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9대 부산시의원/지역구)] ||<-4> '''[[부산광역시|[[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height=20]]]] {{{#fff [[부산광역시|{{{#fff 부산광역시}}}]]의 [[부산광역시의회|{{{#fff 의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부산광역시의회|[[파일:지방의회 휘장.svg|height=70]]]]}}}||{{{#!wiki style="margin: -5px 0" '''{{{+2 {{{#fff 북구 제3선거구}}}}}}'''[br]{{{-1 {{{#fff 금곡동, 화명2동[br]北區 第三選擧區[br]Buk District 3}}}}}}}}}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북구_제3선거구(부산)8재.png|width=100%]]}}} || ||<-2> '''선거인 수''' ||<-2> 48,356명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2년]]) || ||<-2> '''상위 행정구역''' ||<-2> [[부산광역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북구 일부'''[br]금곡동, 화명2동}}} || ||<-2> '''시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 || [[이종진(1969)|이종진]] ,,(재선),,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부산광역시]] [[북구(부산광역시)|북구]]의 북부에 위치한 [[금곡동(부산)|금곡동]], [[화명동|화명2동]] 일대를 관할한다. [[낙동강 벨트]]라 불리는 북구 안에서도 신도심 지역인지라 보수세가 가장 약한 지역이다. 2010년대 이후 [[더불어민주당]]의 득표율이 40%를 넘기는 일이 상당히 많은 곳이다. 하지만 결국은 [[국민의힘]] 지지세가 대체로 높은 지역으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7회 지선]]을 제외하면 모두 보수 성향의 후보가 이겼다. == 역대 선거 결과 == || 대수 || 당선자 || 당적 || 임기 || 비고 || ||<-5> '''북구 제2선거구''' || || 제2대 || [[배학철]] || [include(틀:민주자유당)]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 '''금곡동''', '''화명동''', 덕천2동] || ||<-5> '''북구 제1선거구''' || || 제3대 ||<|2> [[배학철]] ||<|2>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2> [* 구포1동, 구포2동, 구포3동, '''금곡동''', '''화명동'''] || || 제4대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5> '''북구 제3선거구''' || || 제5대 ||<|2> [[배문철]] ||<|2> [include(틀:한나라당)]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5> [* '''금곡동''', '''화명2동'''][* [[2003년]] [[7월]]에 화명동이 화명1,2,3동으로 분동되었다.] || || 제6대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 제7대 || [[이종진(1969)|이종진]]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 제8대 || [[이동호(1960)|이동호]]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 제9대 || [[이종진(1969)|이종진]] || [include(틀:국민의힘)] || [[2022년]] [[7월 1일]] ~ 현재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북구 제2선거구'''}}}}}}[br]{{{#ffffff 금곡동, 화명동, 덕천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배학철]](裵鶴喆)''' || '''19,352''' || '''1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56.60%''' || '''당선''' || ||<|2> {{{#FFFFFF {{{+5 '''2'''}}}}}} || 정도준(丁度俊) || 14,835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43.3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53,887 ||<|3> '''투표율'''[br]66.46% || || '''투표 수''' || 35,814 || || '''무효표 수''' || 1,627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북구 제1선거구'''}}}}}}[br]{{{#ffffff 구포1동, 구포2동, 구포3동, 금곡동, 화명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배학철]](裵鶴喆)''' || '''32,683'''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72.40%''' || '''당선''' || ||<|2> {{{#FFFFFF {{{+5 '''2'''}}}}}} || 조남구(曺南球) || 12,458 || 2위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27.5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11,320 ||<|3> '''투표율'''[br]42.14% || || '''투표 수''' || 46,918 || || '''무효표 수''' || 1,777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북구 제1선거구'''}}}}}}[br]{{{#ffffff 구포1동, 구포2동, 구포3동, 금곡동, 화명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배학철]](裵鶴喆)''' || '''28,454'''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59.55%''' || '''당선''' || ||<|2> {{{#ffffff {{{+5 '''2'''}}}}}} || 여창호(余昌浩) || 6,789 || 2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14.20% || 낙선 || ||<|2> {{{#ffffff {{{+5 '''3'''}}}}}} || 강호열(姜鎬烈) || 6,215 || 3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13.00% || 낙선 || ||<|2> {{{#FFFFFF {{{+5 '''4'''}}}}}} || 남한규(南韓奎) || 2,678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5.60% || 낙선 || ||<|2> {{{#FFFFFF {{{+5 '''5'''}}}}}} || [[손상용]](孫相龍) || 3,641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7.6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32,114 ||<|3> '''투표율'''[br]36.94% || || '''투표 수''' || 48,806 || || '''무효표 수''' || 1,029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북구 제3선거구'''}}}}}}[br]{{{#ffffff 금곡동, 화명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000000 {{{+5 '''1'''}}}}}} || 박봉철(朴俸徹) || 8,419 || 2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35.29% || 낙선 || ||<|2> {{{#FFFFFF {{{+5 '''2'''}}}}}} || '''[[배문철]](裵文喆)''' || '''15,432'''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64.70%'''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50,285 ||<|3> '''투표율'''[br]48.33% || || '''투표 수''' || 24,304 || || '''무효표 수''' || 453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북구 제3선거구'''}}}}}}[br]{{{#ffffff 금곡동, 화명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 || '''[[배문철]](裵文喆)''' || '''-'''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 || '''[[무투표 당선|{{{#373a3c,#dddddd 무투표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 ||<|3> '''투표율'''[br]- || || '''투표 수''' || - || || '''무효표 수''' || -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북구 제3선거구'''}}}}}}[br]{{{#ffffff 금곡동, 화명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종진(1969)|이종진]](李鍾鎭)''' || '''14,628'''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52.72%''' || '''당선''' || ||<|2> {{{#FFFFFF {{{+5 '''2'''}}}}}} || 김명석(金明錫) || 9,337 || 2위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33.67% || 낙선 || ||<|2> {{{#FFFFFF {{{+5 '''3'''}}}}}} || 김인규(金仁圭) || 879 || 4위 || || [include(틀:통합진보당)] || 3.17% || 낙선 || ||<|2> {{{#FFFFFF {{{+5 '''4'''}}}}}} || 손동호(孫東鎬) || 2,893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0.4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49,943 ||<|3> '''투표율'''[br]56.71% || || '''투표 수''' || 28,323 || || '''무효표 수''' || 596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북구 제3선거구'''}}}}}}[br]{{{#ffffff 금곡동, 화명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동호(1960)|이동호]](李東浩)''' || '''15,872'''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2.78%''' || '''당선''' || ||<|2> {{{#FFFFFF {{{+5 '''2'''}}}}}} || [[이종진(1969)|이종진]](李鍾鎭) || 11,404 || 2위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37.92% || 낙선 || ||<|2> {{{#FFFFFF {{{+5 '''3'''}}}}}} || 배봉철(裵鳳喆) || 2,791 || 3위 || || [include(틀:바른미래당)] || 9.2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49,873 ||<|3> '''투표율'''[br]61.92% || || '''투표 수''' || 30,884 || || '''무효표 수''' || 817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북구 제3선거구'''}}}}}}[br]{{{#ffffff 금곡동, 화명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양훈(鄭良勳) || 8,928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36.73% || 낙선 || ||<|2> {{{#FFFFFF {{{+5 '''2'''}}}}}} || '''[[이종진(1969)|이종진]](李鍾鎭)''' || '''15,375'''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63.26%''' || '''{{{#000000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48,356 ||<|3> '''투표율'''[br]51.76% || || '''투표 수''' || 25,027 || || '''무효표 수''' || 724 ||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동호(1960)|이동호]] 시의원이 구청장 선거를 노리다가 아예 이번 선거 자체에 불출마를 선언한 관계로 새로운 후보를 찾아야 한다. 하지만 후보가 좀처럼 나오지 않았고 재공모를 한 끝에 마선거구[* [[화명동|화명1,3동]]. 이 지역이 아닌 [[북구 제4선거구(부산)|옆 지역구]]와 관할 구역이 일치한다.]에서 구의원을 지낸 정양훈 전 구의원이 출마를 한다. [[국민의힘]]에서는 [[이종진(1969)|이종진]] 전 시의원이 다시 단수공천을 받으며 재선에 도전한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구도가 형성되었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이종진 후보의 25%p차 이상의 승리로 징검다리 재선에 성공하였다. 모든 동에서 이종진 후보가 61~63%대를 얻으며 1위를 차지하였다. 다만 비교적 민주당에 웃어주는 관외사전투표에서는 7.5%p차의 접전을 펼쳤다. [[화명동|화명2동]]에서 63.05%, [[금곡동(부산)|금곡동]]에서 64.55%를 이종진 후보가 얻으며 관내투표에서는 크게 이긴 반면, 관외사전투표에서는 9%p차로 접전 양상이였다. [[분류:선거구/부산광역시]][[분류:북구(부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