 관련이 없지만 타 시도 노선이 울산을 넘나들면서 자신들의 수요를 뺏을 수 있다는 우려가 충분히 나올 수 있는 상황이다. 울산시 버스체계가 수익금공동관리체계라 준공영제와 상당히 유사한 모습이긴 하지만 엄연히 아직은 민영제인데다가 최근 대부분의 노선들을 공동배차에서 단독노선으로 전환해버려 수익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결국 보다못한 양산시가 자신들의 몫으로 되어있던 2대분을 가지고[* 원래 부산·울산·양산시가 각각 2대씩 인가대수 6대, 45분 배차간격으로 위에 노선을 운행할 예정이었다.] 웅상 - 울산역간 3100번을 신설해 2년 간 임시로 운행 중이지만 공기수송을 면치 못하고 있다.[* 배차간격이 2시간이 넘어가는 점도 있으며 노선 개통 직후에 [[코로나 19]] 사태가 일어나 전국적인 이동량 감소된 점이 겹쳤는데 울산역 KTX 수요를 따라가는 이 노선은 일반 시내버스 노선보다 피해가 더 크다. 그리고 인구 10만 내외인 웅상 지역만으로는 수요가 부족해 [[정관신도시]]를 기점으로 해서 웅상을 거쳐가는 20만 인구권을 커버하는 노선 신설을 계속 시도했던 점을 감안해보면 결국 협상 결렬로 둘 중 하나만 지나가는 반쪽짜리 노선으로 시작했으니 수요 부족은 필연적일 수밖에 없다.] * 2021년 1월 16일에 [[좌천역(동해선)|동해선 좌천역]]까지 연장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tation&no=25640|#]] 동해선 전철과의 연계 강화 및 좌천 지역 교통 편의를 목적으로 연장되었다. 이렇게 되면 웅상지역에서 대중교통으로 가기 힘들었던 부산프리미엄아울렛, [[기장읍]], [[오시리아관광단지]], [[송정동(해운대구)|송정]] 일대[* 해운대의 경우 [[신해운대역]]이 외곽에 있어 좀 모호하며 벡스코 일대의 경우 [[부산 버스 1002|1002번]]이 한 번에 가기 때문에 별 메리트가 없다.] 그리고 월내, 서생, 남창 등지를 가는 것이 많이 수월해질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부산 버스 37|37번]]이 전담하고 있는 [[부산추모공원]] 방면 수요도 어느 정도 분담해 줄 것으로 예상된다.[* 주로 좌천역까지 무궁화호를 타고 와서 [[부산추모공원]]으로 가려는 승객들이 많은데 이전까지는 37번에만 의존해서 가야만 했다. 이제는 동해선이 개통하면서 좌천역에서 부산추모공원으로 가는 수요도 상당히 늘것으로 보인다.] 노선연장으로 인가대수가 2대가 증차되었지만, 연장거리가 그만큼 꽤 길어서 배차간격은 정관 서희스타힐스 종점 시절보다 약 5분 가량만 줄었다. 그래도 차량이 늘면서 배차간격이 한시간 단위까지 벌어지지 않는건 다행. 그래도 평시 배차간격이 50분 정도로 매우 길어서 반드시 [[시간표]]를 확인하고 이용해야 한다. === 시간표 === 2023년 11월 20일 기준 [[http://www.samshinbus.com/popup/302.htm|시간표]]이다. === 연간 일평균 승차량 === * 원 출처는 [[https://www.kotsa.or.kr/ptc/inside_use.do|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 '''{{{#fff32b 연도}}}''' || '''{{{#fff32b 일평균 승차량}}}''' || '''{{{#fff32b 전년대비 변동폭}}}''' || ||2015년|| 757.71|| || ||2016년|| 818.14|| {{{#red △ 60.43}}}|| ||2017년|| 844.14|| {{{#red △ 26.00}}}|| ||2018년|| 825.00|| {{{#blue ▽ 19.14}}}|| ||2019년|| 875.14|| {{{#red △ 50.14}}}|| ===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302번}}}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6> 장안제일고등학교[br]16272 || ||<|2> - ||<|2><#3399ff> ||<-2><#3399ff> {{{#ffffff ←}}} ||<|2><#3399ff> ||<|2> - || || || || || '''좌천삼거리[br]16101''' ||<#3399ff> {{{#ffffff ↓}}} || '''종점''' || ||<#3399ff> {{{#ffffff ↑}}} || 좌동리교차로[br]16253 || || 좌천초등학교[br]16270 ||<#3399ff> || || ||<#3399ff> || 원자력의학원[br]16252 || ||<-6> 이상 회차 구간 || || 부산장안고등학교[br]16018 || {{{#ffffff ↓}}} || || || {{{#ffffff ↑}}} || 부산장안고등학교[br]16139 || || 기장구조대[br]16020 || || || || || 기장구조대[br]16173 || || 부산프리미엄아울렛[br]16290 || {{{#ffffff ↓}}} || || || {{{#ffffff ↑}}} || - || || 내덕입구[br]16019 || || || || || 내덕입구[br]16114 || || 광명사입구[br]16073 || {{{#ffffff ↓}}} || || || {{{#ffffff ↑}}} || 광명사입구[br]16049 || || 기장구조대[br]16020 || || || || || 기장구조대[br]16173 || || 예림마을[br]16021 || {{{#ffffff ↓}}} || || || {{{#ffffff ↑}}} || 예림마을 || || 서편마을[br]16022 || || || || || 서편마을[br]16145 || || 독점마을[br]16023 || {{{#ffffff ↓}}} || || || {{{#ffffff ↑}}} || 독점마을 || || 강변마을[br]16024 || || || || || 강변마을[br]16099 || || 거화테라스1차[br]16025 || {{{#ffffff ↓}}} || || || {{{#ffffff ↑}}} || 달산마을[br]16352 || || 달산초등학교[br]16291 || || || || || 옛터어린이공원입구[br]16354 || || 구연마을[br]16219 || {{{#ffffff ↓}}} || || || {{{#ffffff ↑}}} || 서희스타힐스[br]16256 || || 중앙중학교[br]16093 || || || || || 소두방공원[br]16254 || || 덕산마을[br]16037 || {{{#ffffff ↓}}} || || || {{{#ffffff ↑}}} || 덕산마을[br]16170 || || 정관읍사무소 기장소방서[br]16086 || || || || || 정관읍사무소 기장소방서[br]16172 || || 신동아파밀리에 정문[br]16222 || {{{#ffffff ↓}}} || || || {{{#ffffff ↑}}} || 신동아파밀리에 정문[br]16221 || || 정관홈플러스[br]16250 || || || || || 정관홈플러스[br]16251 || || 한진해모로[br]16207 || {{{#ffffff ↓}}} || || || {{{#ffffff ↑}}} || 한진해모로[br]16208 || || 계룡리슈빌[br]16209 || || || || || 계룡리슈빌[br]16210 || || 정관주민자치회관[br]16288 || {{{#ffffff ↓}}} || || || {{{#ffffff ↑}}} || 동일스위트1차[br]16289 || || 롯데캐슬[br]16212 || || || || || 휴먼시아 1차[br]16211 || || 신정초등학교[br]16294 || {{{#ffffff ↓}}} || || || {{{#ffffff ↑}}} || 신정초등학교[br]16293 || || 정원초등학교[br]16041 || {{{#ffffff ↓}}} || || || {{{#ffffff ↑}}} || 정원초등학교[br]16135 || || 솔마루공원[br]16223 || || || || || 솔마루공원[br]16224 || || 모전마을[br]16042 || || || || || 모전마을[br]16138 || || 모전초등학교[br]16179 || {{{#ffffff ↓}}} || || || {{{#ffffff ↑}}} || 모전초등학교[br]16043 || || 솔빛공원[br]16369 || || || || || 솔빛공원[br]16368 || || 정관고개[br]16044 || {{{#ffffff ↓}}} || || || {{{#ffffff ↑}}} || 정관고개[br]16171 || || 부산추모공원[br]16102 || || || || || 부산추모공원[br]16103 || || 백운제1공원[br]16045 || {{{#ffffff ↓}}} || || || {{{#ffffff ↑}}} || 백운제1공원[br]16158 || || 용천사[br]16083 || || || || || - || || 두명마을[br]16046 || {{{#ffffff ↓}}} || || || {{{#ffffff ↑}}} || 두명마을[br]16125 || || 월평교차로[br]16197 || || || || || 월평교차로[br]16196 || || 월평고개[br]16192 || {{{#ffffff ↓}}} || || || {{{#ffffff ↑}}} || 월평고개[br]16191 || || 덕계상설시장[br]52020 || || || || || 덕계상설시장[br]52019 || || 동일2차아파트[br]52021 || {{{#ffffff ↓}}} || || || {{{#ffffff ↑}}} || 동일2차아파트[br]52022 || || 덕계메가마트[br]52023 || || || || || 덕계메가마트[br]52024 || || 덕계사거리[br]52026 || {{{#ffffff ↓}}} || || || {{{#ffffff ↑}}} || 덕계사거리[br]52025 || || 덕계마을(덕계다리)[br]52027 || || || || || 덕계마을(덕계다리)[br]52028 || || 신명마을[br]52036 || {{{#ffffff ↓}}} || || || {{{#ffffff ↑}}} || 신명마을[br]52035 || || 혜인병원[br]52038 || || || || || 혜인병원[br]52037 || || 웅상도서관[br]52082 || {{{#ffffff ↓}}} || || || {{{#ffffff ↑}}} || 웅상도서관[br]52083 || || 주진마을[br]52039 || || || || || 주진마을[br]52040 || || 양산롯데캐슬입구 || {{{#ffffff ↓}}} || || || {{{#ffffff ↑}}} || 양산롯데캐슬입구 || || 웅상문화체육센터입구 || || || || || 웅상문화체육센터입구[br]52041 || || 명동마을[br]52042 || {{{#ffffff ↓}}} || || || {{{#ffffff ↑}}} || 명동마을[br]52043 || || 웅상중앙병원[br]52044 || || || || || 웅상중앙병원[br]52061 || || 그랜드볼링장[br]52045 || {{{#ffffff ↓}}} || || || {{{#ffffff ↑}}} || 그랜드볼링장[br]52060 || || 새웅상요양병원[br]52046 || || || || || 새웅상요양병원[br]52059 || || 효암고.개운중학교[br]52047 || {{{#ffffff ↓}}} || || || {{{#ffffff ↑}}} || 효암고.개운중학교[br]52058 || || 농협중앙회웅상지점[br]52048 || || || || || 농협중앙회웅상지점 [br]52103 || || 서창동행정복지센터[br]25062 || {{{#ffffff ↓}}} || || || {{{#ffffff ↑}}} || 서창동행정복지센터[br]52057 || || - || || || || || 삼용마을[br]52056 || || 북부마을[br]52050 || {{{#ffffff ↓}}} || || || {{{#ffffff ↑}}} || 북부마을 || || 편들마을 || || || || || 편들마을[br]52124 || ||<-6> '''용당공영차고지'''[br] || ||<-6> '''정류소번호가 없는 정류소가 다수 있으니 이용에 참고해야 한다''' || ||<-6> || }}}}}}}}}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좌천로(기장)|{{{#353535,#eee '''좌천로'''}}}]] || || {{{-2 ▼}}}||{{{-2 ▲ 장안제일고등학교}}} || ||<|2> [[기장대로|{{{#353535,#eee '''기장대로'''}}}]]||{{{#353535,#eee '''좌동길'''}}} || ||{{{-2 ▲ 원자력의학원}}} || ||<-2> [[기장대로|{{{#353535,#eee '''기장대로'''}}}]] || || {{{-2 부산장안고등학교 ▼}}}||{{{-2 ▲}}} || ||<-2> [[정관로|{{{#353535,#eee '''정관로'''}}}]] || || {{{-2 구연마을 ▼}}}||{{{-2 ▲ 강변마을}}} || ||<-2> [[구연방곡로|{{{#353535,#eee '''구연방곡로'''}}}]] || || {{{-2 덕산마을 ▼}}}||{{{-2 ▲ 소두방공원}}} || ||<-2> {{{#353535,#eee '''정관덕산길'''}}} || || {{{-2 정관읍사무소 기장소방서 ▼}}}||{{{-2 ▲ 덕산마을}}} || ||<-2> [[용수로(기장)|{{{#353535,#eee '''용수로'''}}}]] || || {{{-2 신동아파밀리에 정문 ▼}}}||{{{-2 ▲ 정관읍사무소 기장소방서}}} || ||<-2> [[정관5로|{{{#353535,#eee '''정관5로'''}}}]] || || {{{-2 한진해모로 ▼}}}||{{{-2 ▲ 정관홈플러스}}} || ||<-2> [[정관로|{{{#353535,#eee '''정관로'''}}}]] || || {{{-2 모전초등학교 ▼}}}||{{{-2 ▲ 모전마을}}} || ||<-2> [[정관1로|{{{#353535,#eee '''정관1로'''}}}]] || || {{{-2 정관고개 ▼}}}||{{{-2 ▲ 솔빛공원}}} || ||<-2> [[정관로|{{{#353535,#eee '''정관로'''}}}]] || || {{{-2 월평교차로 ▼}}}||{{{-2 ▲ 월평교차로}}} || ||<-2> [[웅상대로|{{{#353535,#eee '''웅상대로'''}}}]] || || {{{-2 덕계상설시장 ▼}}}||{{{-2 ▲ 월평고개}}} || ||<-2> [[덕계로(양산)|{{{#353535,#eee '''덕계로'''}}}]] || || {{{-2 신명마을 ▼}}}||{{{-2 ▲ 덕계마을(덕계다리)}}} || ||<-2> [[웅상대로|{{{#353535,#eee '''웅상대로'''}}}]] || || {{{-2 웅상중앙병원 ▼}}}||{{{-2 ▲ 명동마을}}} || ||<-2> [[서창로(양산)|{{{#353535,#eee '''서창로'''}}}]] || || {{{-2 편들마을 ▼}}}||{{{-2 ▲ 북부마을}}} || ||<|2> [[웅상대로|{{{#353535,#eee '''웅상대로'''}}}]]||[[대운로|{{{#353535,#eee '''대운로'''}}}]] || ||{{{-2 ▲}}} || ||<-2> [[웅상대로|{{{#353535,#eee '''웅상대로'''}}}]]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width=17]] [[동해선 광역전철]]: [[좌천역(동해선)|좌천역]] ==# 둘러보기 #== [include(틀:정관신도시 버스)] [include(틀:부산-양산간 버스)] [include(틀:원자력의학원 버스)] [[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양산시 경유 관외노선]][[분류:2014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