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사회기반시설)] ||<-2> {{{-2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평안남도|{{{#white 평안남도}}}]]의 [[발전소|{{{#white 발전소}}}]]'''}}}[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북한|[[파일:북한 국장_White.svg|height=60]]]]||'''{{{+1 북창화력발전소[br]北倉火力發電所}}}[br]{{{-2 Pukchang Power Station}}}'''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북창화력발전기업소.png|width=100%]]}}} || || '''설립''' ||[[1971년]] || || '''발전''' ||{{{-2 발전기}}} 16대[* 100MW급 복수식 발전기 '16대'][br]{{{-2 설비용량}}} 1,600MW[br]{{{-2 사용연료}}} [[무연탄]] || ||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12px" [include(틀:지도, 장소=39.58614552003558%2c126.30469711836066, 너비=100%, 높이=250)]}}} ---- {{{#!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40001; color: white" '''[[북한|[[파일:북한 국장.svg|width=20]]]] 북창화력발전련합기업소'''}}} {{{-2 ([[평안남도]] [[북창군]] 북창읍)}}}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의 [[화력발전소]]. '북창화력발전련합기업소'라는 일종의 발전 회사에 해당되는 기업소에 의해 운영된다. 이름을 그대로 해석하면 알 수 있다시피 발전소 자체가 '기업소'가 아니고 기업소는 그저 운영 회사일 뿐이다. [[평안남도]] [[북창군]] 북창읍에 있다. == 특징 == [[북한]] 최대 규모의 [[화력발전소]]로서, 설비용량은 1,600MW급이다. [[1960년]] 12월에 [[소련]]의 지원을 받아서 세워졌는데, 1961년 3월부터 착공되어 1971년 1단계공사 60만㎾ 설비가 완공되고, 1976년 2단계공사 60만㎾, 1984년 11월 3단계공사 40만㎾의 설비가 완공되었다. 열악한 북한의 전력 사정상 이 정도의 발전소라도 감지덕지인데, 문제는 이 발전소도 서서히 노후화가 되어 가고 있다는 것이다. 1990년대 이후 사회주의권이 붕괴하고 북한 경제도 덩달아 휘청거리는 바람에 설비 유지관리가 힘겨운 게 문제. [[https://www.voakorea.com/a/2535794.html|기사{{{-2 (미국의소리)}}}]] [[2018년]]에 발전 설비를 증설했으나 구체적인 설비용량을 공개하지 않았다. [[http://www.sp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660|기사{{{-2 (서울평양뉴스)}}}]] 2019년 급기야 노후화로 인해 가동이 정지되었다. [[https://www.khan.co.kr/politics/north-korea/article/201907291959001|기사{{{-2 (경향신문)}}}]] 사용 연료인 [[무연탄]]은 평남 북부 탄전지대인 북창 ·안주일대에서 생산되며 북창군에도 장안 ·인포 등의 대소 30여 개 탄광이 있어 연료공급이 용이하다. 어쨌든 최대 규모인지라 [[평양시]]에서 [[평양화력발전련합기업소|평양화력발전소]]나 [[동평양화력발전소]]에서 전력이 부족할 때 북창화력발전소의 도움을 톡톡히 받고 있다. [[분류:북한의 건축물]][[분류:평안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