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include(틀:중국 인민해방군의 전구)] ||<-2> {{{#ffff00 {{{+2 '''중국 인민해방군 북부전구'''}}}[br]中国人民解放军北部战区[br]People's Liberation Army Northern Theater Command }}} || ||<-2> [[파일:Screenshot_20220425-201109_NAVER.jpg|width=300]] || ||<-2> {{{#ffff00 '''중국 인민해방군 북부전구 심볼''' }}} || ||<-2> {{{#ffff00 '''모토''' }}} || ||<-2> 당의 지휘를 따르면, 싸움에서 이길 수 있고, 작풍이 우수하다[br](听党指挥、能打胜仗、作风优良) || || {{{#ffff00 '''창설 연도''' }}} ||[[2016년]] [[2월 1일]] || || {{{#ffff00 '''국가'''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중화인민공화국]] || || {{{#ffff00 '''명령체계''' }}}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중앙군사위원회]] || || {{{#ffff00 '''소속''' }}} ||[[파일:중국 인민해방군기.svg|width=30]] [[중국 인민해방군]] || || {{{#ffff00 '''내부조직''' }}} ||북부전구육군, 북부전구해군, 북부전구공군 || || {{{#ffff00 '''군종''' }}} ||[[통합군]] || || {{{#ffff00 '''전력''' }}} ||17만 ~ 20만명 || || {{{#ffff00 '''본부''' }}} ||{{{-2 [[랴오닝성]] [[선양시]] 허핑구 난징베이제 107 건너편[br]辽宁省沈阳市和平区南京北街107号}}}[* [[선양 지하철]] 1호선 타이위안제(太原街)역 B번 출구에서 하차 후 북동쪽 도로를 따라 로터리를 거쳐 도보 1.3km] || || {{{#ffff00 '''행진곡''' }}} ||[[중국인민해방군진행곡]] || || {{{#ffff00 '''참전''' }}} ||없음 || ||<-2> {{{#ffff00 '''지휘''' }}} || || {{{#ffff00 '''북부전구[br]사령원''' }}} || [[파일:중국공군상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상장 [[왕창(중국군)|왕창]](王强)^^([[중국 인민해방군 공군|공군]])^^ || || {{{#ffff00 '''북부전구[br]정치위원''' }}} || [[파일:중국육군상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상장 정쉬안(郑璇)^^([[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육군]])^^ || || {{{#ffff00 '''북부전구[br]부사령원''' }}} || {{{-2 [[파일:중국공군중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중장 류원치(刘文起)^^([[중국 인민해방군 공군|공군]])^^[* 북부전구 공군사령원 겸임][br][[파일:중국해군중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중장 왕다중(王大忠)^^([[중국 인민해방군 해군|해군]])^^[* 북부전구 해군(북해함대)사령원 겸임][br][[파일:중국육군중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중장 자오즈단(赵志丹)^^([[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육군]])^^}}} || || {{{#ffff00 '''북부전구[br]부정치위원''' }}} || {{{-2 [[파일:중국해군중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중장 푸야오취안(傅耀泉)^^([[중국 인민해방군 해군|해군]])^^[* 북부전구 해군 정치위원 겸임][br][[파일:중국공군중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중장 차이리산(蔡立山)^^([[중국 인민해방군 공군|공군]])^^[* 북부전구 공군 정치위원 겸임][br][[파일:중국육군중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중장 뤄이창(罗益昌)^^([[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육군]])^^[br][[파일:중국육군중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중장 먀오원장(缪文江)^^([[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육군]])^^[* 북부전구 정치공작부 주임 겸임]}}} || {{{+1 '''北部战区 | Northern Theater Command | 북부전구'''}}} [[파일:external/img.segye.com/20160202003981_0.jpg|width=450]] [[파일:북부전구_2022.jpg|width=450]]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인민해방군]]의 5대 전구 중 북부에 위치한 전구이다. 이른바 [[동북 3성]]이라 불리는 [[지린성]], [[랴오닝성]], [[헤이룽장성]]과 [[내몽골 자치구]], [[산둥성]]을 관할한다. 과거의 [[선양군구]]와 권역이 거의 일치하고, [[베이징군구]]와 [[지난군구]]의 일부를 편입했다. 북부전구는 최근 북핵문제나 한국군 및 미군 대응에도 불구하고 40집단군이 해체됐고, 78(舊16집단군)/79(舊39집단군)/80(舊26집단군) 집단군으로 개편되었다. 다만 여기 편제가 혼선이 되는게 중국 쪽 자료에서는 40집단군이 해체되었다고 하는 반면, 서구 언론에서는 16집단군이 해체되었다라는 입장으로 나뉘어져 있다. 그렇지만, 옛 선양군구는 물론이고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내에서도 최정예 투 톱으로 꼽히는 옛 39집단군인 79집단군은 오히려 전력이 증강됐고, 한반도와 지척인 산둥반도, 그리고 만주지역인 [[헤이룽장성]]과 [[내몽골 자치구]]까지 관할 지역에 포함됐다는 점을 보면 러시아와 한반도 견제 역할이 강화됐다고 보는 게 맞을 것이다.[* 한마디로 중국에서는 러시아를 혈맹으로 생각하지 않으며 오히려 경계한다는 뜻이다.] 게다가 위수지역이 [[만주]]를 중심으로 러시아와 몽골 접경지에도 길게 이어져 있고, 여기에 한반도에 가까운 [[산둥반도]]까지 [[월경지]]로 붙여놓았는데, 이런 형태는 행여나 있을 [[러시아]]와의 무력 충돌 및 한반도를 향한 공방전에 대비하려고 정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도 경계해야 하는것 아닌가?' 라는 [[중일관계|의구심]]이 들 수 있지만 그건 [[동부전구]]가 센카쿠와 [[대만]]을 포괄해 담당하고 있기 때문. 다만 위급한 상황이라면 북부전구에서 병력을 차출할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 미 국방부가 미 의회에 제출한 <중국 군사·안보 발전 태세 2019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3개 집단군(78·79·80군) 17만 명, 해군 함대, 공군기지 두 곳, 해병 2개 여단, 해군 항공사단 2개, 로켓군 기지 한 곳, 국경 수비를 담당하는 무장경찰이 북부전구에 배속됐으며, 북한 긴급 사태 시 다른 전구에서 추가 병력을 요청할 수 있다고 한다. 게다가 북한에 이변이 발생하거나 심기를 거슬러, [[북한군 vs 중국군|북한을 무력 침공할 시]] 량강도에 위치한 [[제12군단]]과 충돌할 가능성도 높다. [[http://www.f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73306&replyAll=&reply_sc_order_by=C|비상 시 북한과의 접경 지역 군인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친다고 한다.]] [[2020년]] [[육군교육사령부]]에서는 비실한 북한군보다 그 위에 있는 북부전구가 더 위협적이라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014094|기사]] == 편제 == === 기능부서 === * 연합참모부 * 전투국 * 정보국 * 정보보장국 * 군사수요국 * 연합훈련국 * 동원국 * 직속공작국 * 전시근무국 * 연합참모부 직속단위 * 연합작전지휘센터 * 연합참모부 직속부대 * 정보통신여단 * 정치공작부 * 사무실 * 조직국 * 간부국 * 군민국 * 선전국 * 단체근로자연락국 === 전투부서 ===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북부전구육군]] ==== 사령부는 [[지난시]] [[스중구(지난시)|스중구]] 스리춘가도(济南市市中区四里村街道) 잉융산(英雄山) 서쪽의 육교 건너편, 구 [[지난군구]] 사령부 건물을 그대로 쓰고있다.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제78집단군''' :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샹팡구 주둔 * 제8합성여단 ,,,중형(重型),,, [合成] ([[헤이룽장성]] [[하얼빈]] 샹판구) * 제48합성여단 ,,,경형(輕型),,, ([[지린성]] [[퉁화시]] 둥창구) * 제68합성여단 ,,,중형(重型),,, ([[헤이룽장성]] [[치치하얼시]] 룽사구) * 제115합성여단 ,,,중형(中型),,, ([[헤이룽장성]] [[다칭시]] 랑후루구) * 제202합성여단 ,,,중형(重型),,, ([[지린성]] [[쓰핑시]] 테둥구) * 제204합성여단 ,,,중형(重型),,, ([[지린성]] [[지린시]] 자오허시) * 제78특수전여단 [特战] 설랑부대(雪狼) ([[헤이룽장성]] [[무단장시]] 양밍구) * 제78포병여단 [炮兵] ([[지린성]] [[쓰핑시]] 테둥구) * 제78방공여단 [防空] ([[지린성]] [[창춘시]] 뤼위안구) * 제78공병여단 [工化] ([[지린성]] [[지린시]] 촹잉구) * 제78육군항공여단 [陆航] ([[지린성]] [[바이청시]] 타오베이구) * 제78물류지원여단 [勤务支援]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샹팡구 )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제79집단군''' : [[랴오닝성]] [[랴오양시]] 타이쯔허구 주둔 * 제46합성여단 ,,,중형(中型),,, [合成] ([[랴오닝성]] [[다롄시]] 와팡뎬시) * 제116합성여단 ,,,중형(重型),,, [[랴오닝성]] ([[안산시(중국)|안산시]] 하이청시) * 제119합성여단 ,,,경형(輕型),,, ([[내몽골자치구]] [[츠펑시]] 홍산구) * 제190합성여단 ,,,중형(重型),,, ([[랴오닝성]] [[번시시]]) * 제191합성여단 ,,,경형(輕型),,, ([[랴오닝성]] [[단둥시]] 젠안구) * 제200합성여단 ,,,중형(中型),,, ([[랴오닝성]] [[잉커우시]]) * 제79특수전여단 [特战] 동북호부대(东北虎) * 제79포병여단 [炮兵] ([[랴오닝성]] [[진저우시]] 링허구) * 제79방공여단 [防空] ([[랴오닝성]] [[다롄시]] 진저우구) * 제79공병여단 [工化] * 제79육군항공여단 [陆航] ([[랴오닝성]] [[진저우시]] 타이허구) * 제79물류지원여단 [勤务支援] ([[랴오닝성]] [[랴오양시]] 바이타구)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제80집단군''' : [[산둥성]] [[웨이팡시]] 쿠이원구 주둔 * 제47합성여단 ,,,경형(輕型),,, [合成] ([[산둥성]] [[빈저우시]] 쩌우핑시) * 제69합성여단 ,,,중형(重型),,, ([[산둥성]] [[웨이팡시]] 웨이청구) * 제118합성여단 ,,,중형(中型),,,([[진저우시]]) * 제138합성여단 ,,,경형(輕型),,,([[산둥성]] [[옌타이시]] 라이양시) * 제199합성여단 ,,,중형(中型),,,([[산둥성]] [[쯔보시]] 장뎬구) * 제203합성여단 ,,,중형(中型),,,([[산둥성]] [[잉커우시]]) * 제80특수전여단 [特战] 태산영웅부대(泰山雄鹰) * 제80포병여단 [炮兵] * 제80방공여단 [防空] ([[산둥성]] [[지난시]] [[화이인구(지난시)|화이인구]]) * 제80공병여단 [工化] ([[산둥성]] [[옌타이시]] 라이양시) * 제80육군항공여단 [陆航] ([[산둥성]] [[랴오청시]] 둥창푸구) * 제80물류지원여단 [勤务支援] ([[산둥성]] [[웨이팡시]] 팡쯔구) * 기타 직속 부대 * 정찰정보 제4여단(侦察情报第四旅) ([[옌지시]]) * 정보보증 제4여단(信息保障第四旅) ([[리청시]]) * 전자대항 제4여단(电子对抗第四旅) * 변방(국경수비) / 해방(해안방어)부대 * 변방 제321여단(边防第三二一旅) ([[네이멍구 자치구]] [[아라산맹]]) * 변방 제322여단 ([[네이멍구 자치구]] [[바오터우시]] 둥허구) * 변방 제323여단 ([[네이멍구 자치구]] [[시린궈러맹]]) * 변방 제324여단 ([[네이멍구 자치구]] [[후룬베이얼시]], [[아라산맹]]) * 변방 제325여단 ([[네이멍구 자치구]] [[후룬베이얼시]] [[만저우리시]]) * 변방 제326여단 ([[헤이룽장성]] [[다싱안링지구]] 모허시, [[헤이룽장성]] 헤이허시) * 변방 제327여단 ([[헤이룽장성]] [[허강시]] 루베이현) * 변방 제328여단 ([[헤이룽장성]] [[지시시]] 지둥현) * 변방 제329여단 ([[지린성]] [[연변]]조선족 자치주 훈춘시) * 변방 제330여단 ([[지린성]] [[바이산시]] 창바이 조선족자치현) * 변방 제331여단 ([[랴오닝성]] [[단둥시]] 콴뎬 만족 자치현 Langtou) * 해방 제332여단 ([[랴오닝성]] [[다롄시]] 창하이현) * 해방 제333여단 ([[산둥성]] [[옌타이시]]) * 해방 제334여단 : [[산둥성]] [[웨이하이시]] * 해방 제335여단 : [[산둥성]] [[칭다오시]] / [[르자오시]] * 직속단위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제7종합훈련기지: 랴오닝성 다롄시 진저우구 룽산로 1. 구 선양군구 종합훈련기지.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제8종합훈련기지: 산둥성 지난시 화이인구 용준로. 좌표 36°37’25.86″N 116°54’40.42″E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주르허 합동전술훈련기지[* 넓이가 1066㎢로 서울의 1.8배에 이르며, 중국에서 제일 큰 훈련기지로 사단급 훈련이 가능하다. 대만 주석궁을 본뜬 건물과 에펠탑을 본뜬 구조물, 사막과 구릉, 평원 등 다양한 지형으로 구성된 첨단 훈련장이다.]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타오난 합동전술훈련기지 * 중국 인민해방군 제78집단군 의원[* 북부전구 육군 제78집단군 산하 병원으로 구 중국 인민해방군 제209병원] : [[헤이룽장성]] [[무단장시]] 아이민구(黑龙江省牡丹江市爱民区天晴街1号) * 중국 인민해방군 제79집단군 의원[* 북부전구 육군 제79집단군 산하 병원으로 구 중국 인민해방군 제89병원] : [[랴오닝성]] [[랴오양시]] 바이타구 위국로148호(辽宁省辽阳市白塔区卫国路148号) * 중국 인민해방군 제80집단군 의원[* 북부전구 육군 제80집단군 산하 병원으로 구 중국 인민해방군 제201병원] : [[산둥성]] [[웨이팡시]] 베이궁시길 256호(潍坊市北宫西街256号) ====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북부전구해군]]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북해함대)] 사령부는 [[칭다오시]] * 직속단위(북부전구 해군) * 중국해군박물관: [[칭다오시]] [[스난구]] 라이양로 8호, 1988년 개관, 루쉰(魯迅)공원과 샤오칭다오(小靑島)공원 중심에 있으며 입장권은 1인당 60위안이다. *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잠수함 시험 및 해상 시험 훈련 기지 : [[랴오닝성]] [[다롄시]] [[뤼순커우구]] 뤼순항 소재 * 중국 인민해방군 북부전구 해군 훈련기지 * 중국 인민해방군 북부전구 해군 함정훈련센터 *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971의원[* 구 인민해방군 401의원] [* 북의원: [[스난구]] 민장로(闽江路) 22호, [[칭다오 지하철 3호선]] [[우쓰광창역]] A2번출구. 남의원: [[리창구]] 지우수이동로(九水东路) 186호 라오산분원: [[라오산구]] 라오산로 109호] : 산둥성 칭다오시 산재 ====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북부전구공군]] ==== 사령부는 [[선양시]] || '''부대''' || '''주둔지''' || '''단대호 표기''' || '''운영 기종''' || |||||||| 다롄 기지[* 부군급] || || 1여단 || [[랴오닝성]] [[안산시(중국)|안산시]] [[안산 텅아오 공항]] || 61X2X || [[J-20]] || || 2여단 || [[네이멍구 자치구]] [[츠펑시]] [[츠펑 왕룽 공항]][* 좌표 42°09′35″N 118°50′27″E] || 61X3X || [[J-10]]C || || 3여단 || [[헤이룽장성]] [[치치하얼]]시 [[치치하얼 싼자쯔 공항]][* 좌표 47°14′22.66″N 123°55′05.27″E] || 61X4X || [[J-16]] || || 31여단 || 지린성 [[쓰핑시]] 카이위엔 공항[* 좌표 43°09′28″N 124°17′25″E] || 64X2X || [[JH-7]] || || 61여단 || [[지린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 [[연길 조양천 공항]] || 67X2X || [[J-10]]B || || 63여단 || 헤이룽장성 [[무단장 하이랑 공항]] || 67X2X || [[J-7]]H || || 88여단 || 랴오닝성 [[단둥시]] [[단둥 랑터우 공항]][* 좌표 40°01′32″N 124°17′13″E] || 69X9X || [[J-7]]E || || 89여단 || 랴오닝성 [[다롄시]] 푸란뎬구 [[푸롄뎬 공항]][* 좌표 39°27′02″N 122°01′14″E] || 70X0X || [[J-11]]B || |||||||| 지난 기지[* 2017년 신설. 부군급] || || 15여단 || [[산둥성]] [[웨이팡시]] [[웨이팡 공항]] [* 좌표 36°38′48″N 119°06′52″E] || 62X6X || [[J-16]] || || 34여단 || [[산둥성]] [[웨이하이시]] [[웨이하이 다수이보 국제공항]] || 64X5X || [[J-10]]A || || 44여단 || [[네이멍구 자치구]] [[후허하오터시]] [[비커치 공항]][* 좌표 39°43′13″N 113°08′48″E] || 65X5X || [[J-7]]G || || 55여단 || 산둥성 [[지닝시]] [[지닝 취푸 공항]][* 좌표 35°17′44″N 116°20′53″E] || 66X6X || [[J-20]] || |||||||| 제16특수사[* 전구 공군 직할] || || 46연대 || 랴오닝성 선양시 || 2XX7X || [[J-8]]F || || 47연대 || 랴오닝성 [[선양시]] || 2XX7X || [[KJ-500]], [[Y-8]] || || 48연대 || 지린성 [[솽라오시]] || 2XX7X || [[W-7]] || |||||||| 2023년 여름에 해군 항공대에서 이관 || || 805여단 || 14항공단 옌타이 라이샨(烟台莱山)기지[* 국제공항 겸임][br] 15항공단 자오저우(胶州)기지 || 8XX5X || 14항공단 [[JH-7]]A, 15항공단 J-8HF || || 807여단 || 랴오닝성 쑤이중(辽宁绥中)기지 || 8XX7X || [[JH-7]]A, JL-9 || * 직속단위(북부전구 공군) *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선양항공장비훈련기지 * 중국 인민해방군 북부전구 공군의원[* 구 인민해방군 463의원]: [[랴오닝성]] [[선양시]] 다둥구 샤오허옌로 46호(辽宁省沈阳市大东区小河沿路46号) == 전구 소속이 아닌 부대 == 위치만 북부전구이고, 전구의 지휘를 받지 않는 부대이다. === [[중국 인민해방군 로켓군]] === [[파일:Screenshot_20221110-160154_Hancom Office Viewer.jpg]] || 65기지 |||||||| 랴오닝성 [[선양시]] 황구구 압록강북로 53(辽宁省沈阳市皇姑区鸭绿江北街 53 号) || |||||||| 65기지는 중국 동북부 선양시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중국 동북부와 산둥 반도에 걸쳐 있는 작전 기지이다. 최소 2개의 도로 이동형 핵여단, 2개의 핵-전통형 IRBM 여단, 1개의 ASBM 여단, 1개의 극초음속 MRBM 여단, 1개의 순항미사일 여단을 지휘하고 있다. 2017년 초부터 3개 여단에서 6개 여단으로 확대되면서 규모가 두 배가 되었다.|| ||651여단||[[츠펑시]] 송산구 좌표42.257, 118.825l|| DF-3, DF-21을 거쳐 2020년 8월 DF-41 배치. DF-41을 받으면서부터 다롄에서 츠펑으로 옳겼음.예하에 6개 대대.||[[DF-41|DF-41A]]|| |||||| 1~6발사대대, 통신대대, 작전보장대대, 종합보장대대, 기술대대 || ||652여단||[[퉁화시]] 둥창구|| DF-21C를 운용하는 유일한 여단. 최근 알려지지 않은 DF-31 파생형으로 전환 중. ||[[DF-21#s-2|DF-21C]]|| ||653여단||[[지난시]][* 본디 라이우시였으나 2019년 1월 지난에 흡수됨]라이우구|| DF-21D 배치로 동중국해의 분쟁시 대응하려는 목적으로 추정. 2020년부터 DF-26 혹은 알려지지 않은 DF-21E 파생형으로 전환 추정. ||[[DF-21#s-2|DF-21C/D]]|| ||654여단||[[다롄시]] 진저우구|| DF-26이 처음으로 배치된 여단 중 하나. ||[[중국 둥펑 시리즈#s-2.14|DF-26]]|| ||655여단||[[퉁화시]] 둥창구|| DF-17이 배치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 ||[[DF-17]]?|| ||656여단||[[지난시]] 라이우구|| DF-100(CJ-100) 순항미사일이 처음으로 배치되는 여단. ||[[DF-100]]?|| ||훈련단 [训练团]|| ||통신단 [通信团]|| ||작전보장단 [作战保障团]|| ||종합보장단 [综合保障团]|| ||장비단 [装检团]|| ||96605병원[96605 部队医院]|| === [[중앙군사위원회 연근보장부대]] === 심양 합동 물류 지원 센터(부군급) * 참모부 전시근무훈련소(战勤训练处) 직속공작소(直属工作处) * 정치공작부 홍보처 군인 및 민간인 서비스(兵员和文职人员处) * 공급처(供应处) * 운송배달처(运输投送处) * 근위처(卫勤处) * 창고관리처(仓储管理处) * 군사시설건설처(军事设施建设处) * 과학기술정보화처(科技和信息化处) * 군사대표사무소(军事代表办事处) * [[중국철도선양그룹|선양 철도국]] 군사대표부 * [[다칭둥역]] 군사 대표 사무소 * [[중국철도하얼빈그룹|하얼빈 철도국]] 군사대표부 * [[중국철도후허하오터그룹|후허하오터 철도국]] 군사대표부 * [[중국철도지난그룹|지난 철도국]] 및 수로 군사 대표부 * 예하 부대 중국인민해방군 북부전구 종합병원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60병원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61병원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62병원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63병원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64병원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65병원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66병원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67병원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68병원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69병원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70병원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다롄재활센터 중국인민해방군 북부전구 질병통제예방센터 ===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 – 무장 경찰 산동 총대(武警山东总队) – 무장 경찰 랴오닝 총대(武警辽宁总队) – 무장 경찰 지린 총대(武警吉林总队) – 무장 경찰 헤이룽장 총대(武警黑龙江总队) – 무장경찰 네이멍구 총대(武警内蒙古总队) 전부 부군급. == 역대 사령원 == [include(틀:중국 인민해방군 북부전구 역대 사령원)] [[분류:중국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