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부산항연안여객터미널.jpg]] * 옛 부산항연안여객터미널, 현재는 부산항만공사 [[파일:attachment/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termold.jpg]] * 옛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현재는 부산항연안여객터미널 [목차] == 개요 == [[부산광역시]] [[중구(부산)|중구]] [[충장대로]] 24 ([[중앙동4가(부산)|중앙동4가]])에 위치한 연안여객터미널이다. 1973년에 각 항로별로 분산되어 있는 선착장을 통합하여 개항했으며, 2004년 4월 10일에 신축했다. 하지만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이 신축 이전하면서 2016년 7월 29일 원래 있던 국제여객터미널 자리에 이전했다. 하지만 국제여객터미널 건물 역시 2020년대에 들어 노후화되어, 2021년에 여객선터미널 창고 용도로 사용되던 건물을 연안여객선 터미널로 새롭게 리모델링하여 사용중이다. 구 터미널 건물은 [[중구(부산)|중구]] [[대교로(부산)|대교로]] 122 ([[중앙동6가]])에 있으며 [[부산항만공사]]가 입주해 있다. == 운항 노선 == 연안여객터미널 국내선을 담당하고 있다. 그래서 노선이 부산↔[[제주항|제주]]밖에 없다.[* [[거가대교]] 개통 이전인 2010년까지는 [[장승포동|장승포]]와 고현항([[거제시]] 고현동), 옥포항으로 가는 여객선도 운항했었다.][* 폐선되기 전에 선박의 이름은 뉴아카디아(장승포/옥포), 페레스트로이카(옥포), 데모크라시, 로얄페리(장승포), 골드코스트, 페가서스(고현).] 2010년에 해당 노선이 폐업할 무렵엔 장승포항까지는 18,000원의 요금으로 운항했었다. === [[제주]] 노선 === [[https://msferry.modoo.at/?link=arrw3sjm]] 이 노선에는 '''[[뉴스타호]]'''라는 이름을 가진 1만톤급 [[페리(선박)|페리]]가 취항중이며 선사는 “엠에스페리”이다. 또한 소요시간은 '''12시간'''으로 남부지방에서 출발하는 제주행 여객선 항로 중 가장 긴 시간이 소요된다.[* 수도권까지 포함하면 인천~제주 간 “비욘드트러스트”가 '''13시간 30분'''으로 가장 길다.] 다만 뉴스타호의 선령이 22년으로 좀 낡은 편이라 객실소음이 있는 편이고 선박의 시설 역시 나쁜 편은 아니지만 [[골드스텔라|여수]],목포 등에서 제주로 향하는 저선령 신조 여객선에 비해 다소 올드한 느낌이 있어, 선사에서 신조선 투입을 예정하고 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79/0003510991|#]] 타 제주행 여객선 항로와 마찬가지로, 옛날 [[저가 항공사]]의 이용률이 저조한 시절에는 상당히 이용률이 높았지만 최근 항공기 이용의 활성화와 저가 항공사의 발전으로 그리고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선박사고]] 발생으로 최근 이용률이 저조해진 편이다. 그래도 화물[[트럭]]과 [[카페리]]를 이용하려는 승객들이 이 노선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그래도 아직까지 살아있긴 하다. '''자세한 사항은 [[뉴스타|해당 문서]] 참고.''' [[분류:대한민국의 여객선 터미널]][[분류:부산광역시의 교통]][[분류:충장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