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부산 버스 49.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부산 버스 49H.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49번}}} || ||<-6><^|1>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49번_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금정공영차고지) ||<-2> 종점 ||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광안리해수욕장) || ||<|2> 종점[br]행 || 첫차 || 05:00 ||<|2> 기점[br]행 || 첫차 || 06:06 || || 막차 || 22:15 || 막차 || 23:25 || ||<-2> 평일배차 || 출퇴근 9분 / 평시 10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10분 / 공휴일 11분 || ||<-2> 운수사명 || [[삼신교통]] ||<-2> 인가대수 || 22대[*공휴일 19대 운행][* 업체 사정으로 인해 실제로는 평일에 20대만 운행하고 있다.] || ||<-2> 노선 ||<-4> [[금정공영차고지]] - [[부산종합버스터미널]].[[노포역]] - [[범어사]]입구 - 남산동새벽시장 - 남산초등학교 - [[구서역]].구서시장 - 장전초등학교 - (→ 장전중앙교회 →/← [[장전역]] ←) - [[부산대학교]] - (→ 부산대앞부산은행 →) - [[부산대역]] - 부곡시장 - 부곡4동주민센터.[[온천장역]] - 동래우체국 - 동래전화국 - 동래시장 - 우성아파트 - 연동시장 - 토곡한양아파트 - [[망미주공아파트]] - 망미중앙시장 - 수영사적공원 → 수영교차로.[[수영역]] → 민락아파트[*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 → [[광안리해수욕장]] → [[광안역]] → [[수영역]] → 수영사적공원 → 이후 역순 || == 개요 ==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44.5km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http://map.naver.com/?busId=71023|여기로]] == 역사 == * 이 노선의 원래 번호는 '''49-1번'''이었으며, 구.137번이 폐선된 뒤 [[금강로(부산)|금강로]] 연선 지역 대체노선으로 1989년 6월 4일 이 노선이 개통되었다. [[노포동]]을 제외한 범어사입구 - [[광안리해수욕장]] 간은 개통 이래 지금까지 한결같이 운행되고 있다. * 2001년 9월 20일 부산동부시외터미널과 부산고속버스터미널이 통합되어 노포동으로 이전함에 따라 노포동 [[부산종합버스터미널]]까지 연장되었다.[* 당시 90번을 제외한 모든 삼신교통 본사노선이 노포동으로 연장되었다. 이후 구.47번은 불과 한달 뒤인 2001년 10월에, 구.80-1번은 2004년 11월에 노포동 미경유로 환원하였다.] * 준공영제 시행 전 인가대수는 28대였으나 준공영제 시행과 동시에 인가대수가 1대 감차되어 27대가 되었다. * 2008년 9월 1일 지선번호만 남아있는 노선번호를 정리하는 부산시 정책으로 49-1번에서 '-1'을 뺀 49번으로 변경되었다. * 2009년 3월 인가대수 조정 건으로 1대 감차되었다. * 2009년 9월 22일 소폭 변경이 있었는데 광안리행 운행 시 삼신교통 청룡동차고지 경유가 범어사입구 경유로 변경되었다. 이로써 양방향 범어사입구를 경유하게 되었다. * 2010년 3월 17일 1대 감차되어 [[부산 버스 37|37번]]으로 넘어갔다. * 2016년 6월 25일 [[삼신교통]]이 [[금정공영차고지]]에 입주함에 따라 금정공영차고지로 연장되었으며, 노포동터미널 승하차 위치도 노포역 2번출구 광역환승센터에서 [[중앙대로(부산)|중앙대로]] 버스 정류소로 변경되었다. * 2018년 9월 30일 1대 감차되어 [[부산 버스 300|300번]]으로 넘어가면서 이 노선의 인가대수는 24대가 되었다. 허나 본사 차고지의 7개 노선, 78대의 정규차를 3대의 예비차로만 커버하기 빡빡해서인지 평일·토요일에 이 노선의 정규차들을 매일 번갈아가면서 1대씩 대기시켜 이 노선의 실제 운행은 23대로 했다. * 2020년 4월 13일 예비차 활용 건으로 인가대수가 1대 감차되어 공식적으로 23대가 되었다. * 2022년 12월 1일 37번 노선 증차로 1대가 감차되어 22대가 되었다. === 구.49번 === [include(틀:폐선)] > 설명에 앞서 덧붙이면 '''현재 운행 중인 49번은 2008년 8월 31일까지 49-1번이었다가 2008년 9월 1일에 49번으로 노선번호가 변경된 것'''이므로, 현재 이 항목에 서술된 49번 노선과는 엄연히 다르다. * 1기 노선은 1970년대에 개통되었다. 노선은 기찰(구.롯데마트 금정점) - 부곡시장 - 온천장 - 교대앞 - 서면 - 부산진시장 - [[부산역]] - 남포동 - 충무동 - 송도아랫길 - [[송도해수욕장(부산)|송도해수욕장]]이었으며, 삼신교통에서 단독배차하였다. 1981년에 충무동으로 단축되었다가 이듬해에 폐선되었다. * 2기 노선은 1985년쯤에 개통되었다. 노선은 범어사입구 - 침례병원 - 두실역 - 태광산업 - 금정구청 - 부곡시장 - 온천입구 - 동래전화국 - 안락교차로 - [[토곡]] - 수영교차로 - 이화맨션 - [[광안리해수욕장]]을 운행했는데, 현.49번과 똑같이 단선순환회차했으며, 삼신교통에서 단독배차했다. 그리고 예전의 37번과 구.137번처럼 이 노선이 [[중앙대로(부산)|중앙대로]], 49-1번이 [[금강로(부산)|금강로]]를 경유하여 노선에 차이점을 두었다. 하지만 금강로 연선 지역을 경유하는 49-1번(현.49번)의 수요가 더 많아지게 됨과 동시에 이 노선의 수요 감소로 이어지면서 차차 감차가 되었다. 결국 49번도 1997년쯤에 두실 - 태광산업 - 금정구청 구간을 삭제하고, 49-1번과 동일하게 남산동새벽시장 - 구서시장 - 부산대학교정문 - 부산대역 운행으로 변경되었으며, 회차방식은 수영교차로>광안리해수욕장>광일맨션>수영구청>수영중학교>광안시장 순의 단선순환회차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49-1번에 비하면 존재감이 없었고, 회차구간 일부가 도시철도 2호선 공사 구간과도 겹쳐 1999년에 49-1번으로 통폐합되었다. == 특징 == * '''[[남산동(부산)|남산동]] [[금강로(부산)|금강로]]의 터줏대감 노선[* 보조노선으로 [[부산 버스 131|131번]], [[부산 버스 301|301번]]이 있다.]이자, [[부산 버스 148|148번]]과 함께 [[삼신교통]]의 간판/주력 노선이다.''' * [[금정구]] [[남산동(부산)|남산동]] [[금강로(부산)|금강로]] 지역에서 배차간격이 유일하게 정상적인 점[* 131번과 301번은 실제 배차간격이 25분을 초과한다.], 금정구 구서동과 부곡동에서 부산대, 동래전화국, 동래시장으로 연결되는 점, 연산토곡에서 부산대로 이어지는 점 덕택에 이 노선의 인지도는 절대적이다. 이 노선은 [[부산 버스 80|80번]]과 함께 구서1.2동의 양대산맥 노선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구서동 - 동래 간 이동 승객은 무조건 이 노선을 이용한다.[* 2001년에 [[부산 버스 51|51번]](구.51-1번)의 형간전환으로 수요가 분산되긴 했으나 이 노선의 이용률은 여전히 높다.] 배차간격도 짧은 노선이라 구간수요가 많으며, [[토곡|연산토곡]]에서 [[금정구]](특히 [[금정로(부산)|금정로]])로 바로 이어지는 점에서도 상당한 수요를 얻고 있다. 49-1번 시절부터 유서 깊은 노선으로 높은 인지도로 꾸준히 상당한 수요를 얻고 있으며, [[감포로(부산)|감포로]]와 [[광남로(부산)|광남로]]를 경유하기 때문에 수영교차로에서의 환승 수요도 제법 많다. 하위호환 노선으로 [[부산 버스 210|210번]]이 있었지만 2007년 대개편 때 현재의 노선으로 개편되었고, [[부산 버스 100|100번]], [[부산 버스 131|131번]], [[부산 버스 301|301번]]의 경우에는 이 노선을 보좌조차도 못하고 있는 수준이다. * 2001년 9월 20일에 동부터미널과 고속터미널이 통합하여 노포동으로 이전하였는데, 그때 이 노선이랑 [[부산 버스 148|148번]]이 가장 큰 수혜 노선으로 등극하였다. 노포동터미널에서 동래로 가장 빨리 이어주는 노선[* [[부산 버스 148|148번]]도 같이 노포동을 경유하지만 서동, 명장동으로 돌아간다. 단 구서동으로 빠져나올 때에는 148번이 조금 더 빠르다. [[부산 버스 50|50번]]은 배차간격이 49번, 148번에 비해 긴 편이다. [[2016년]] [[3월 19일]]부터 [[부산 버스 51|51번]]이 [[금정공영차고지]]로 연장되었는데, 노포동터미널에서 동래까지의 소요시간이 51번과 비슷비슷하다. 51번이 범어사입구에서 구서동으로 갈 때 ㄷ자 형태의 금샘로 구간을 지나고, 49번이 부산대학교에서 부곡동으로 갈 때 ㄷ자 형태의 구간을 지나기 때문.]이기 때문에 이용률이 상당히 높다. * [[구서동]], [[장전동]] 등지에서 80번과 함께 인지도가 가장 높으며, 전체적으로 상당히 짜임새가 좋은 황금노선이기 때문에 상술했듯이 범어사입구 - 광안리해수욕장 노선을 개통 이래 지금까지 한결같이 운행하고 있다. 역세권을 거의 비껴가는 노선이기 때문에 도시철도가 개통되었어도 별다른 피해를 입지도 않았다. * 2016년 3월 중반부터는 남산동새벽시장, 남산초등학교 구간을 [[부산 버스 131|131번]], [[부산 버스 301|301번]]이 함께 경유하고 있어서 다소 수요분담이 되고는 있으나 해당 연도의 승객 감소폭은 1일 대당 40명대로 그렇게 크지 않았다. * 2017년 1월 7일에 [[부산 버스 100|100번]]이 [[과정로]] 경유로 바뀌어 이 노선과 부산소방본부 - 온천입구 구간이 겹치는데다 과정로 - 부산대, 장전역을 이어주는 노선이 되어 승객 감소가 우려되었다. 허나, 승객들의 인지도 차이, 배차간격의 차이 및 이용 패턴의 차이 등으로 49번의 승객 감소폭은 별로 없이 한결같다. 1일 평균 총 13,000명 전후의 승객 수를 기록하고 있으며 여전히 자사노선 [[부산 버스 148|148번]]과 비등한 대당 승객수와 운송수입금을 기록하면서 [[삼신교통]] 내에서 148번과 함께 간판/주력 노선 자리를 지키고 있다. 방학시즌 포함 1일 대당 평균 600~640명 가량의 승객수와 55~58만원대의 운송수입금을 꾸준히 기록하고 있다.[* 승객수에 대해 자세한 정보를 보고 싶으면 일단 [[https://ptc.ts2020.kr/app/#/inside/use|이 사이트]]에 들어간 뒤 설정찍고 보면 된다. 요일별 승객수를 더한 후 7을 나누면 1일 평균 총 승객수가 나오며, 요일별 승객수를 더한 후 1주일 간의 운행대수를 나누면 1일 대당 승객수가 나온다(평일과 주말의 인가대수가 다른 노선이 많으니 반드시 주말 인가대수까지 확인해야 한다.).] * 그런데 이러한 점들이 있는데도 일각에서는 무슨 이유에서인지 온천장 - 토곡 구간 사이의 노선 변경을 주장하는 의견이 몇 있는데, 상술했듯 이 노선의 수요가 상당하며, 그렇다고 같은 구간을 다니는 [[부산 버스 57|57번]], [[부산 버스 100|100번]]의 배차간격이 이 노선처럼 좋은 것도 아니다. 따라서 기존 승객들의 상당히 많은 불편이 야기되기 때문에 아예 불가능하다. 즉 잘 다니는 노선을 건드렸다가 손해만 보는 또 하나의 결과물이 나오게 된다. * 여담이지만 [[광안리해수욕장]]에서 매년 10월마다 [[부산불꽃축제]]를 개최하면 역시 승객이 몰린다. 끝나고 나서는 돌아가려는 인파 때문에 [[광안동|광안리]] 전체가 [[충격과 공포]]에 빠진다. 버스는 가히 '''[[가축수송(교통)|가축수송]]'''의 상황. * 2018년 4월 중순부터 49번을 이용한 버스전용차로 단속이 시작되었다. 총 4대의 버스 안에 단속카메라가 설치되어있다. * 2019년 설날 연휴까지는 [[설날]] 연휴와 [[추석]] 연휴, 즉 [[명절]] 연휴 3일간은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의 심야 시외.고속버스 이용객 편의를 위해 심야버스를 5회 추가로 운행했으며 차고지에서 23:00~01:00에 30분 간격으로 출발했다. 허나 2019년 추석 연휴부터는 심야버스를 명절 연휴 전날과 명절 연휴 첫날 2일간 1회만 추가로 운행하며 차고지에서 00:00에 출발한다. * 2021년 5월 중순부터 9월까지 이 노선의 저상버스 1대가 [[마린버스]] 랩핑을 하고 운행했다. * [[삼신교통]] 본사에 입사를 하고 향후 정규 승무원으로 배정 받으면 이 노선부터 배정 받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80번부터 배정 받는 경우도 간혹 있으나, 대부분은 이 노선부터 배정 받는다.][* 다른 노선들은 회차지에서 휴식시간이 있는 반면에 이 노선은 회차지에서의 휴식시간이 거의 없이 바로 금정공영차고지로 가고, 교통체증이 많은 구간을 다니기 때문에 삼신교통 본사의 다른 노선들보다 운행 여건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 여담 === * 영어 표기가 잘못 되어있다. 부산대의 영어 표기가 Busan Natl.Univ로 잘못 표기되어 있는데 '''Pusan''' National University 또는 '''Pusan''' Nat'l Univ.가 되어야 한다.[* [[부산광역시]]는 Busan을 사용하지만 [[부산대학교]]는 아직 Pusan을 사용하므로 Pusan으로 표기하는 게 맞다.] [[광안리해수욕장]]의 영어 표기 또한 '''Gwanganri''' Beach로 잘못 표기되어 있는데 '''Gwangalli''' Beach가 되어야 한다. [[파일:부산버스49번(1).jpg|width=50%]] * 이 노선의 정규차는 깡철이(영화)에도 출연한 바 있으며, 차량 안에 '''영화촬영 지원차량''' 스티커도 부착되어있었다. 후면에 '[[부산 버스 61|신평◀▶부산역◀▶서부터미널]] 49'라고 적힌 가상 행선판을 부착하고 촬영하였으며, --하지만 LED 전광판에는 본래 기종점인 '노포동터미널▶광안동'으로 표출되었다(...)-- 삼신교통 노선이 전혀 가지 않는 [[영도구]] 산복도로에 출현했다고 한다. [[파일:부산버스49번(2).jpg|width=50%]] * [[딴따라(드라마)]]에 가상 노선인 360번이 나오는데, 이 노선의 정규차가 출연한 바 있으며, 차량 안에 '''드라마촬영 지원차량''' 스티커도 부착되어있다. 그런데 서울 양식(...) 스티커와 괴상한 노선 경로를 사용하여 부조화의 극치를 보여주었다. === 기타 사건사고 === [include(틀:사건사고)] 2021년 11월 1일, 부산 동래구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구간에서[[현대 투싼|투싼]] 차량이 정차한 시내버스를 들이받는 사고가 발생했다. 1일 부산 동래경찰서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30분쯤 부산 동래구 수안동 BRT 구간에서 30대 여성 A씨가 운전하던 투싼 차량이 49번 시내버스를 들이받았다. 이 사고로 투싼 차량 운전자 A씨와 버스 승객 7명이 다쳐 인근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다.[[http://www.segye.com/newsView/20211101514128?OutUrl=naveri|관련 기사]] === 연간 일평균 승차량 === * 원 출처는 [[http://www.kotsa.or.kr/ptc/inside_use.do|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 재구성된 자료이므로, 계산 및 산출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 '''{{{#fff32b 연도}}}''' || '''{{{#fff32b 일평균 승차량}}}''' || '''{{{#fff32b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15752.00|| || ||2015년|| 15744.14|| {{{#blue ▽ 7.86}}}|| ||2016년|| 14677.86|| {{{#blue ▽ 1066.28}}}|| ||2017년|| 14670.57|| {{{#blue ▽ 7.29}}}|| ||2018년|| 13615.42|| {{{#blue ▽ 1055.15}}}|| ||2019년|| 12609.71|| {{{#blue ▽ 1005.71}}}|| ===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49번}}}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광안로|{{{#353535,#eee '''광안로'''}}}]] || || {{{-2 광안역 ▼}}}||{{{-2 ▲ 광안리해수욕장}}} || ||<|4> [[수영로(부산)|{{{#353535,#eee '''수영로'''}}}]]||[[광남로(부산)|{{{#353535,#eee '''광남로'''}}}]] || ||{{{-2 ▲ 광안농협앞}}} || ||[[감포로(부산)|{{{#353535,#eee '''감포로'''}}}]] || ||{{{-2 ▲ 민락아파트}}} || ||<-2> [[수영로(부산)|{{{#353535,#eee '''수영로'''}}}]] || || {{{-2 수영사적공원 ▼}}}||{{{-2 ▲ 수영교차로(수영역)}}} || ||<-2> [[연수로(부산)|{{{#353535,#eee '''연수로'''}}}]] || || {{{-2 금호주유소 ▼}}}||{{{-2 ▲ 수영아파트}}} || ||<-2> [[과정로|{{{#353535,#eee '''과정로'''}}}]] || || {{{-2 연안교 ▼}}}||{{{-2 ▲ 경동아파트}}} || ||<-2> [[반송로(부산)|{{{#353535,#eee '''반송로'''}}}]] || || {{{-2 낙민역(동래고등학교) ▼}}}||{{{-2 ▲ 동래봉생병원}}} || ||<-2> [[충렬대로|{{{#353535,#eee '''충렬대로'''}}}]] || || {{{-2 동래전화국 ▼}}}||{{{-2 ▲ 동래시장}}} || ||<-2> [[명륜로(부산)|{{{#353535,#eee '''명륜로'''}}}]] || || {{{-2 동해중학교 ▼}}}||{{{-2 ▲ 온천입구}}} || ||<-2> [[부곡로(부산)|{{{#353535,#eee '''부곡로'''}}}]] || || {{{-2 부산대역.부곡대우아파트 ▼}}}||{{{-2 ▲ 금정세무서}}} || ||<|2> [[부산대학로(부산)|{{{#353535,#eee '''부산대학로'''}}}]]||[[중앙대로(부산)|{{{#353535,#eee '''중앙대로'''}}}]] || ||{{{-2 ▲}}} || ||<-2> [[부산대학로(부산)|{{{#353535,#eee '''부산대학로'''}}}]] || || {{{-2 부산대학교정문 ▼}}}||{{{-2 ▲ 부산대역}}} || ||<-2> [[금정로(부산)|{{{#353535,#eee '''금정로'''}}}]] || || {{{-2 ▼}}}||{{{-2 ▲ 부산대앞부산은행}}} || || [[수림로(부산)|{{{#353535,#eee '''수림로'''}}}]]||[[장전로(부산)|{{{#353535,#eee '''장전로'''}}}]] || || {{{-2 장전초등학교 ▼}}}||{{{-2 ▲ 부산대학교후문}}} || ||<-2> [[금강로(부산)|{{{#353535,#eee '''금강로'''}}}]] || || {{{-2 범어사입구 ▼}}}||{{{-2 ▲ 남산동농협}}} || ||<-2> [[청룡로(부산)|{{{#353535,#eee '''청룡로'''}}}]] || || {{{-2 노포삼거리 ▼}}}||{{{-2 ▲ 범어사입구}}} || ||<-2> [[중앙대로(부산)|{{{#353535,#eee '''중앙대로'''}}}]] || }}}}}}}}} || || || === 시간표 === 삼신교통 홈페이지 [[http://www.samshinbus.com/t_open2.asp|시간표]] 참조. == 연계 철도역 == *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노포역]], [[범어사역]], [[구서역]], [[장전역]],[* 금정공영차고지행만 경유] [[부산대역]], [[온천장역]] * [[파일:Busan2.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수영역]], [[광안역]] * [[파일:Busan3.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수영역 * [[파일:Busan4.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수안역]], [[낙민역]] == 둘러보기 == [include(틀:부산종합터미널 버스)] [include(틀:부산대학교 경유버스)] [[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1989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