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 시내버스 회사)] [include(틀:기장군의 버스 회사)] ||<-2> '''부산여객자동차 주식회사'''[br]'''釜山旅客自動車'''[br]'''BUSAN BUS SERVICE''' || ||업종명|| 운수업 || ||설립일|| [[1966년]] [[6월 1일]] || ||대표|| 서석순, 서승윤 || ||주사무소||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기장대로]] 313 (청강리) || ||전화번호|| 본사: 051-702-7711[br]기장 교리 영업소: 051-722-8625 || ||차량번호|| 시내: 부산 70자 59xx, 부산 71자 18xx || ||면허대수|| 시내: 정규 64대, 예비 3대 || ||자본금|| 4억 9,200만원 (2022.12) || ||매출액|| 198억 1,392만 1,637원 (2022) || ||영업이익|| 2억 5,348만 1,014원 (2022) || ||순이익|| 4억 4,153만 1,510원 (2022) || ||자산총액|| 113억 9,340만 6,718원 (2022.12) || ||주주|| 서승윤: 69.11%[br]서석순: 30.89% || ||임직원|| 184명 (2022.12) || [목차] == 소개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 [[동부산공영차고지]]에 본사가 있으며, 기장읍 교리에 영업소가 있다. == 차고지 == * 본사([[동부산공영차고지]]):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기장대로]] 313 (청강리) - [[부산 버스 139|139번]], [[부산 버스 180|180번]], [[부산 버스 182|182번]], [[부산 버스 1003|1003번]] 시종착 * 기장영업소: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차성로]]436번길 11 (교리) - [[부산 버스 39|39번]] 시종착 === 과거에 사용했던 차고지 === * 구.본사: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2로]]13번길 60 ([[송정동(해운대구)|송정동]]) - [[부산 버스 139|139번]] 시종착/[[부산 버스 180|180번]], [[부산 버스 182#s-3.2|구.1006번]](현 182번) 주박 대로변인 송정삼거리에 위치한 [[해동여객]] 영업소에 비해 송정동에서도 제일 후미진 곳에 위치해 있었다. 현재는 소규모 공장과 컨테이너 보관소로 사용되고 있다. * 구.기장영업소: [[부산광역시]] [[기장군]] [[차성동로]]178번길 6 (교리) - [[부산 버스 39|39번]], [[부산 버스 1005#s-3.1|구.1005번]] 시종착 해동여객이 단독 영업소로 사용하던 차고지였으나, 2007년 5월 준공영제 대개편 때 운행대수가 많았던 142번이 폐선되고 운행대수가 적은 181번만 홀로 남게되자 부산여객도 이 차고지를 공동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2010년에 부산여객이 1003번 영업소 바로 앞쪽에 주박용 차고지를 추가로 마련하면서 해동여객 영업소에서 전면 철수하였다. == 역사 == * 1961년에 창립하였다. * 1977년에 용호동 노선을 분리독립하게 되어 [[시민여객(부산)|시민여객]]이 창립하게 되었다. * 1980년에 일부 노선을 분사하게 되며 [[부일여객]]이 창립하게 되였다. * 1990년대 후반, 소속 기사들의 면허 문제로 뉴스에까지 난 적이 있다. * 1999년에 '''전국 최초'''로 일반버스의 전 차량 냉방화를 달성한 회사이기도 하다.[* 1999년이면 비록 끝물이긴 했지만 '''RB520'''도 시내버스로 다니던 시절이다.] * 2002년 여름,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이 장산역까지 뚫린 이후 자사 노선들의 수요에 직격탄을 맞고 경영상태가 악화되었으나, 준공영제를 거쳐 2010년 이후로는 재정상황이 괜찮아졌다. 하지만 부산시에서 보조금을 지원해 주는 [[고급좌석버스|고급좌석차량]], [[저상버스]] 위주로 신차를 출고하고 있다. == 여담 == 부산의 [[서울승합]]이라고 봐도 될 정도로 잘나갔었다. 이 회사를 모태로 여러 회사가 분리된 것도, 도시의 이름을 그대로 쓰고 있는 것도, 상당히 유사하다. 지하철이 개통되면서 망할 뻔한 것, 준공영제 빨로 되살아났다는 것, 도시의 동쪽 끝에서 중심가까지 한번에 이어주는 좌석버스가 2개 다녔다[* 서울승합 959번(현. 메트로버스 370번이 유사하게 다님), 1007번(현. 대원여객 9301로 이관됨), 부산여객 239번, 302번(현.1003으로 통합됨)]는 것도 공통점. 부산여객은 한때 특급좌석버스도 가장 많이 운행할 정도로 잘 나갔으나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전 구간 개통 이후로 전체 노선의 수요가 감소하면서 재정상태가 급격하게 악화되기 시작했고, 이 회사의 자랑거리던 특급좌석도 점점 수요가 감소하여 2004년을 기해 전부 폐선된다. 2006년 5월 환승제 시행 이후로 경영난에 닥치게 되었다. 재정상태가 급속도로 나빠지게 되어, 회사를 계속 존속하기 위해 허리띠를 졸라매고, 차량도 내구연한인 10년 채우고 신차로 바꾸는 등 비용절감을 위해 철저히 노력했고 그나마도 주력노선인 1003번 외엔 신차출고를 지양하고, 타 업체 주문취소 차량 혹은 재고차량이나 중고차량을 사들이는 등의 행보를 보였었다.[* 최초기형 로얄시티 대차분으로 진주 신일교통 중고 2002년식 로얄시티 디젤차량을 대거 들고 오기도 했다. 일부는 2008년에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재고차로 교체되었다.] [[동부산공영차고지]] 개장 후 노선조정으로 잠시동안 63번, 100번을 공동배차했었으나, 6개월 여만에 운수회사 정리 및 인가대수 조정으로 철수하였다. 이 업체의 경우에는 어째서인지 본사 노선들의 네임밸류가 상당히 좋지 못하였다. 기장영업소 노선들인 39번, 1003번은 본사 노선들인 139번, 180번, 182번보다 2배 이상의 수요를 내고 있으며, 반면 '''본사노선'''들은 '''모두 대당 운송수입금이 20~30만원대를 기록'''하는 노선들 뿐이라 상태들이 영 좋지 못하다. 그나마 [[부산 버스 182]]가 30만원을 넘기고 있다. 반면 [[부산 버스 180]]은 20만원도 못넘긴다. 어떻게보면 [[청강리 사태]] 및 부산여객 노조의 깽판으로 인한 최대 피해 회사일 수도 있다. 하지만 2021년 6월 5일에 간판/주력노선인 [[부산 버스 1003]]이 본사에서 시종착하게 되면서 이런 오명은 사라지게 되었다. [[파일:20180226_125625.jpg]] 차량 관리를 잘 하지 못하는 편이다. 2015년도까지도 이 모습으로 다니지 않았지만 그 이후로 사진 속 차량과 나머지 일부차량들도 나무도색 뒷부분이 모두 벗겨져있다. 반면에 급행좌석 차량들의 경우는 2017년식 신도색 차량까지는 람보질이 되어있다([[현대 유니버스|유니버스]] 제외) 노약자 배려석, 장애인 배려석 스티커를 자체 제작해 부착하고 있다. 면허 순서대로 배차하는 업체이다.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에서 모든 노선이 기장읍내를 경유하는 유일한 회사다. 그리고 청강리공영차고지에서 영업소를 두고있는 회사 중 기장에 영업소를 두고있는 유일한 회사다 === 차량 운용 === 과거에는 [[자일대우버스]]를 위주로 운행을 했다. 1980년대에서 1990년대까지는 좌석버스에 한해 AM927/937도 많이 운행했다.[* 반면 일반버스로는 단 한대도 운행하지 않았다.] 한때는 주력이라고 할 정도로 많기도 했을 정도. 소수지만 AM928도 있었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937 좌석버스 출고를 중단하더니[* 부산여객 AM937 좌석버스는 전부 각계기판 구형 모델이었다.] 뽑은 차들도 2000년이 되기 이전에 대부분 조기대차되었다. 좌석버스 역시 1993년부터 좌석버스를 전중문형으로만 출고했으며 2004~2005년경 [[부일여객]]과 더불어서 전문형 BS106을 출고했다. 2008년부터 고상버스를 한정으로 현대자동차를 출고를 하다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자일대우버스만 출고했다. 2018년부터 그 동안 FX116을 뽑다가 처음으로 [[현대 유니버스]]를 출고하면서 급행버스도 현대자동차로 전향함에 따라 완전히 현대자동차로 전향했다. 2021년 [[에디슨 스마트|에디슨 스마트 110]] 출고하여 [[부산 버스 39|39번]]에 투입과 동시에 전기버스 운용을 시작했으며, 이로 인해 교리영업소에 전기 충전소가 설치되어 이에 대한 공간확보를 위해 [[부산 버스 1003|1003번]]이 본사로 연장되었다. 이후 한동안 에디슨 스마트만 뽑다가 2022년 12월에는 [[에디슨모터스]] 사태로 [[시민여객(부산)|시민여객]]에 이어 [[현대 일렉시티|일렉시티]]를 출고했으며, 2023년 1월에는 [[부산 버스 139|139번]]에도 일렉시티를 투입하여 공차회송으로 교리차고지까지 와서 충전을 한다. == 면허 체계 == * 부산 '''70''' 자 '''5901''' ~ '''5948'''호 * 부산여객 주 면허.[* 모종의 사유로 5938호가 말소되고 5948호로 바뀌었다.][* 1996년 면허 개정때 가나다순으로 배치해서 원칙대로라면 24xx대의 면허를 부여받아야 하지만 업체에서 [[4자 금기|4를 기피하는 경향이 커]] 59xx대의 면허를 부여받게 되었다. 그래서 이 업체에서 4가 들어간 면허번호를 절대 찾아볼 수 없었는데 2007년에는 준공영제로 시에서 차량들을 관리하므로 이때부터 593'''4'''호가 등장했다. 구.239번 면허 하나를 일반면허로 바꿨다. 이후 59'''4'''0호대도 등장했다.] * 부산 '''71''' 자 '''1801''' ~ '''1832''', '''1861''' ~ '''1883'''호 * 부산여객 좌석버스 면허. == 차량운용대수 == * 시내버스 * 39번: 20대 * 139번: 9대 * 180번: 3대 * 182번: 6대 * 1003번: 26대 * 예비차: 3대 * 도합: 67대 == 운행 노선 == === 청강리공영차고지 본사 소속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부산 버스 139|{{{#3399ff 139}}}]]'''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 || 기장전화국 - 교리 - [[기장역|동해선기장역]].기장중학교 - 죽성사거리 - 대변 - [[해동용궁사|용궁사]].[[국립수산과학원]] - [[오시리아관광단지]] - [[송정해수욕장]]입구 - 신도시시장.아세안문화원 - [[신해운대역|동해선신해운대역]] - [[장산역]] - 미포.문탠로드입구 - [[해운대해수욕장]] - 대우마리나아파트 || [[올림픽교차로 환승센터]] || 22~30 || || '''[[부산 버스 180|{{{#3399ff 180}}}]]'''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 || 기장읍사무소 - [[기장군청]] - [[일광역|동해선일광역]] - 동백 - 임랑삼거리 - [[월내역|동해선월내역]] || [[고원아파트|고원3차아파트]] || 45~80 || || '''[[부산 버스 180|{{{#3399ff 180[br]오전}}}]]'''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 || (내리 → [[송정해수욕장]]입구 → [[장산역]] → 미포.문탠로드입구 → [[해운대구청]] → 해운대시장 → 미포.문탠로드입구 → [[장산역]] → [[송정해수욕장]]입구 → 내리 →) - 기장읍사무소 - [[기장군청]] - [[일광역|동해선일광역]] - 동백 - 임랑삼거리 - [[월내역|동해선월내역]] || [[고원아파트|고원3차아파트]] || 1일 3회 || || '''[[부산 버스 182|{{{#3399ff 182}}}]]'''[*공동배차 [[부일여객]] 공동배차]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 || (내리 → [[송정해수욕장]]입구 → 좌동재래시장 → [[장산역]] → [[송정해수욕장]]입구 → 내리 →) - 기장읍사무소 - [[기장시장]] - [[일광역|동해선일광역]] - [[좌천역(동해선)|동해선좌천역]] - [[동남권원자력의학원|원자력의학원]] - 달산초등학교 - 정관읍행정복지센터.[[기장소방서]] - 평전마을 || [[모전초등학교(부산)|모전초등학교]] || 25~30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부산 버스 1003|{{{#f58220 1003}}}]]'''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 || 죽성사거리 - 기장군청 - 교리 - [[기장시장]] - 죽성사거리 - [[송정해수욕장]]입구 - 영남아파트 - 미포.문탠로드입구 - [[해운대해수욕장]] - 대우마리나아파트 - 해강중고교 - 수영교차로.[[수영역]] - [[경성대학교]] - 문현교차로 - [[부산진역]] - [[부산역]] - [[남포동(부산)|남포동]] || [[부산대학교병원]] || 10~22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부산 버스 182|{{{#666666 182[br]심야}}}]]'''[*공동배차]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 || (내리 → [[송정해수욕장]]입구 → 좌동재래시장 → [[장산역]] → [[송정해수욕장]]입구 → 내리 →) - 기장읍사무소 - [[기장시장]] - [[일광역|동해선일광역]] - [[좌천역(동해선)|동해선좌천역]] - [[동남권원자력의학원|원자력의학원]] - 달산초등학교 - 정관읍행정복지센터.[[기장소방서]] - 평전마을 || [[모전초등학교(부산)|모전초등학교]] || 1일 1회 || || '''[[부산 버스 1003|{{{#666666 1003[br]심야}}}]]'''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 || 죽성사거리 - 기장군청 - 교리 - 기장시장 - 죽성사거리 - [[송정해수욕장]]입구 - 영남아파트 - 미포.문탠로드입구 - [[해운대해수욕장]] - 해강중고교 - 수영교차로.[[수영역]] - [[경성대학교]] - 문현교차로 - [[부산진역]] - [[부산역]] - [[남포동(부산)|남포동]] || [[부산대학교병원]] || 20 || === 교리 영업소 소속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부산 버스 39|{{{#3399ff 39}}}]]''' || 기장교리 || 기장시장 - 죽성사거리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 - 내리 - [[송정해수욕장]]입구 - [[부흥고등학교(부산)|부흥고]].[[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해운대백병원]] - 해운대보건소 - 미포.문탠로드입구 - [[해운대역]] - [[센텀시티역]].[[BEXCO]] - 수영교차로.[[수영역]] - [[경성대학교]] - [[이기대]]입구 - 백운포 || 남구국민체육센터 || 9~11 || == 폐선·철수한 노선 == * [[부산 버스 38]] (해운대 ↔ 대청공원) ※ 부일여객, 삼성여객과 공동배차 [* 1990년대 말 철수] * [[부산 버스 63]] (청강리공영차고지 ↔ 수영교차로 ↔ 진시장) ※ [[일광여객]]과 공동배차 [* 청강리공영차고지 개설 이후 잠깐 공동 배차로 참가하다가 2012년 11월 17일에 철수했다. 이 회사 철수 이후 이 노선은 현재 부산진구청까지만 다닌다.] * [[부산 버스 100]] (청강리공영차고지 ↔ 해운대역 ↔ 구서롯데캐슬) ※ [[해동여객]]과 공동배차 [* 위의 63번과 같은 케이스로 2012년 11월 17일에 철수했다. 역시 이 회사 철수 후 노선이 지금처럼 동부산롯데몰 경유 및 장전역 단축, 토곡 경유로 이어지게 되었다.] * [[부산 버스 131]] (용호동↔시청↔부산대학교) ※ [[시민여객(부산)|시민여객]]과 공동배차 [* 1994년도에 철수] * [[부산 버스 140]] (송정 ↔ 광안리 ↔ 구덕운동장) [* 2007년 5월 15일 준 공영제 시행으로 부산 버스 40번으로 통폐합되었다.] * [[부산 버스 185#s-3.1|부산 버스 185(구)]] (기장 ↔ 송정 ↔ 장산역) ※ [[해동여객]]과 공동배차 - 공교롭게도 현재의 185번 노선도 기장 ↔ 송정 ↔ 장산역이지만 기장읍내로는 가지 않는다. 당시 185번의 기장 ↔ 장산역 노선은 지금의 [[부산 버스 139]]와 비슷했다. * [[부산 버스 1003|부산 버스 239]] (기장 ↔ 해운대 ↔ 부산역) [* 2007년 5월 15일 준 공영제 시행으로 302번과 통폐합되면서 1003번으로 번호가 바뀌었다.] * [[부산 버스 1003|부산 버스 302(구)]] (해운대(송정) ↔ 경성대 ↔ 부산대학교병원) [* 2007년 5월 15일 준 공영제 시행으로 239번과 통폐합되면서 1003번으로 번호가 바뀌었다.] * [[부산 버스 1003|부산 버스 302-1]] (해운대(송정) ↔ 부산역 ↔ 구.법원) * [[부산 버스 1005(폐선)|부산 버스 1005(구)]] (기장교리 ↔ 반송 ↔ 서면) ※ [[세익여객]], [[해동여객]]과 공동배차 * [[부산 버스 182|부산 버스 1006번]] (해운대 ↔ 기장 ↔ 정관신도시) ※ [[일광여객]], [[해동여객]],[[부일여객]]과 공동배차 [* 2012년 5월 30일 청강리 사태때 182번으로 형간전환되었으며 잠시 철수했다가 2012년 11월 17일 부로 운수업체가 변경되면서 재참여하였다.] * 부산 버스 2001 (해운대(송정) ↔ 광안리 ↔ 충무동) * 부산 버스 2003 (해운대(송정) ↔ 광안리 ↔ 충무동) * [[부산 버스 해운대8]] (스펀지 ↔ 해운대백병원 ↔ 스펀지) ※ [[부일여객]]과 공동배차[* 2020년 7월부터 부일여객 단독 배차.] == 현재 보유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일렉시티|현대 일렉시티 전기버스]] * [[현대 유니버스|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천연가스버스]] * [[현대 유니버스|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엘레강스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NEW BS106 뉴 로얄시티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FX|대우 FX II 116 크루징애로우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FX|대우 FX116 하모니 천연가스버스]] === [[KGM커머셜]] === * [[KG 스마트|에디슨 스마트 110 전기버스]] == 과거 보유차량 == === [[자일대우버스]] === * [[자일대우버스 레스타|대우 레스타 디젤]][* 한때 마을버스 해운대 8번용으로 출고했었으나 철수해서 중고로 매각했다.] * [[대우버스 BM090|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5901호였으며 180번에 투입되었다. 중고차량으로 알려져있다.] * [[자일대우버스 BF|새한 / 대우 BF101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로얄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10CN F/L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NEW BS110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H|대우 BH113 로얄에이스 디젤]][* 1996년 특급좌석 도입 목적으로 도입된 버스로, 특급좌석 폐지 후 좌석버스 도색으로 재도색하여 302번에서 운행하였다.] * [[자일대우버스 BH|대우 BH115E 로얄이코노미 디젤]][* 2003년 경에 특급좌석 2003번 노선이 폐지되면서 해당 차량들은 중고 시장에 풀렸고 이 차량들은 용인 [[경남여객]]에서 중고로 구매하였다.] * [[자일대우버스 FX|대우 FX116 크루징애로우 천연가스버스]] === [[현대자동차]] === * [[현대 카운티|현대 E-카운티 F/L 롱바디 디젤]][* 해운대신시가지순환버스도색을 한 마지막 차량이었으나 레스타로 대차했다.] * [[현대 FB버스|현대 FB485 디젤]] * [[현대 RB버스|현대 RB520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540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디젤]][* [[경기도]] 중고차량이었으며 경기도 [[하차벨]]이 달려있었다.] === [[기아]] === * [[기아 AM버스|기아 AM927 디젤]] * [[기아 AM버스|기아 AM928 디젤]] * [[기아 AM버스|기아 AM937 디젤]] == 관련 문서 ==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 [[버스 회사]] [[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분류: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회사]][[분류:1961년 기업]][[분류:동부산공영차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