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3> {{{#fff {{{+1 '''부산 해운대구 코오롱 씨클라우드 호텔 화재'''}}}}}}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30620해운대 호텔 화재.jpg|width=100%]]}}} || ||<-2> '''소방 대응 최고 단계''' || {{{+1 1단계}}} || ||<-2> '''발화 시각''' || [[2023년]] [[6월 20일]] 9시 34분[* 최초 신고 시각] || ||<-2> '''발생 위치'''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해운대구 중동 1392-100,너비=100%, 높이=100%)]}}}[br]'''[[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 1392-100[br]코오롱 씨클라우드호텔 ''' || ||<-2> '''유형''' || '''[[화재]]''' || ||<-2> '''원인''' || '''불명'''[* 원인은 모르나 폐기물 처리장인 지하 6층에서 최초 발화가 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 ||<-2> '''대피 인원''' || '''투숙객 170여 명''' || ||<-2> '''구조 인원''' || '''100여 명''' || ||<|2> {{{#!wiki style="margin: 0 -10px" '''인명[br]피해'''}}} || '''사망''' || '''0명''' || || '''부상''' || '''35명'''[* 연기 흡입으로 병원 이송 32명, 현장 응급처치 97명, 화상 입은 소방대원 3명] || ||<-2> '''재산 피해''' || '''확인안됨''' || ||<|2> {{{#!wiki style="margin: 0 -10px" '''동원'''}}} || '''인원''' || '''495명''' || || '''장비''' || '''헬기, 차량 등 81대''' || ||<-2> '''진화율''' || '''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 [youtube(aHTwjd569bA)] || [[2023년]] [[6월 20일]] 오전 9시 34분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에 위치한 37층 규모 코오롱 씨클라우드호텔 지하 6층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불은 발생 4시간 만인 13시 33분게 완진되었다. 한때 오전 10시 1분 경 대응 1단계가 발령되기도 했다. == 대응 == 오전 9시 34분 경, 씨클라우드호텔에서 화재가 발생했다는 신고를 접수했다. 오전 10시 1분 경 화재 규모가 커지자 소방 대응 1단계를 발령했다. 이후 인원 300여 명 및 차량 77대를 동원해 170여 명 가까이 되는 투숙객을 대피 및 구조시켰다. 오전 11시 경 대응 1단계를 해제했다. 단순 연기 흡입으로 31명의 투숙객이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오후 13시 33분 경 완전 진화가 되었다. == 피해 및 원인 == 중규모의 화재였음에도 다행히 사망자는 없었지만, 병원 이송 32명 + 현장 응급처치 97명을 도합 '''129명'''이라는 많은 부상자가 발생했다. 하지만 대부분 피해가 경미해 부상자로 집계되지는 않아 공식적으로 32명->35명이 실질적인 부상자로 본다. 화재로 [[해운대 해수욕장]] 앞 왕복 6차로와 [[구남로(해운대구)|구남로]] 진출입로 통행이 통제되어 한때 주변 교통이 마비됐다.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지하 6층 폐기물 처리장에서 최초 발화가 시작된 것으로 보고 21일 합동감식을 진행할 예정이다. 6월 21일 화재로 지하 1~5층에 주차된 차량 151대가 피해를 봤다. 7대는 반소(30~70% 소실)이며 나머지 144대는 대부분 그을음 등이다. 소방당국은 이번 화재로 총 10억 원 가량의 재산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진화 과정에서 소방대원 3명이 뺨, 손가락, 귀 등에 화상을 입어 부상자로 집계됐다. [[https://v.daum.net/v/20230621084610801|#1]]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30621/119867077/1|#2]] == 여담 == 화재 발생 이후 객실 복도에 연기가 들어찰 때 까지 대피 방송이 나오지 않았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투숙객 중 몇몇도 매캐한 연기가 날 때 또는 문을 열 때까지 화재라는 것을 인식하지 못했다고 한다. 이와 관련해 소방 당국은 불이 시작된 지하 6층 폐기물처리장 주변 층에서만 경보가 작동한 것으로 보고 있다. 많은 사람이 한꺼번에 대피하면서 생기는 혼란을 막기 위한 '우선 경보 방식'이 적용된 것. 소방 관계자는 "해당 건물은 5층 이상에 전체 면적 3천 m²를 초과해 일제 경보 대신 우선 경보 시스템이 울릴 것. 투숙객이 한꺼번에 대피할 경우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한 인근 3개 층만 방송이 울려 안내를 듣지 못한 투숙객이 있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다만 소방방재학과 교수가 "연기가 위층으로 올라간 것 자체가 우선 1차적인 문제가 된다. 연기가 확산함에 따라 비상방송을 통해서 추가적으로 대피에 대한 정보를 줬어야 하는데 그게 안 된 거다 라면 그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30층짜리 호텔에 피난층이 없는 탓에 호텔 안에 있던 2백여 명이 대피할 곳은 4층 야외수영장과 30층 옥상 뿐이었다. == 안전안내문자 == || {{{+1 ⚠️ '''안전안내문자'''}}} ---- [[행정안전부|[[파일:행정안전부 MI_가로.svg|width=10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안전안내문자 모두 보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해운대구]오늘 해운대구 중동 씨클라우드호텔(중동 1392-100)화재 발생. 주변도로 차량은 이 지역을 우회하여 주시고 인근 주민은 안전에 주의바랍니다. ||}}}}}}}}} || == 관련 보도 == *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31579|부산 해운대 호텔 화재로 170명 대피…4시간 만에 진화]] *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495426_36199.html|해운대 옆 30층 호텔 화재‥"대피 방송도 없었다"]]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236502|"옷만 입고 뛰쳐나왔다"…부산 호텔 화재로 170명 대피]]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704052|해운대 호텔 화재로 170여 명 대피…“대피 안내 방송 없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화재/한국)] [[분류:2023년 화재]][[분류:해운대구의 사건사고]][[분류:건축물 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