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아시아축구연맹 회원국)] [include(틀:남아시아축구연맹 회원국)] ----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hutan_FA.png|width=200]] || ||<-2> {{{#ffffff '''부탄 축구 국가대표팀'''}}} || ||<-2> {{{#ff0000 འབྲུག་ཡུལ་རྐང་ཆིག་སྒྲིལ}}} || || '''정식명칭''' || འབྲུག་ཡུལ་རྐང་ཆིག་སྒྲིལ[* 종카어][br]Bhutan national football team[* 영어] || || '''[[FIFA 코드]]''' || BHU || || '''FIFA 랭킹''' || 182위[* 2023년 10월 기준[[https://www.fifa.com/fifa-world-ranking/BHU]]] || || '''Elo 랭킹''' || 229위[* [[https://www.eloratings.net|2023년 11월 22일 기준]]] || || '''협회''' || 부탄 축구 연맹 (BFF) || || '''연맹''' || [[아시아 축구 연맹]] (AFC) || || '''지역연맹''' || [[남아시아 축구 연맹]] (SAFF) || || '''감독''' || [[부탄|[[파일:부탄 국기.svg|width=25]]]] [[페마 도르지]] {{{-2 (Pema Dorji)}}} || || '''주장''' || [[첸초 곌쳰]] (Chencho Gyeltshen) || || '''최다출전자''' || [[첸초 곌쳰]] (Chencho Gyeltshen) - 37경기 || || '''최다득점자''' || [[첸초 곌쳰]] (Chencho Gyeltshen) - 10골 || || '''홈 구장''' || 창리미탕 스타디움 (Changlimithang Stadium, 25,000석) || || '''첫 국제경기 출전''' || VS [[파일:네팔 국기.svg|width=20]] [[네팔 축구 국가대표팀|네팔]] (1:3 패) [br] [[파일:네팔 국기.svg|width=20]] [[네팔]] [[카트만두]] (1982년 4월 1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VS [[파일:괌 기.svg|width=30]] [[괌 축구 국가대표팀|괌]] (6:0 승) [br] [[파일:부탄 국기.svg|width=30]][[부탄]] [[팀부]] (2003년 4월 23일) || || '''최다 점수차 패배''' || VS [[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30]]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쿠웨이트]] (0:20 패) [br] [[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30]] [[쿠웨이트]] [[쿠웨이트(도시)|쿠웨이트시티]] (2000년 2월 14일) || || '''별칭''' || སྦུལ་བུ་འདི་ (드래곤 보이즈; Dragon Boys) || || '''SAFF 챔피언십''' || 출전: 8회 [br] 최고 성적: 4강 1회[* 2008] || ||
{{{#FFFFFF '''유니폼 컬러'''}}} || {{{#FFFFFF '''홈'''}}} || {{{#FFFFFF '''어웨이'''}}} || || {{{#C8AB37 '''상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ed600 3%, #ff8000 3%, #ff8000 97%, #fed600 97%)" '''{{{#000 주황}}}'''}}} || '''{{{#ff8000 하양}}}''' || || {{{#C8AB37 '''하의'''}}} ||<)><#ff8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ed600 3%, #ff8000 3%, #ff8000 97%, #fed600 97%)" '''{{{#000 ,,주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8000 3%, #fff 3%, #fff 97%, #ff8000 97%)" '''{{{#ff8000 ,,하양,,}}}'''}}} || || {{{#C8AB37 '''양말'''}}} ||<#ff8000> ||<#fff>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탄]]의 [[축구]] [[국가대표|국가대표팀]]을 다루는 항목. == 상세 == 홈구장은 창리미탕 스타디움이며 감독은 페마 도르지. Druk Eleven(드룩 일레븐), Druk Yul(드룩 율), Dragon Boys(드래곤 보이즈)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월드컵과 AFC 아시안컵 본선에 출전한 기록은 없다. 더불어 최하위급 피파랭킹이 보여주듯 세계구급 약체로 유명하다. 역시 축구론 세계적 약체급인 [[네팔]]에게 1999년 남아시안 게임(South Asian Games)에서 '''0:12'''로 졌으니 말 다 했다. 결국 오래가지 않아 2000년 [[아시안컵]] 대회 예선을 앞두고 네팔축구협회 주관으로 치른 초청대회에서 [[숭실대학교]] 축구부에게 0-6으로 깨지더니, 예선에서는 [[쿠웨이트]]에게 원정경기에서 '''0:20'''으로 지면서 1998 월드컵 예선(1997년 경기)에서 [[몰디브]]가 이란에게 당한 세계 A매치 최다 실점패(0:17) 기록을 넘어섰다.(그러나 1년 뒤 [[미국령 사모아 축구 국가대표팀|미국령 사모아]]가 [[호주]]에게 '''0:31'''로 지면서 월등하게 깨버렸다.) 사실 그 이전만 해도 국제대회 나가본 적도 없던 나라였으니 당연할 수밖에. FIFA에는 2000년이 돼서야 가입했다. 이 2000년 아시안컵 예선 경기도 쿠웨이트 원정에서만 경기를 치렀는데 [[예멘]]에게는 2:11, [[네팔]]에게는 0:3, [[투르크메니스탄]]에게는 0:8, [[쿠웨이트]]에게는 상술한 대로 무려 0:20으로 지면서 4전 전패 2득점 42실점을 기록했다. 이 당시 부탄에는 텔레비전이 한창 보급되었을 때였고 TV 방송이 시작된 것도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프랑스 월드컵]] 시청이 원인이었을 정도로 축구가 인기가 높았는데 그러던 와중에 대참사가 터졌으니 당연히 부탄 내에서는 축구 대표팀을 해체하자는 주장까지 나올 정도로 여론이 극도로 악화되었다. 그리고 실제로 해체 직전의 상황에 몰리게 되었다가, AFC의 제안으로 해체를 간신히 모면했다. 그러던 와중에 이 나라 감독을 [[한국인]] 강병찬(1951~2002) [[한양대학교]] 감독이 맡아서 화제가 되었다. 하지만 당시 축구용품이 너무나도 부족하여 한국에서 후원했더니만 정작 운송방법이 없었다! 때문에 이웃나라 [[네팔]]에 운송해서 부탄 왕실 전용 헬기로 운반하는 방법으로 처리했다. 거의 승리를 모르던 부탄 축구팀은 강 감독의 지휘 아래, [[이란]]과 [[몰디브]], [[스리랑카]] 팀과 친선전을 상대로 1승 1무 1패를 거두게 되었는데 이게 역사상 첫 1승이라서 현지에선 월드컵 4강에 진출한 것 마냥 열광했다고 한다. 당시 '''부탄 국왕이 강 감독을 왕궁으로 초청'''하여 만찬을 가졌을 정도였다. 2002년 [[월드컵]] 당시 [[요코하마]]에서 월드컵 결승전이 열리던 그 날, 피파랭킹 202위(당시 FIFA 회원국은 총 203개국)로 203위였던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과 [[팀부]]에서 꼴찌 결정전을 치렀다. 몬트세랫이라고도 하고 몬세라트라고도 부르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 나라는 정식 독립국은 아니고 [[영국]]의 속령이다. FIFA 가입국은 반드시 정치적, 국제상으로 독립된 정부를 가진 독립국이 아니더라도 자기네 축구협회만 설립되어 FIFA에 등록이 되면 하나의 팀으로 인정되기 때문이다.[* 원래 엄밀히 치면 국가대표팀이란 것은 그 나라 축구협회 대표팀이라 해도 될 정도. 물론 속령이란 개념이 낯선 우리나라 사람들에겐 인지도가 없다시피한 지역들이 대부분이며, 축구에 대한 별다른 투자가 이뤄지지 않는 곳이 많기 때문에 국제대회에선 십중팔구 [[승점자판기]] 신세를 면치 못한다.] 참고로 이 경기가 열리기 얼마 전 강병찬 감독이 암으로 세상을 떠나면서 부탄 축구팀은 감독 없이 경기를 진행했다. 이 경기가 치러진 날은 강 감독의 49재 날이었다. 경기 결과는 부탄의 4-0 대승으로 끝났고 탈꼴찌는 성공했다. 이 경기는 다큐멘터리 필름으로도 제작되어서 국내에서는 [[EBS]]에서 꼴찌들의 월드컵이라는 제목으로 방영되기도 했고 [[스펀지(KBS)|스펀지]]에서 [[https://youtu.be/hPM4svQb7nk|방영되기도 했다.]] 경기를 보면 나름 피파 공인 A매치를 하고 있는데 경기장에 개가 막 돌아다닌다(...) 2009년 무려(?) '''189위(!)'''까지 실력이 급상승했는데 2008년에 열린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처음으로 1승을 거두며 4강까지 진출했기 때문이다. 참고로 2003년부터 이 대회에 나온 부탄은 2008년 대회를 빼고 죄다 3전 전패를 기록하고 있다. 이 2008년 남아시아 대회에서 부탄은 조예선에서 국제대회 역사상 처음으로 1승을 거뒀다.[* 참고로 국제대회 예선 첫 승은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괌]]을 상대로 6:0 승리를 거뒀다. 부탄의 홈에서!] 이때 [[아프가니스탄]]을 3-1로 이기고 [[스리랑카]]에게 0:2 패, [[방글라데시]]와 2:2로 비기며 조 2위로 4강에 진출했다. 4강 진출 치곤 초라하지만 대회 준우승한 [[인도]]에게 준결승전에서 연장전끝에 1:2로 아쉬운 역전패를 당하며 선전했다. 그야말로 [[부탄]] 축구 역사상 국제대회 최고 성적이었기에 '''현지에선 월드컵 4강 진출 분위기'''로 기뻐했다. 그리고 2009년 이 대회에선 [[파키스탄]]에게 0:7, [[방글라데시]]에게 1:4, [[스리랑카]]에게 0:6으로 대패하면서 다시 3전 전패 [[동네북]]으로 다시 돌아왔고 2011년 대회에선 조예선에서 [[아프가니스탄]]에게 1:8로 대패하며 [[아프가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역사상 최다 득점 기록까지 세워주면서 계속 3전 전패를 당하며 대회 꼴찌를 기록하고 있다. 이러니 2008년 4강 진출은 정말 한순간의 기적이었다. 이 4강 기적을 이끌어낸 감독이 바로 한국인 유기흥 감독이다. 그는 2007~2009년까지 부탄 국대 감독이었는데 부탄 축구협회에게 돈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선수들도 전문 축구선수가 거의 없어 다른 일로 벌어먹으며 축구하니 당연히 세계적인 축구 약체국일 수밖에 없다고 회고했다. 제대로 된 훈련 시설은커녕 의료 시설도 없었기에 영양도 컨디션 조절도 할 수 없어 자신이 선수들에게 먹일 음식을 직접 조리했다고 했다. 2년 동안 고생 실컷해서 다시는 감독으로 돌아가긴 싫다고 할 정도였다. 그래도 2015년 3월 18일 JTBC 뉴스룸에서 후술할 부탄의 첫 월드컵 2차예선 진출 소식을 전하면서 유 감독과 인터뷰를 했는데, 눈물이 살짝 맺힌 모습이 보인다. 또한 부탄축구협회가 초청만 해준다면 언제든지 방문하겠다는 말도 했다. 2015년 3월까지 부탄 국대 감독이었던 초키 니마는 2008년 남아시아 선수권 4강 진출 당시 국대선수이던 인물로 위에 나온 유기흥 감독이 전술을 지도했다고 한다 월드컵 예선은 단 1번도 나오지 않아서 죄다 기권 및 {{{#F0C420 불참}}}하고 있었다. 아시안 컵에서는 워낙 최약체라서 [[AFC 챌린지컵]] 성적으로 지역 예선에 통과하는데 여기서도 광탈 중. 2012 [[AFC 챌린지컵]]에서는 아프가니스탄에게 0:2, 0:3으로 패하며 탈락했다. 이렇듯 [[약소국]]이라 [[AFC 챌린지컵]]에 참가하고 있다. 홍보 차원에서 예선 없이 참가할 수 있었던 2006년 첫 대회는 1무 2패로 8강 진출에 실패했고, 그 이후는 예선에서 빠르게 [[광탈]]했다. 2012년 9월 피파랭킹은 [[산마리노]]와 북중미카리브의 영국령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와 공동 207위 꼴찌이자 아시아 최저 랭킹이다! 결국 지금도 축구 최약체인 셈. 참고로 몬트세랫은 8월 206위였다가 친선경기 승리로 181위로 무려 25계단이 일시적으로 올랐다. 한데 챌린지컵은 2014년을 마지막으로 사라졌다. 그러다가 피파가 예선참가비용을 보조해줘서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지역예선(아시아)]]에 사상 첫 예선 출전을 하게 되는데 이 아시아 1차예선에서 '''[[스리랑카]]를 1:0으로 이겼다!!! 그것도 원정에서!!!''' 2008년 [[아프가니스탄]]을 3:1로 이긴 뒤로 7년 만에 맛보는 국제경기 승리이자 부탄 역사상 월드컵 예선 첫 승리였으며 위에서도 나오듯이 그동안 여러 참패를 안겨준 스리랑카를 상대로 거둔 승리이기에 당연히 부탄은 축제 분위기에 휩싸였다. 참고로 그 이전 경기로 맞붙은 게 2013년 남아시아 선수권 대회 조예선에서 스리랑카는 부탄을 상대로 5:2로 이겼던 상대였다. 이제 부탄 홈경기만 치르면 되는데 부탄 홈 경기장이 해발 2천 미터가 넘고 스리랑카는 원정 다득점 원칙 때문에 무조건 2점 이상 넣어야 하는 상황이라 여기서 잘만 버티면 2차예선에 진출하게 된다. 그리고 2차전에서 홈 어드밴티지를 등에 업고 '''2:1 승리를 거두면서 총합 3:1 승. 부탄 역사상 최초로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에 오르는 업적을 이룩한다!!''' 또한 2013년부터 2015년 초까지 2년간 승리가 없어 피파 포인트가 0점이었고 당연히 피파랭킹 최하위였는데 이번 2연승으로 163위로 46위나 뛰어올랐고 2015년 5월에는 '''159위까지 올랐다.''' 그러나 아직은 약체임이 입증되었는데 2차예선 1차전 경기, 김판곤 감독이 이끄는 홍콩 원정에서 0:7로 대패했다. 참고로 홍콩 피파 랭킹은 2015년 5월 164위이다. 게다가 홍콩은 이 경기를 갖기 직전에 2015년 7월 피파랭킹 1위인 [[아르헨티나]]에게 똑같은 점수로 패했다. 이어서 [[중국]]과의 홈경기가 있었는데 반중감정이 넘치는 부탄에서 과연 중국 국가대표선수들과 중국 서포터를 입국시킬까 잠깐 관심을 끌었는데[* 부탄의 반중감정은 엄청나다. 서로 수교도 안하고 [[중일관계]]에서 일본의 역사왜곡이나 센카쿠 열도 분쟁 건에서 일방적으로 일본의 편을 들 정도.] ~~피파 징계는 받기 싫었는지~~ 정상적으로 경기를 치렀고 0:6으로 지고 만다. 그리고 2015년 9월 4일에 가진 2018 러시아 월드컵 지역예선 [[카타르]] 원정에서는 0:15로 지면서[* 이 경기는 현재 카타르 역대 최다 점수차 승리 기록이다.] 2000년에 [[쿠웨이트]]에게 당한 0:20 패배 못지않은 기록을 남겼다. 그렇게 부탄은 지는 건 당연한거고 몇 골을 먹히냐가 문제일때... 일을 낼 뻔했다!!! [[몰디브]]와 홈경기에서 후반 42분까지 0:4로 뒤지고 있던 걸 부탄 2차예선 첫 골과 함께 3골까지 넣으면서 무승부 직전까지 몰디브를 몰아넣었던 것. 결국 시간부족으로 지고 말았지만 부탄 국가대표팀이 짧은 기간 동안 많이 발전했다는걸 보여줬다. 이어 홍콩과의 홈경기에서도 착실히 경기를 하여 무승부로 끝날 뻔 하다가 90분이 다 되어서 1실점을 당해 0:1로 아쉽게 졌다.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C조]] 최종 성적은 8경기 8패 5득점 52실점 득실차 -47 기록. 뭐 부탄이 2차예선에 올라올 거라고 생각한 사람이 없었던지라 지금 이 성적자체도 원래 능력 이상 잘 한 것으로 봐야 한다. 2015년 12월에 열린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SAFF 스즈키컵]]에 출전했는데 첫 경기는 몰디브에게 1:3으로 졌다. 그리고 아프가니스탄과 방글라데시에게 연속으로 0:3으로 지면서 이번에도 3전전패로 탈락. 그러다 2019 AFC 아시안컵 예선 2차 플레이오프에서 방글라데시에게 원정에서 0:0으로 무실점 무승부를 만들어내는 일을 저지른다. 이제 2차전이 고지대 홈경기이니 환경이 유리해졌다. 그리고 그 예상대로 방글라데시를 홈에서 3:1로 이기고 '''부탄 축구 역사상 첫 아시안컵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또한 이 경기는 토르스텐 스피틀러감독의 데뷔전이라 뜻깊은 선물을 한 셈. 그렇게 최종예선에 올랐지만 결국 동네북이다. 팔레스타인에게 10-0 대패를 비롯하여 오만에게 14-0 대패를 연이어 패하며 1골도 넣지 못해 4전전패 0골 28실점으로 압도적 꼴지다. 그나마 원정에서 24실점했는데 조 1위 팔레스타인은 홈에서 0-2로 지며 안방에서 대패를 면한 수준. 그나마 몰디브를 상태로 골은 기록하며 0득점으로 마무리하는 것은 피했다. 최종예선에서 가장 많은 실점을 당했고, 결국 6전전패 2골 33실점을 기록하며 꼴지를 기록했다. 2018년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도 네팔에게 0-4,방글라데시 0-2, 파키스탄 0-3. 조예선 3전전패 0득점 9실점으로 광탈했다. 2022 카타르 월드컵 1차 예선에서 괌을 1-0으로 홈 경기는 이겼지만 2차전 원정은 0-5로 털리면서 골득실로 밀려 일찌감치 탈락했다. 2026 북중미 월드컵 1차 예선에서는 홍콩을 만나 1차 원정전에서는 4-0으로 패했으나 2차 홈경기에서 2:0으로 이기며 탈락하였으나 탈락국 중 유일한 승리를 거두며 2027년 아시안컵 최종예선에 진출하였다. 현재 부탄 선수들중 대다수가 아마추어 선수들이다. 부탄 내셔널리그라는 자국리그가 있기는 하지만 부탄의 경제사정이 좋지 못한데다 이에 영향을 받은 허약한 자국리그 사정상 대다수가 학업, 생업과 선수생활을 병행하고 있는 중.[* 카르마 셰드루프 체링 ] 그나마 유일하게 부탄에서 세계적인(?) 명성을 지닌 선수가 있기는 한데 '''부탄의 호날두'''(진짜 부탄에서 이렇게 부른다)란 별명을 가진 [[첸초 곌쳰]]이 한때 태국 '''[[부리람 유나이티드]]'''소속으로 뛰었던 적이 있다. 20대 초반인 첸초는 15세에 이미 부탄 국가대표에 승선한 경력도 있고, 이번 월드컵 예선에서 3골을 뽑아내며 순식간에 부탄 A매치 최다득점기록을 갱신하는 등 부탄 국대의 중심으로 자리잡고있다. ~~한국에서 뛰면 안될까? 내셔널리그 정도?~~ 부탄 축구 협회는 최근의 호성적 덕택에 2016년 AFC 시상식 올해의 협회 부문에서 올해의 개선 협회 종목 수상자가 된다. AFC 소속 국가대표팀 중 단 한 번도 한국과 만나지 않은 단 셋 뿐인 국가대표팀이기도 하다. 나머지 둘은 [[동티모르 축구 국가대표팀]]과 [[팔레스타인 축구 국가대표팀]]. 그나마 동티모르와 팔레스타인은 연령별 대회에서 한국과 마주쳐본 경험이라도 있지만, 부탄은 연령별 대회에서조차 한국과 단 한 번도 만나지 않은 유일한 AFC 소속 국가대표팀이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FBT이다. == 역대전적 == === [[FIFA 월드컵]] === || '''{{{#fff 연도}}}''' || '''{{{#fff 결과}}}''' || '''{{{#fff 순위}}}''' || '''{{{#fff 경기}}}''' || '''{{{#fff 승점}}}'''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30]] [br] [[1930 우루과이 월드컵|1930년 우루과이]] ||<-9><|18> {{{#F0C420 불참}}}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br][[1934 이탈리아 월드컵|1934년 이탈리아]]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1938 프랑스 월드컵|1938년 프랑스]]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br] [[1950 브라질 월드컵|1950년 브라질]] ||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30]] [br][[1954 스위스 월드컵|1954년 스위스]]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br] [[1958 스웨덴 월드컵|1958년 스웨덴]] || || [[파일:칠레 국기.svg|width=30]] [br][[1962 칠레 월드컵|1962년 칠레]] ||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br] [[1966 잉글랜드 월드컵|1966년 잉글랜드]] ||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br] [[1970 멕시코 월드컵|1970년 멕시코]]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br][[1974 서독 월드컵|1974년 서독]] ||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br] [[1978 아르헨티나 월드컵|1978년 아르헨티나]] ||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br][[1982 스페인 월드컵|1982년 스페인]] ||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br][[1986 멕시코 월드컵|1986년 멕시코]]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br] [[1990 이탈리아 월드컵|1990년 이탈리아]]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br][[1994 미국 월드컵|1994년 미국]]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1998 프랑스 월드컵|1998년 프랑스]]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br][[2002 한일 월드컵|2002년 한일]]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br] [[2006 독일 월드컵|2006년 독일]] ||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br][[2010 남아공 월드컵|2010년 남아공]] ||<-9> {{{#C8A2C8 기권}}}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br][[2014 브라질 월드컵|2014년 브라질]] ||<-9> {{{#F0C420 불참}}} ||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br][[2018 러시아 월드컵|2018년 러시아]] ||<-9><|3> {{{#f00 예선 탈락}}} ||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30]] [br][[2022 카타르 월드컵|2022년 카타르]]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br][[2026 북중미 월드컵|2026년 북미]] ||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30]] [br][[2030 FIFA 월드컵|2030년 월드컵]] || ? || ? || ? || ? || ? || ? || ? || ? || ? || || {{{#fff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0/23[* 월드컵 본선 출전 비율] || || || || || || || || === [[AFC 아시안컵]] === || '''{{{#fff 대회}}}''' || '''{{{#fff 결과}}}''' || '''{{{#fff 순위}}}''' || '''{{{#fff 경기}}}''' || '''{{{#fff 승}}}''' || '''{{{#fff 무}}}'''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fff 승점}}}''' ||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30]] [br] [[1956 AFC 아시안컵 홍콩|1956년]] ||<-9><|11> {{{#F0C420 불참}}}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br][[1960년 AFC 아시안컵|1960년]] ||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30]][br] [[1964년 AFC 아시안컵|1964년]] || || [[파일:이란 국기.svg|width=30]][br] [[1968년 AFC 아시안컵|1968년]]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br] [[1972년 AFC 아시안컵|1972년]] || || [[파일:이란 국기.svg|width=30]][br] [[1976년 AFC 아시안컵|1976년]] ||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30]] [br][[1980년 AFC 아시안컵|1980년]] ||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30]] [br][[1984년 AFC 아시안컵|1984년]] ||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30]][br] [[1988년 AFC 아시안컵|1988년]]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br][[1992년 AFC 아시안컵|1992년]] ||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30]][br][[1996년 AFC 아시안컵|1996년]] || || [[파일:레바논 국기.svg|width=30]][br] [[2000년 AFC 아시안컵|2000년]] ||<-9><|2> {{{#f00 예선 탈락}}} ||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br][[2004년 AFC 아시안컵|2004년]] ||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30]]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30]]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30]] [br] [[2007년 AFC 아시안컵|2007년]] ||<-9> {{{#F0C420 불참}}} ||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30]] [br][[2011년 AFC 아시안컵|2011년]] ||<-9><|4> {{{#f00 예선 탈락}}} || ||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br] [[2015년 AFC 아시안컵|2015년]] ||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30]] [br][[2019년 AFC 아시안컵|2019년]] ||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30]] [br][[2023년 AFC 아시안컵|2023년]]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30]][br] [[2027 AFC 아시안컵|2027년]] || ? || ? || ? || ? || ? || ? || ? || ? || ? || || {{{#fff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0/18 || || || || || || || ===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 || '''{{{#fff 대회}}}''' || '''{{{#fff 결과}}}''' || '''{{{#fff 순위}}}''' || '''{{{#fff 경기}}}'''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fff 승점}}}''' ||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30]] [br] 파키스탄 1993 ||<-9><|4> {{{#F0C420 불참}}} || || [[파일:스리랑카 국기.svg|width=30]] [br] 스리랑카 1995 || || [[파일:네팔 국기.svg|width=25]] [br]네팔 1997 || || [[파일:인도 국기.svg|width=30]] [br]인도 1999 ||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30]] [br]방글라데시 2003 || 조별리그 || 8위 || 3 || 0 || 0 || 3 || 0 || 11 || 0 ||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30]] [br]파키스탄 2005 || 조별리그 || 8위 || 3 || 0 || 0 || 3 || 1 || 9 || 0 || || [[파일:몰디브 국기.svg|width=30]] [[파일:스리랑카 국기.svg|width=30]] [br]몰디브&스리랑카 2008 || '''4강''' || '''4위''' || 4 || 1 || 1 || 2 || 6 || 7 || 4 ||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30]] [br]방글라데시 2009 || 조별리그 || 8위 || 3 || 0 || 0 || 3 || 1 || 17 || 0 || || [[파일:인도 국기.svg|width=30]] [br]인도 2011 || 조별리그 || 8위 || 3 || 0 || 0 || 3 || 1 || 16 || 0 || || [[파일:네팔 국기.svg|width=25]] [br]네팔 2013 || 조별리그 || 8위 || 3 || 0 || 0 || 3 || 4 || 16 || 0 || || [[파일:인도 국기.svg|width=30]] [br]인도 2015 || 조별리그 || 7위 || 3 || 0 || 0 || 3 || 1 || 9 || 0 ||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30]] [br]방글라데시 2018 || 조별리그 || 7위 || 3 || 0 || 0 || 3 || 0 || 9 || 0 || || [[파일:몰디브 국기.svg|width=30]] [br]몰디브 2021 ||<-9> {{{#F0C420 불참}}} || || [[파일:인도 국기.svg|width=30]] [br]인도 2023 || 조별리그 || 7위 || 3 || 0 || 0 || 3 || 2 || 9 || 0 || || 합계 || 4강(1회) || 9/14 || 28 || 1 || 1 || 26 || 15 || 102 || 4 || == 연령별 대표팀 == === U-23 대표팀 === ==== [[AFC U-23 아시안컵]] ==== || '''{{{#fff 연도}}}''' || '''{{{#fff 결과}}}''' || '''{{{#fff 순위}}}''' || '''{{{#fff 승점}}}''' || '''{{{#fff 경기}}}'''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 [[파일:오만 국기.svg|width=30]] [br] [[2014 AFC U-22 챔피언십 오만|2014년 오만]] ||<-9><|6> {{{#F0C420 불참}}} ||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30]] [br] '''[[2016 AFC U-23 챔피언십 카타르|2016년 카타르]]''' ||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br] [[2018 AFC U-23 챔피언십 중국|2018년 중국 ]]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br] '''[[2020 AFC U-23 챔피언십 태국|2020년 태국]]''' ||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30]] [br] [[2022 AFC U-23 챔피언십 우즈베키스탄|2022년 우즈베키스탄]] ||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30]] [br]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2024년 카타르]]''' || ||||<-12> 굵은 글씨는 올림픽 출전권이 걸려있는 대회 || || {{{#fff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0/6[* AfC U-23 아시안컵 본선 출전 비율] || || || || || || || || === U-20 대표팀 === ==== [[AFC U-20 아시안컵]] ==== || '''{{{#fff 연도}}}''' || '''{{{#fff 결과}}}''' || '''{{{#fff 순위}}}''' || '''{{{#fff 승점}}}''' || '''{{{#fff 경기}}}'''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12> {{{#234794 AFC youth 챔피언십 대회}}} ||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30]] [br] 1959 말레이시아 ||<-9><|22> 없음[* 부탄 축구협회 창립 이전] ||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30]] [br] 1960 말레이시아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br] 1961 태국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br] 1962 태국 ||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30]] [br] 1963 말레이시아 || ||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width=30]] [br] 1964 남베트남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br] 1965 일본 || ||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30]] [br] 1966 필리핀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br] 1967 태국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br] 1968 대한민국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br] 1969 태국 || ||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30]] [br] 1970 필리핀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br] 1971 일본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br] 1972 태국 || || [[파일:이란 국기.svg|width=30]] [br] 1973 이란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br] 1974 태국 ||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30]] [br] 1975 쿠웨이트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br] 1976 태국 || || [[파일:이란 국기.svg|width=30]] [br] 1977 이란 ||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30]] [br] 1978 방글라데시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br] 1980 태국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br] 1982 태국 ||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30]] [br] 1985 UAE ||<-9><|7> {{{#F0C420 불참}}}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30]] [br] 1986 사우디 ||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30]] [br] 1988 카타르 ||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30]] [br] 1990 인도네시아 ||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30]] [br] 1992 UAE ||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30]] [br] 1994 인도네시아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br] 1996 대한민국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br] 1998 태국 ||<-9> {{{#f00 예선 탈락}}} || || [[파일:이란 국기.svg|width=30]] [br] 2000 이란 ||<-9> {{{#C8A2C8 기권}}} ||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30]] [br] 2002 카타르 ||<-9><|2> {{{#f00 예선 탈락}}} ||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30]] [br] 2004 말레이시아 || || [[파일:인도 국기.svg|width=30]] [br] 2006 인도 ||<-9> {{{#F0C420 불참}}} || ||<-12> {{{#234794 AFC U-19 챔피언십 대회}}}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30]] [br] 2008 사우디 ||<-9> {{{#f00 예선 탈락}}} ||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br] 2010 중국 ||<-9> {{{#C8A2C8 기권}}} ||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30]] [br] 2012 UAE ||<-9> {{{#f00 예선 탈락}}} || || [[파일:미얀마 국기.svg|width=30]] [br] 2014 미얀마 ||<-9> {{{#F0C420 불참}}} || || [[파일:바레인 국기.svg|width=30]] [br] 2016 바레인 ||<-9> {{{#f00 예선 탈락}}} ||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30]] [br] 2018 인도네시아 ||<-9> {{{#F0C420 불참}}} || ||<-12> {{{#234794 AFC U-20 아시안컵}}} ||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30]] [br] 2023 우즈베키스탄 ||<-9> {{{#f00 예선 탈락}}} || || {{{#fff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0/39[* AfC U-20 아시안컵 본선 출전 비율] || || || || || || || || === U-17 대표팀 === ==== [[AFC U-17 아시안컵]] ==== || '''{{{#fff 연도}}}''' || '''{{{#fff 결과}}}''' || '''{{{#fff 순위}}}''' || '''{{{#fff 승점}}}''' || '''{{{#fff 경기}}}'''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12> [[AFC U-17 아시안컵|AFC U-16 Championship]] ||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30]] [br] 카타르 1985 ||<-9><|7> {{{#F0C420 불참}}} ||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30]] [br] 카타르 1986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br] 태국 1988 ||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30]] [br] 아랍에미리트 1990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30]] [br] 사우디아라비아 1992 ||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30]] [br] 카타르 1994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br] 태국 1996 ||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30]] [br] 카타르 1998 ||<-9><|2> {{{#C8A2C8 기권}}} || ||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30]] [br] 베트남 2000 || ||||<-12> [[AFC U-17 아시안컵|AFC U-17 Championship]] ||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30]] [br] 아랍에미리트 2002 ||<-9> {{{#C8A2C8 기권}}}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br] 일본 2004 ||<-9> {{{#f00 예선 탈락}}} ||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30]] [br] 싱가포르 2006 ||<-9> {{{#F0C420 불참}}} || ||||<-12> [[AFC U-17 아시안컵|AFC U-16 Championship]] ||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30]] [br] 우즈베키스탄 2008 ||<-9> {{{#f00 실격}}} ||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30]] [br] 우즈베키스탄 2010 ||<-9> {{{#f00 예선 탈락}}} || || [[파일:이란 국기.svg|width=30]] [br] 이란 2012 ||<-9> {{{#F0C420 불참}}}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br] 태국 2014 ||<-9> {{{#f00 예선 탈락}}} || || [[파일:인도 국기.svg|width=30]] [br] 인도 2016 ||<-9> {{{#F0C420 불참}}} ||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30]] [br] 말레이시아 2018 ||<-9> {{{#f00 예선 탈락}}} || ||||<-12> [[AFC U-17 아시안컵|AFC U-17 아시안컵]]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br] [[2023 AFC U-17 아시안컵 태국|태국 2023]] ||<-9> {{{#f00 예선 탈락}}} || || {{{#fff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0/19[* AFC U-17 아시안컵 본선 출전 비율] || || || || || || || || [각주] [[분류:아시아의 축구 국가대표팀]][[분류:부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