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북아일랜드 분쟁]] [include(틀:영국-아일랜드 관계 관련 문서)] ||<-4> {{{#fff {{{+1 '''북아일랜드 분쟁'''}}}[br]'''Na Trioblóidí'''[br]'''The Troubles'''}}} || ||<-4> {{{#!wiki style="margin: -5px -11px" [[파일:troubles-bogside-gettyimages-3368592.jpg|width=100%]]}}} || ||<-4> {{{#fff '''기간'''}}} || ||<-4> 1960년대 ~ [[1998년]][* 분쟁 종식 기준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1999년설, 2005년설 등 학자들마다 의견이 [[https://cain.ulster.ac.uk/faq/faq2.htm|다양하게 갈린다]]. 심지어 현재진행형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 ||<-4> {{{#fff '''장소'''}}} || ||<-4> [[북아일랜드]],,(주요 분쟁지),,, [[영국]], [[아일랜드]], 일부 유럽 국가 || ||<-4> {{{#fff '''원인'''}}} || ||<-4> 개신교와 가톨릭/독립 반대파와 찬성파로 갈린 정치, 종교 갈등[br][[피의 일요일 사건(북아일랜드)|영국군의 북아일랜드 지역 시위 과잉진압]] || ||<-4> {{{#fff '''교전국 및 교전세력'''}}} || ||<^|1>'''국가보안군'''[br][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include(틀:국기, 국명=아일랜드)] ||<^|1>'''[[아일랜드 공화국군]]'''[br]{{{#!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8px; border: 1px solid rgba(45, 47, 52, .2); vertical-align: middle" [[파일:Provisional_Irish_Republican_Army_Badge.png|width=100%]]}}}임시 아일랜드 공화국군[br]{{{#!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8px; border: 1px solid rgba(45, 47, 52, .2); vertical-align: middle" [[파일:INLA.png|width=100%]]}}}아일랜드 국민해방군[br]공식 아일랜드 공화국군[br]진짜 아일랜드 공화국군[br]아일랜드 인민해방기구 ||<^|1>'''얼스터 충성파'''[br]{{{#!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8px; border: 1px solid rgba(45, 47, 52, .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얼스터 방위협회 깃발.svg|width=100%]]}}}얼스터 방위협회[br]{{{#!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8px; border: 1px solid rgba(45, 47, 52, .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얼스터 의용군 깃발.svg|width=100%]]}}}얼스터 의용군[br]붉은 손 코만도[br]얼스터 저항운동[br]충성파 의용군[br]얼스터 개신교도 의용군 || ||<-4> {{{#fff '''지원국 및 지원 세력'''}}} || ||<^|1> ||<^|1>[include(틀:국기, 국명=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출력=리비아)][br]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아일랜드계 미국인]]들 [br] [[아일랜드 마피아]]||<^|1>[include(틀:국기, 국명=남아프리카 연방)][* 남아공 무기상들은 IRA에게도 무기를 댔다.] || ||<-4> {{{#fff '''결과'''}}} || ||<-4> [[벨파스트 협정]] || ||<-4> {{{#fff '''피해'''}}} || ||<-4> 3,532명 사망[* 민간인 1,840명][* [[https://cain.ulster.ac.uk/sutton/tables/Status_Summary.html]]][br]47,541명 부상[* [[https://cain.ulster.ac.uk/ni/security.htm#05]]] || ||<-4> {{{#fff '''주요 사건'''}}}[* [[https://cain.ulster.ac.uk/events/index.html|참고 자료]]. 여기 적힌 사건들은 북아일랜드 분쟁의 일부로 [[https://en.wikipedia.org/wiki/Template:Campaignbox_Northern_Ireland_Troubles|영어 위키백과]]에 문서가 존재하는 관련 사건 수는 엄청 많다.] || ||<-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1>인권행진(1964~1972)[br]데리 행진(1968년 10월 5일)[br]인민민주주의 행진(1969년 1월 1일~1월 4일)[br]영국군 배치(1969년 8월 14일~2007년 7월 31일)[br]억류(1971~1975)[br][[피의 일요일 사건(북아일랜드)|피의 일요일 사건]](1972년 1월 30일)[br]직접 통치 도입(1972년 3월 30일)[br]피의 금요일 사건(1972년 7월 21일)[br]서닝데일 협정(1973년 12월 6일~9일)[br]얼스터 노동자 위원회 파업(1974년 5월)[br]더블린-모너핸 폭파(1974년 5월 17일)[* 친영 민병대인 얼스터 의용군이 더블린과 모너핸에서 저지른 차량 폭탄 테러로 34명이 사망했다.][br]IRA 휴전(1975년 2월 9일~1976년 1월 23일)[br]제헌 회의(1975년 5월 8일~1976년 3월 5일)[br]UUAC파업(1977년 5월 3일~13일)[br][[아일랜드 단식투쟁]](1981)[br]북아일랜드 의회(1982년 11월~1986년 6월)[br]영국-아일랜드 협정(1985년 11월 15일)[br]브루크/메이휴 회담(1991년 4월~1992년 11월)[br][[벨파스트 협정|평화 절차]](1993~현재)[br]오마 폭파(1998년 8월 15일)[* [[IRA|RIRA]]가 저지른 차량 폭탄 테러로 29명이 사망했다. [[http://news.bbc.co.uk/2/hi/uk_news/northern_ireland/7154952.stm|#]]]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어]]: '''The Troubles''', '''Northern Ireland conflict'''[* 영미권에서는 The Troubles를, 그 외 국가에서는 주로 북아일랜드 분쟁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아일랜드어]]: '''Na Trioblóidí'''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ygQbMkOhB8)]}}}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32tMjqQkws)]}}} || || 역사저널 그날, 북아일랜드 분쟁의 기원 || 역사저널 그날, 브라이튼 호텔 테러 || [[아일랜드]]가 독립했지만 [[북아일랜드]]가 [[영국]] 땅으로 남자 북아일랜드 내 가톨릭-아일랜드 민족주의 진영과 개신교-친영국 진영이 일으킨 분쟁. == 설명 == [youtube(61JisaFGHFY)] [youtube(fKneNsy8aF8)] 기본적인 대립 구도는 이주 영국인 VS 토착 아일랜드인의 구도로 [[개신교]] 신자들을 중심으로 한 이주민은 영국 잔류를 희망하고 영국 국기를 건 반면 반대로 아일랜드인은 독립국 아일랜드와의 통일을 바라고 아일랜드 국기를 걸었다. 영국은 '개신교도 VS 가톨릭교도의 종교 분쟁'이라고 주장하고 있고 아일랜드인들은 '식민 VS 반식민의 이념 분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영국 본토[* 잉글랜드, 웨일스, 스코틀랜드]-아일랜드의 민족 구분은 혈통이 아니라 출신 지역별로 구분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20세기까지만 해도 잉글랜드 출신 부모를 가진 아이가 아일랜드에서 태어나면 이 아이는 Irish로 분류했고 21세기에도 어느 정도는 마찬가지다. 아일랜드 독립 운동의 거두였던 찰스 스튜어트 파넬(Charles Stewart Parnell) 같은 경우 Irish로 분류되고 본인도 그렇게 생각했지만 족보나 가문을 따라가 보면 잉글랜드계(Anglo-Irish)였으며 본인도 개신교 신자였다.[* 이런 구분이 못마땅했던 [[조지 버나드 쇼]]는 "아일랜드에서 태어났다고 Irish라니! 그럼 공기 중에서 태어나면 Airish겠군!"이라고 비꼰 적도 있다. 참고로 조지 버나드 쇼는 영국계 아일랜드인으로 두 국가의 국적을 모두 가지고 있었다.] 때문에 오늘날 북아일랜드의 갈등은 Irish vs English, Irish vs Scottish의 민족 갈등보다는 신교 vs 구교, 왕당파 vs 공화파, 연합주의 vs 아일랜드 민족주의 사이의 다양한 종교, 이념, 사상 갈등으로 봐야 할 것이다. 수도인 벨파스트는 개신교 지역과 가톨릭 지역이 벽으로 확연히 나뉘어 있는 [[분단 도시|분단된 듯한 도시]]로 거리 곳곳에 지지 정파를 드러내는 벽화가 그려져 있어 영국의 다른 지역과 다른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중세]]부터 아일랜드의 농민들은 영국의 지주로부터 큰 수탈을 당해 왔고 산업 사회가 되면서 영국의 산업 자본 밑에서 근근이 살아가는 노동자가 되었다. 영국은 북아일랜드를 버리지 못하는 근본적인 이유로 [[영국군]]이 물러날 경우 이주 영국인과 개신교도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그렇다고 본토로의 이주를 강권하자니 죽어도 이주는 안 하겠다고 하고[* 사실 영국 본토 이주 지원도 엄청난 자금이 소요된다.] 막대한 지원비만 타내고 쓸 만한 산업 기반이나 노동력도 없는 북아일랜드는 엄청난 짐이라는 게 영국의 설명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이들의 독립으로 자극을 받은 스코틀랜드까지 떨어져 나가면 '연합 왕국'이라는 체제 자체가 무너질 것이라는 우려 때문인 것도 있다. 이 지역의 무장 단체로는 [[IRA]]가 유명하고 영국 충성파가 만든 UDA 등 반 IRA 폭력 단체도 극성을 부렸다. 일단 IRA는 2005년 무장 해제를 선언해 극소수 원칙주의자를 제외한 IRA의 무장은 공식적으로 해체된 상태다. 그래도 산발적으로 [[테러]]가 일어나기도 한다. 일단 북아일랜드는 다른 영국의 지역에 비해 광범위한 자치를 보장받고 있는 편이기는 하다. 좌우 이념 갈등도 있어서 대개 영국 충성파는 우익이고 반대로 독립파는 좌익이다. 1920~60년대 사이 IRA는 노골적인 [[마르크스-레닌주의]] 노선을 주장했고 IRA가 이것에 집착해 실제로 [[가톨릭]] 신자인 주민들을 보호하지 못하는 것에 반발해서 60년대 후반에 분리해 나간 다수파 PIRA도 [[반민족주의]]적 [[극좌]] 성향을 배격하긴 했지만 최종적인 슬로건은 여전히 '''통일된(united), 민주적인(democratic), 사회주의(socialist) [[아일랜드]] 공화국(Irish Republic) 성립'''을 유지하고 조직에도 단순한 반영 민족주의를 넘어 이런 성향이 있다. [[신페인]]도 [[사회민주주의]]적 정책을 많이 미는 등 아일랜드 민족주의 운동은 예나 지금이나 좌익 성향이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북아일랜드, version=468, paragraph=4)] == [[피의 일요일 사건(북아일랜드)|피의 일요일 사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피의 일요일 사건(북아일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dward_Daly_Bloody_Sunday.jpg]] [[파일:external/www.lrb.co.uk/sayl01_2413_01.gif|width=500]] {{{+1 Domhnach na Fola}}}([[아일랜드어]]) 혹은 {{{+1 Bogside Massacre}}} [[1972년]] [[1월 30일]] [[북아일랜드]]의 [[런던데리]](혹은 데리)[* 원래 '''데리'''라는 [[게일어]]에서 비롯된 현지 지명이다. 그런데 [[북아일랜드]]를 [[영국]]이 지배하면서 아일랜드 지명 앞에 [[런던]]을 붙인 것. 현지인 중 [[아일랜드인]]으로서의 자부심이 강한 사람들(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은 런던데리라고 부르지 않고 데리라고만 부른다. 요즘은 잉글랜드를 위시한 영국의 타 지역에서도 이곳을 Derry / Londonderry라고 병기하여 "데리 / 런던데리"라고 아예 한 덩어리로 읽고 쓰는 경우가 많다.]에서 [[영국군]]이 비무장 시위대와 민간인들에게 발포하여 14명이 사망했다. [[파일:35fd34b025bd907dc38f51e48a062771.jpg]][* [[https://www.ilbe.com/view/8568935735|이미지 출처]]] [[파일:external/i.dailymail.co.uk/article-1028884-01B8218D00000578-642_468x344_popup.jpg|width=450]] 사건 당시 북아일랜드에 파병된 영국 육군 공수부대원.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피의 일요일 사건, version=250, paragraph=3)] == [[아일랜드 단식투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일랜드 단식투쟁)] == [[벨파스트 협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벨파스트 협정)] == 외부 링크 == * [[https://cain.ulster.ac.uk/faq/faq2.htm|북아일랜드 분쟁 FAQ]] * [[https://www.bbc.com/news/av/uk-northern-ireland-49299800|북아일랜드 분쟁: 무엇이 분쟁을 일으켰는가?]] * [[https://canvas-story.bbcrewind.co.uk/troubles/|BBC 북아일랜드 분쟁 페이지]] == 기타 == * 아일랜드의 록밴드 [[U2]]가 부른 [[https://youtu.be/9dI6-k0HuBI|동명의 곡]]이 있다. * 영국 정부의 [[https://www.bbc.com/news/10322295|사과]]와 달리 대학에서 전공하지 않는 한 학교에서 북아일랜드 분쟁에 대해 교육받는 것은 [[https://youtu.be/-2JWxnohSJo?t=355|어렵다고 한다]]. 그나마 공영방송인 BBC 홈페이지가 제대로 보도하고 있다. * [[엘리자베스 2세]]가 주문한 마지막 [[로버 P5B]] 차량이 이 사건의 여파로 1년 가량 늦게 인도된 바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아일랜드의 대외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