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함경남도의 시군)] ||||<:>{{{#white {{{+3 부전군 }}}}}}|| ||<-3><:> [include(틀:지도, 장소=부전군)] || 赴戰郡/Pujŏn County [목차] == 개요 == ||[youtube(eRtbtSGzshw)]|| || 2011년 9월의 부전군 || ||[youtube(z2iTRlasBWM)]|| ||2506m 높이의 한반도에서 네 번째로 높은 차일봉|| [[함경남도]]의 군. 조선시대에는 [[장진군]] 동상리면과 동하리면의 영역이었다. [[1914년]] 일제가 [[부군면 통폐합]] 당시 [[신흥군]]을 창설할 때 동상리면의 대부분을 신설되는 [[신흥군]]에 편입시키고 신흥군에 편입되지 않은 나머지 동상리면 지역은 동하리면으로 옮기며 면 이름을 각각 동상면, 동하면으로 고쳤다. 1930년 [[부전강]]댐이 건설되었고 [[1952년]] 북한이 행정구역을 개조하며 장진군 동하면과 [[신흥군]]의 동상면, 영고면, 하원천면, 상원천면을 가지고 부전군을 창설하였다. 당시 부전읍은 [[부전령]] 한참 남쪽의 경흥리에 있었다. 북한도 뭔가 이상했는지 [[1954년]] 량강도를 만들며 부전령 이남의 지역(영고면, 상원천면, 하원천면)을 [[신흥군]]에 돌려주었다. 그러나 [[혜산시]]와의 교통보다는 [[부전령]]을 넘더라도 그나마 [[철도]]로 연결된 [[함흥시]]와의 교통이 편리하기 때문에[* 물론 어디까지나 상대적으로 그렇다는 것이지 [[부전령]]이 결코 만만하게 넘나들 수 있는 고개는 아니다.] 1965년 [[함경남도]]로 환원되었다. 원래는 장진군 땅이었기 때문에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지명|장진령은 장진군에 없고]] 부전군과 [[김형권군]]의 경계에 있다. 장진군에서 함흥방면으로 갈 때 나오는 고개의 이름은 [[황초령]]이다. 인구는 48,351명. == 하위 행정구역 == 총 1읍 2로동자구 14리로 구성되어있다. * 읍 : 부전읍 * 로동자구 : 차일로동자구, 호반로동자구 * 리 : 백암리, 문천리, 이팔리, 문암리, 광대리, 서늪리, 동늪리, 한대리, 산수리, 개화리, 여운리, 능구리, 안기리, 은하리 [[분류:함경남도]][[분류:1952년 설치된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