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포선|{{{#ffffff {{{-1 김포선}}}}}}]]'''~~ || '''부천''' - ~~[[약대역|[ruby(약대, ruby=1951~80)]]]~~ - ~~[[김포역|[ruby(김포, ruby=1951~80)]]]~~ || ||<-3> {{{+2 '''부천역'''}}}[br](부천대학교) || ||<-3>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30]]]] || || [[소요산역|{{{-1 {{{#585858,#cccccc 소요산 방면}}}}}}]][br][[소사역|소 사]][br]← 1.1 ㎞ || [[수도권 전철 1호선|{{{-1 {{{#ffffff 1호선[br](148)}}}}}}]] || [[인천역|{{{-1 {{{#585858,#cccccc 인천 방면}}}}}}]][br][[중동역(경인선)|중 동]][br]1.7 ㎞ → || ||<|2> [[용산역|{{{-1 {{{#585858,#cccccc 용산 방면}}}}}}]][br][[역곡역|역 곡]][* 특급은 [[구로역|구로]]에 도착한다.][br]← 2.6 ㎞ || [[동인천급행|{{{-1 {{{#ffffff 1호선[br][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00,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경인선 급행)]}}}}}}]] ||<|2> [[동인천역|{{{-1 {{{#585858,#cccccc 동인천 방면}}}}}}]][br][[송내역|송 내]][br]2.7 ㎞ → || || [[동인천특급|{{{-1 {{{#ffffff 1호선[br][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f,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경인선 특급)]}}}}}}]]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11px" [include(틀:지도, 장소=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부천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Bucheon || || [[한자]] ||<-2><|2> 富川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富川, ruby=プチョン)] || ||<-3> '''주소''' || ||<-3> [[경기도]] [[부천시]] [[부천로]] 1 ([[심곡본동]] 316-2) || ||<-3> '''관리역 등급''' || ||<-3> [[관리역]]([[운전간이역]])/2급[br][[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 ||<-3> '''운영 기관''' || || [[경인선]] ||<-2> [[한국철도공사]] || ||<-3> '''개업일''' || || [[경인선]] ||<-2> 1899년 9월 18일 || || [[수도권 전철 1호선|{{{#ffffff 1호선}}}]] ||<-2> 1974년 8월 15일 || ||<-3> '''역사 구조''' || ||<-3> 지상 3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 ||<-3> '''승강장 구조''' || ||<-3> 2면 6선 [[쌍섬식 승강장]] || ||<-3> '''철도거리표''' || || [[구로역|{{{-1 {{{#585858,#cccccc 구로 방면}}}}}}]][br][[소사역|소 사]][br]← 1.1 ㎞ || '''[[경인선]]'''[br]부 천 || [[인천역|{{{-1 {{{#585858,#cccccc 인천 방면}}}}}}]][br][[중동역(경인선)|중 동]][br]1.7 ㎞ →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폐지된 철도거리표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1 {{{#585858,#cccccc 기점}}}}}} || '''[[김포선]]'''[br]--부 천-- || [[김포역|{{{-1 {{{#585858,#cccccc 김포 방면}}}}}}]][br][[약대역|--약 대--]][br]-.- ㎞ → ||}}}}}}}}} || ||<-2> {{{#000000,#ffffff '''민자역사'''}}} || || 정식명칭 || 부천역사 주식회사 || || 영어명칭 || Bucheon Station Shopping Mall || || 설립일 || [[1990년]] [[9월 29일]] || || 업종명 || 도소매업 || || 상장여부 || 비상장기업 || || 기업규모 || [[중소기업]] || ||<-2> [[http://www.bssmall.co.kr|홈페이지]] || [목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부천역.png|width=100%]]}}} || || {{{#fff '''현 역사(1999년 준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bucheon.jpg|width=100%]]}}} || || {{{#fff '''야간의 부천역사(2010년 초까지 모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8년도 부천역.jpg|width=100%]]}}} || || {{{#fff '''2018년의 부천역광장'''}}} || [clearfix] == 개요 == || [[파일:부천역 스탬프.jpg|width=150]] || || 부천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부천 판타스틱 영화제와 복사꽃을 형상화했으며, 2014년 스터디투어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고객지원실에 비치중이다. || >'''1899년 경인철도 개통과 함께 소사역으로 개업''' >부천역은 1899년 9월 소사역이라는 이름의 경인선 보통역으로 처음 영업을 개시하였다. 1951년에는 군수물자와 유류수송을 위한 부천역과 김포공항을 잇는 김포선이 건설되었다가 도로교통의 발달로 1980년 폐선되기에 이른다. 1973년 소사역이 소속한 소사읍을 중심으로 부천시로 승격되면서 이듬해 수도권 전철 개통에 맞추어 소사역의 이름을 부천역으로 변경하였다. 그 후 부천역 옆에 1997년 신설된 역사가 소사역으로 이름 붙여졌다. 1974년 수도권전철 개통과 함께 준공되었던 옛 역사는 선상역사였지만 1980년 지하역사로 변경되었으며, 1999년에는 민자역사가 들어섰다. 이처럼 발전하는 도시와 함께 도시의 중심인 부천역도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1호선]] 148번. [[경기도]] [[부천시]] [[부천로]] 1 ([[심곡본동]] 316-2) 소재. 부천시가 [[부천트램]]의 시종착역으로 추진하고 있다. == 역 정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bucheon(south_1973)_1.jpg|width=100%]]}}} || || {{{#fff '''구 남부역사(1953년 준공, 1974년 철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bucheon(north_1974)_1.jpg|width=100%]]}}} || || {{{#fff '''구 선상역사(1974년 준공, 1993년 철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bucheon(platform)_1.jpg|width=100%]]}}} || || {{{#fff '''1979년의 부천역 승강장.[br]이때는 섬식 승강장이었다가 1980년대 후반에 상행 승강장 하나가 생겼다.[br]신도림역 개통 후 부천-신도림 구간은 심심하면 혼잡률 250~300%를 기록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bucheon(north_1994)_1.png|width=100%]]}}} || || {{{#fff '''구 북부역사(1974년 준공, 1997년 철거)'''}}} || [[1899년]] [[9월 18일]] [[경인선]] 개통 당시 [[소사역]]이었다가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직전인 [[1973년]] [[7월 1일]] 소사읍이 부천시로 승격되면서 부천역으로 바뀌었다. 역 개설 이래 1974년까지 남쪽으로만 역사가 존재했다. 그전에는 부천역 서부에 위치한 '땡땡이 지하도' 자리에 철길건널목이 있어서 북쪽에서 이 건널목을 건너 남부의 역사를 이용했다. 먼 옛날 심곡고가도로가 개설되기 전에는 이 건널목을 지나는 길이 지방도 또는 국도가 지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곳을 통해 차량 통행 및 이용객 이동이 주로 이루어졌다. 그러다가 심곡고가 및 소명지하차도가 개설되면서 이 건널목의 필요가 낮아져 건널목을 없애고 지하보도가 생겼다. 이름이 "땡땡이 지하도"가 된 것은 바로 이곳에 건널목이 있어 기차가 다닐 때마다 "땡땡"하고 울렸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현 역사는 [[1993년]]에 착공하여 [[1999년]]에 완공된 [[민자역사]]이다. [[1994년]] 당시 북부역사 사진을 보면 알 수 있겠지만 북부역 출구는 지금의 북부역 광장 한가운데로 나오게 되어 있었다. 그러다가 [[1993년]]부터 시작된 민자역사 공사 당시에는 지금의 3번 출구 옆 [[이마트 부천점]] 주차장 진입로에 임시 계단을 설치하여 이용하게 했었다. 경인선 주요 역이 거의 그렇듯 이 역에도 [[지하상가]]가 존재하며, 민자역사에 딸린 지상 맞이방과 부천역 지하상가로 통하는 지하 맞이방이 모두 존재한다. 수도권서부본부 산하의 [[관리역]]이었으나 개정된 열차 운전 시행세칙에 따르면 역원배치간이역에 부천역의 이름이 실려 있었고(별표5), 제어 및 피제어역 목록(별표7)에 제어역 오류동역에 피제어역 부천역으로 되어 있다. 요컨대, [[관리역]]에서 [[배치간이역]]이 되었다. 경인선에 보통역에서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된 역은 많지만 이 정도로 떨어진 역은 [[대곡역(고양)|대곡역]]과 더불어 흔치 않다. [[관리역]]으로 1달 만에 재승격한 것처럼 알려졌더니 [[2013년]] [[3월 25일]] 또다시 [[배치간이역]]으로 강등되었다. 사실 배치간이역 격하 자체는 2008년 1월 17일경(열차운전시행세칙 제2008-2호)에 이루어졌는데 이 사실이 상당히 늦게 알려졌다. 이 역과 같이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된 역은 [[주안역]], [[광명역]], [[천안아산역]]이 있다. [[2015년]] [[7월 25일]]에 개정된 열차운전시행세칙에도 여전히 역원 배치 간이역에 부천역의 이름이 있다. [[2017년]] [[12월 4일]] [[한국철도공사]]가 밝힌 최신 철도노선도에는 부천역이 관리역으로 표시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파일:attachment/12121212.png|width=100%]]|| || [[한국철도공사]] 열차운전시행세칙 개정안([[2013년]] [[3월 25일]])[* [[https://archive.is/uEKY9|한국철도공사 > 사규 > 열차운전시행세칙]], 2013년 4월 26일 [[http://lams.korail.com/bylaw/common/popup/info_law_searchview.jsp?from=pop&name=%BF%AD%C2%F7%BF%EE%C0%FC%BD%C3%C7%E0%BC%BC%C4%A2&jo=7968&ad=|원본 페이지]]에서 보존된 페이지, 별표 부분을 클릭한 뒤 'TXT로 보기'를 선택하면 볼 수 있었지만 현재는 볼 수 없다(2023년 7월 5일에 확인함).] || [[김포선]]의 분기역이었던 과거가 있었다. 수도권 1호선 전철만 정차하는데도 일반열차 표를 구매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역 중에 하나였다. 2014년 1월부터 발권 창구를 더 이상 운영하지 않는다.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안내방송에서는 부역명 (부천대학교)까지 방송하지만, 서울교통공사 전동차에서는 부천 역명만 방송한다. 2021년 8월 기준으로 이 역에서 23시 26분에 동인천발 급행 막차가 끊기고 주박한다. 급행과 동묘앞행 일반열차 막차가 같은 시간에 승강장에 진입해 연계가 된다. 인천역에서 첫 번째로 출발한 [[양주역|양주행]] 완행열차가 시간표상 이 역에 매일 새벽 5시 30분에 도착하는데, 이 역에서 주박한 [[용산역|용산행]] 급행열차가 5시 32분에 출발한다. 3~4분 이상 열차가 지연되지 않는 한 일반 열차가 도착하고 15초 정도까지는 급행 열차가 대기한다. [[파일:부천역동시도착.jpg]] [[토요일]] 오전 9시 10분에 [[인천역|인천행]] + [[의정부역|의정부행]] + [[용산역|용산급행]] + [[동인천역|동인천급행]] 열차 4대가 30초 ~ 1분 차이로 거의 동시에 진입한다. [[경인선]] 선로가 [[복복선]]인 데다가, 정기 화물열차나 여객열차 없이 전철만 운행하기에 가능하다. 열차 출발 1분 뒤에는 [[승강장]]이 한산해진다. == 역 주변 정보 == 부천역 남쪽으로는 [[46번 국도]]([[경인로]])가 동서로 지나가고, 부천역 서쪽에서는 남북으로 [[39번 국도]]가 지나간다. 부천역 2번 출구 앞에 있는 [[경원여객]] 버스터미널은 [[46번 국도]]와 [[39번 국도]]의 공용 구간이다. 부천역 근처에는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가 없고, 46번 국도를 타고 서쪽으로 가서 [[송내역]]까지 가야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송내IC]]가 있다. || [[파일:소신터미널.jpg|width=100%]] || [[파일:경원여객_부천차고지.jpg|width=100%]] || || [[소신여객]] 터미널 (북부역) || [[경원여객(안산)|경원여객]] 터미널 (남부역) || 부천역의 주변지역은 [[중동신도시]]와 함께 부천시의 양대 [[번화가]]이므로 유동인구가 정말 많다. [[소신여객]]과 [[경원여객(안산)|경원여객]]의 터미널이 각각 북부역과 남부역에 있다. 모두 1970년대에 지어진 건물이라서 낡아 있다. 그리고 근처에 부천대학과 서울신학대학교가 있다. 서울신학대학교 자체는 [[소사역]]에서 가는 것이 더 빠르다. 지하의 분수대 [[광장]]은 약속 장소로 꽤 오랫동안 시민들에게 애용되고 있다. 역사 내에는 [[교보문고]], 경륜장(Speezon), [[이마트 부천점]], [[식당가]], [[KFC]],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 [[롯데리아]], [[던킨도너츠]], e끌림커피,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KB국민은행]], [[신한은행]]) 등이 입점해 있다. 북광장에서는 위로 올라가면 대성병원이 있고, 근처에 로얄쇼핑(구 로얄백화점)과 영화관, 웨딩홀, 술집 골목, 모텔이 있는 번화가이다. 왜 이렇게 형성되어 있냐면, 인근에 [[부천대학교]]가 있기 때문이다. [[소신여객]] 차고지가 위치한 쪽에는 포장마차와 횟집이 있다. 그 근방에도 여인숙과 모텔이 즐비하다. 특히 심곡동 자체에 모텔촌이 형성되어 있을 정도이다. [[2009년]] 경에는 남부역의 광장 조성 공사가 완료되었고 번화가인 북부역은 [[2015년]]부터 공사를 시작하더니, [[2016년]] [[여름]] 경에 북부역의 광장 조성 공사가 완료되어 택시 승강장을 밀고 꽤 넓은 광장이 생겼다. 광장 무대에는 간간히 청소년 문화행사나 [[버스킹]] 또는 중장년층의 [[트로트]] [[공연]]에 이용되고 있고, 부천전국대학가요제, 부천전국버스킹대회, BBIC 등 부천시 주최 공연 행사에 이용되고 있다. 평상시에는 [[노숙자]]들의 쉼터이다. ||[[파일:부천역_마루광장.jpg|width=100%]]|| || 북부역의 광장 모습 || 역 부근에 일이 있어서 부천역을 이용해야 한다면, 남부역과 북부역 중 어느 곳에 볼일이 있는지 알아둬야 한다. [[부천버스]] 소속의 88번을 타야 한다든지, 장을 본다든지 하면 남부역으로 나가야 한다. 남부역 오른편에 큰 규모의 [[재래시장]]이 조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천대학교]]나 중동/상동, 서울 강서구 방면으로 가거나 [[PC방]], [[노래방]], [[오락실]], [[음식점]], [[술집]], [[영화관]] 등 놀 만한 곳을 찾는다면 북부역으로 나가야 한다. [[롯데시네마 부천역]](구 잼존), [[CGV 부천역]]이 북부역에 있다. [[지하상가]]에는 옷가게가 있는데 부천역 지하상가는 수도권에 사는 젊은이라면 한 번쯤은 와봤을 정도로 꽤나 유명하다. [[동묘앞역]]이 구제 시장으로 유명하다면, 여기는 저렴한 가격의 옷가게가 즐비해 있다. 선하 역사에는 음식점, [[KFC]], [[CU]], [[배스킨라빈스]]가 있고, 1층에는 [[롯데리아]]와 부천연세365의원이 있으며 1층과 4층에 약국이 있다. 그리고 4층에는 사진관이 있다. 부천역 건물에 롯데리아가 두 개 지점이 개설되어 있는데 하나는 북부역 방향으로 내려가는 에스컬레이터 아래에 위치한 부천역점이고 24시간 운영하며, 다른 하나는 남부역 방향의 EXP점이고 영업시간은 똑같이 24시간이다. 그리고 [[GS25]] 편의점이 세 개 지점이 개설되어 있는데 부천북부역에 두 개, 부천남부역에 한 개가 입점해 있다. 북부역을 등지고 오른편에는 [[알라딘 중고서점]]이 입점해 있다. 예전에는 부천역 - 소사역간 모텔촌에서 호객 행위도 많이 일어났지만, 지금은 단속 때문인지 더 이상 호객 행위를 하지 않는다. [[2008년]]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스타]]에 배우 [[조한선]]이 출연해서 [[경기도]] [[부천시]] 출신이라 학창시절에 [[부천역]] 인근에서 주로 놀았다고 이야기하자, [[김구라]]가 [[부천역]] 인근은 1990년대 초반 '[[전화방]]의 온상'이라는 드립을 날렸고, 조한선은 지금도 전화방이 엄청 많다고 함께 맞장구쳤다. 위에서 나와 있듯 승강장에서 지상 3층과 지하 1층 개찰구로 나갈 수 있게 계단이 나뉘어 있으며, 양쪽 다 북부역과 남부역으로 갈 수 있다. 하지만 지하에는 지하상가가 있고, 북부역과 남부역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그 지하상가를 약간 지나가야 하는데, 초행길에는 유동인구가 많은 역 특성상 길을 헤맬 수 있다. 따라서 지상 3층으로 가는 것이 편하다. 평일에도 꽤 북적이므로 이마트로 가지 않는다면 인근 주민들은 거의 지상 3층으로 가는 편이다. 부천역 3번 출구 근처에는 솜사탕을 파는 가게가 있었는데 부천북부역 광장 미관 개선사업으로 철거된 것 같다. 또 4번 출구로 내려가면 역사 벽면에 어느 미용실 광고판이 붙어있는데, 광고판에 있는 헤어 모델이 [[치어리더]] [[서현숙]]이다. 1990년대에 이미 부천역 주변에 [[맥도날드]]가 있었다. 당시 국내에서 맥도날드는 [[서울특별시|서울]]을 제외하면 [[부산광역시|부산]]이나 [[대구광역시|대구]] 등 주요 지역이거나 [[주한미군|미군 부대]]가 있는 지역이 아니면 흔치 않았던 것을 생각하면 부천역 주변이 번화가이자 상권이 상당히 발달해있던 셈이다. 원래는 부천역 지하 1층에 맥도날드가 위치해 있었으나, 2014년 경 북부역 잼존프라자에 맥도날드가 새로 개업해 부천역 근처에만 2개가 존재했다가, 2020년 경 부천역점이 폐업하면서 잼존프라자점만 남게 되었다. 지하 1층에 함께 있던 KFC는 여전히 영업 중이고, 북부역 쪽으로 조금만 더 나가면 버거킹도 존재해, 상권 내에 KFC, 버거킹, 맥도날드, 롯데리아가 함께 존재한다. 역 주변에 번화가 외엔 오래된 주택가가 있으며, 구시대의 유물인 [[여인숙]] 및 [[여관]]도 여전히 상당수 남아있다. 역 자체가 [[중동신도시]] 개발 전부터 존재했던 원도심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오래된 시설들이 많으며, 역 근방은 시 차원에서 리모델링이 이루어졌지만 역에서 조금만 떨어지면 나오는 오래된 주택가까지는 손을 대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북부역 쪽은 재건축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남부역 쪽은 여전히 옛날 모습을 간직한 곳이 많다. 부천에 [[BJ]]들이 많이 살아 [[아프리카TV]] 낮방송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역인데, 정작 지역 주민들은 크루방송의 소음공해 등 폐해로 인해 BJ들을 반갑게 여기지는 않는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dcbest&no=69589|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실시간 베스트 갤러리] 2020년 8월 대광장, 2022년 8월 소광장에서 개인방송과 버스킹이 금지되었다. 대한민국 최대의 성지급 오락실 중 하나인 [[ATTACK(오락실)|어택]]이 이곳 주변에 있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7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74년 || 15,606명 || || || 1975년 || 16,221명 || || || 1976년 || 20,240명 || || || 1977년 || 30,524명 || || || 1978년 || 47,784명 || || || 1979년 || 62,401명 || || || 1980년 || 64,903명 || || || 1981년 || 71,486명 || || || 1982년 || 77,322명 || || || 1983년 || 98,570명 || || || 1984년 || 115,412명 || || || 1985년 || 125,394명 || || || 1986년 || 132,496명 || || || 1987년 || 126,756명 || || || 1988년 || 136,508명 || || || 1989년 || 146,426명 || || || 1990년 || {{{#0052a4 165,692명}}} || || || 1991년 || 151,577명 || || || 1992년 || 152,690명 || || || 1993년 || 153,688명 || || || 1994년 || 139,476명 || || || 1995년 || 139,448명 || || || 1996년 || 125,150명 || || || 1997년 || 110,457명 || || || 1998년 || 93,018명 || || || 1999년 || 97,704명 || || || 2000년 || 96,646명 || {{{#fff,#1f2023 비고}}} || || 2001년 || 116,119명 || || || 2002년 || 128,417명 || || || 2003년 || 131,903명 || || || 2004년 || 101,083명 || [* 여기까지는 [[http://info.korail.com/mbs/www/jsp/board/list.jsp?boardId=9863289&id=www_060700000000|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 || || 2005년 || 101,131명 || || || 2006년 || 100,747명 || || || 2007년 || 101,329명 || || || 2008년 || 105,672명 || || || 2009년 || 105,140명 || ||}}}}}}}}} || || 2010년 || 106,695명 || || || 2011년 || 110,214명 || || || 2012년 || 105,399명 || || || 2013년 || 89,787명 || || || 2014년 || 87,883명 || || || 2015년 || 86,099명 || || || 2016년 || 84,520명 || || || 2017년 || 83,712명 || || || 2018년 || 81,410명 || || || 2019년 || 80,411명 || || || 2020년 || 56,824명 || || || 2021년 || 56,536명 || || || 2022년 || 60,462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425&key=867|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br]수송통계 자료실]] || }}} 1호선 전체로 범위를 넓혀도 이보다 승객이 많은 역은 [[서울역]], [[영등포역]], [[용산역]](경의중앙선 승객 수 합한 것), [[종각역]] 뿐이다. 심지어 단일 노선 기준으로는 [[수원역]]([[수인·분당선]] 승객 수 포함)보다도 탑승객이 많다. 이렇게나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이유는 역시 [[부천시]]의 중심역이라는 점이 크게 작용한다. 부천의 전통적인 중심지로서 현재도 수많은 유흥가가 집결된 주요 번화가이기에 유동인구가 많고, 유흥 목적이 아니더라도 버스로 환승하기 위해 이용하는 사람들 역시 상당하다. 갈수록 이용객 수가 줄어든다. 2018년 기준으로 한해 80,000명 초반대의 이용객이 들르는 곳이지만, 원래는 하루에 100,000명이 넘게 타고 내리던 역이었다. 즉 현재보다 대략 20,000~30,000명이 더 부천역을 이용했다는 이야기이다. 출퇴근시간만 되면 승강장부터 대합실까지 발 디딜 틈이 없을 만큼 붐비던 곳이었지만 [[2012년]]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이 [[부평구청역]]까지 연장개통되면서 [[길주로]] 연선에서 전철을 타려고 내려오는 사람들이 대거 빠져나갔다. 이것이 승객 감소에 결정적 영향을 끼쳐서 100,000명대가 바로 붕괴되어 80,000명대까지 내려왔다. 게다가 승하차 인원이 전반적으로 회복한 2019년에도 부천역의 이용객 수는 줄었다. 그런데도 부천역 이용객 수는 여전히 경인선 전체 1위이며, [[경기도]]의 모든 도시철도역 중 수원역 다음으로 이용객이 많다. 부평역의 경인선 + 인천 1호선 승하차객 수를 합쳐도 부천역의 승하차객에 미치지 못한다. [[부평구]], [[계양구]]의 경우 인천 시내나 부평 내부에서 일을 보는 일이 부천보다 많다. 즉, 시외로 나갈 만한 일 자체가 부천보다 적으며, 서울로 간다고 했을 때의 대체 노선도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 [[수도권 전철 7호선|7호선]]으로 부천역보다 하나가 더 많다. || [[파일:external/4.bp.blogspot.com/DSC05897-1.jpg|width=100%]] || || 1번 출구 || 이 엄청난 이용객들은 부천시 자체도 인구 80만의 대도시이지만, 김포공항 일대인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일부, [[시흥시]] 북부의 여객수요를 모두 부천역이 책임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은 각각 [[수도권 전철 5호선]], [[서울 지하철 9호선]], 송내역, 소사역 등으로 분산된 상태이지만, [[중동신도시]]와 [[상동지구]] 등 부천에 대규모 [[신도시]]가 조성되었고, 부천대 학생들의 통학 수요 및 유흥 및 문화활동을 즐기러 부천역으로 오는 이용객들 때문에 그렇게 분산되었다고는 느껴지지 않는다. 또한 1호선 급행 및 특급 열차 정차역임을 감안하면 수요가 급격히 감소할 일은 없을 듯 하다. 이 여객수요를 감당하기 위해서 1990년대 후반 용산~동인천 급행 열차가 도입되었고, 2012년에는 [[서울 지하철 7호선]] 역시 부천, 부평까지 연장 개통되었으나, 분산 체감 효과는 미미하고 7호선도 똑같이 터져나간다. [[중동신도시]]의 관문 역할을 수행한다. 7호선의 [[신중동역]]과 [[부천시청역]]으로 많이 분산됐지만 7호선 개통 후에도 계속 부천역을 이용하는 중동신도시 주민도 적지 않다. 버스로 부천시내 각지에서 접근이 편리하고 특급/급행열차도 운행되고 있어서 [[서울특별시|서울]] [[서울/영등포|영등포]]나 [[서울/강북|강북]]에 갈 때는 [[경인선]] 이용이 편리하기 때문이다. 단, [[서울/강남|강남]]으로는 [[노량진역]]이나 [[신도림역]]에서 갈아타는 것보다 7호선이 더 편리할 때도 있다. 부역명은 부천대학교로 인근에 [[부천대학교]]가 있다는 데서 유래했다. == 승강장 == ||[[파일:attachment/Bucheon1.jpg|width=100%]]|| || [[수도권 전철 1호선]] 승강장 || ||[[파일:역명판부천역1.png|width=100%]]|| || 역명판 || ||<-2> ↑ [[소사역|소사]] ||<-4> ↑ [[역곡역|역곡]] ||<-4> [[소사역|소사]] ↓ || || ㅣ || {{{#ffffff 1}}} || {{{#ffffff 2}}} || ㅣ || ㅣ || {{{#ffffff 3}}} || {{{#ffffff 4}}} || ㅣ || ㅣ || ㅣ || ||<-2> ↑ [[중동역(경인선)|중동]] ||<-4> [[송내역|송내]] ↓ ||<-4> [[중동역(경인선)|중동]] ↓ || || {{{#ffffff 1}}} ||<|4>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 완행 ||[[구로역|구로]]·[[용산역|용산]]·[[광운대역|광운대]]·[[소요산역|소요산]] 방면|| || {{{#ffffff 2}}} || 급행·특급 ||[[용산역|용산]] 방면|| || {{{#ffffff 3}}} || 급행·특급 ||[[동인천역|동인천]] 방면|| || {{{#ffffff 4}}} || 완행 ||[[송내역|송내]]·[[동인천역|동인천]]·[[인천역|인천]] 방면|| == 사건·사고 == [include(틀:사건사고)] 2015년 9월 16일 14:36 경, 부평역 인근의 빌라 건설현장 크레인이 선로 방향으로 넘어지면서 전차선이 단전되는 사고[* [[https://www.yna.co.kr/view/AKR20150916147100065|「크레인 2대 넘어져 동인천∼부천역 전철 운행 중단」]], 연합뉴스, 2015-09-16]가 일어나 양방향 열차의 운행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 이로써 1호선 경인선은 복구될 때까지 일반열차는 [[부천역]]까지만, 급행열차는 [[구로역]]까지만 운행되었고, 구로급행은 급행의 의미가 없으므로 급행을 타는 게 손해였으며, 퇴근길에는 극도로 혼잡했다. 이로 인해 몇몇 인천 시내버스 노선들이 비상 수송대책으로 부천역, 소사역까지 운행하는 진풍경을 보였다. 2020년 2월 27일, 오전 6시 50분 즈음에 부천역과 중동역 사이의 선로 옆을 걷던 10대 후반의 남성이 인천행 전동차에 치여 사망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이날 인천 방향 전동차 운행이 1시간 넘게 지연돼 승객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사고 발생 약 1시간 뒤인 7시 45분에 수습이 완료되어 열차운행이 재개됐다.[* [[https://www.yna.co.kr/view/AKR20200227024852065|「지하철1호선 부천역 인근서 10대 전동차 치여 사망(종합2보)」]], 연합뉴스, 2020-02-27] 2023년 6월 5일 새벽 즈음 [[부천 유튜버 포크 피습 사건]]이 일어났다. [각주] == 둘러보기 == [include(틀: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목록)] [include(틀:경인선의 역 목록)] [include(틀:김포선의 역 목록)] [[분류:김포선]][[분류:1899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부천시의 도시철도역]][[분류:경인선의 도시철도역]][[분류:수도권 전철 1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