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북평선}}}''' [br] 北坪線 | Bukpyeong Line || ||<-2> ||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br],,[[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 ||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 || '''노선번호''' || 31302 || || '''노선명''' || 영동선 북평선(嶺東線 北坪線) || || '''종류''' || 지선철도, 일반철도 || || '''영업거리''' || 6.4㎞ || || '''궤간''' || 1435㎜ || || '''역수''' || 2 || || '''기점''' || [[동해역]] || || '''종점''' || [[삼화역]] || || '''급전방식''' || 비전철 || || '''신호방식''' || [[열차자동정지장치|ATS]][br][[완목 신호기]][br]비자동폐색[* 삼화역 장내 일부만 해당한다.] || || '''선로 수''' || [[단선|1]] || || '''개업일''' || [[1966년]] [[12월 30일]] || || '''운영노선''' || [[화물철도|화물열차]] || [목차] [clearfix] == 개요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내에서 [[동해역]]과 [[삼화역]]을 연결하는 [[영동선]]의 지선 철도. 영동선과 쌍용 시멘트공장과의 연계를 위해 부설되었다. 이름과는 다르게 [[북평동]]을 전혀 경유하지 않고 동해시 송정동에서 출발해 북삼동을 지나 삼화동까지 간다. 이는 개업당시에는 현재의 [[동해시]] 북삼동과 삼화동이 북평동과 함께 전부 [[삼척군]] 북평읍이었기 때문. 화물영업만을 위한 노선이며 주로 양회화물을 취급한다. [[쌍용양회]] 소속의 큰 규모의 공장이 삼화역에 위치해 있으며 전용선로까지 나있다. 과거엔 [[쌍용양회]] 직원들의 통근을 위한 [[비둘기호]][* [[니가타 동차]]로 운행.]가 운행하였으나 [[1974년]] [[11월 1일]] 이후 쌍용양회가 통근[[버스]]를 도입하면서 중단되었다. 동해시 시내를 그대로 밟고 지나가는 철도인지라 동해시에서 지하화 또는 폐선을 요구하고 있다. 이 노선을 사용하는 [[쌍용C&E]] 입장은 간단하게 '''[[NO GOD PLEASE NO|NOOOO!! GOD!!!!!]]'''. 6.4km밖에 안 되는데 [[건널목]]이 8개소가 있으며 이 중 2개가 삼화동에서 동해항을 잇는 구 [[42번 국도]]를 그대로 밟고 지나간다. 이 노선은 화물열차 운행이 매우 많아 건널목 차단 시간이 매우 길어 도로 통행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하고 있다. == 역 목록 == [include(틀:철도 관련 정보/일러두기)] || {{{#fff ㎞}}} ||<-2> {{{#fff 역명}}} || {{{#fff 운행계통}}} || {{{#fff 등급}}} || {{{#fff 분기선}}} || {{{#fff 소재지}}} || || 0.0|| [[동해역|동 해]] || 東 海 ||KMBH || ⊙ ||[[영동선]][br][[삼척선]][br][[묵호항선]] ||<|2>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 || 6.4|| [[삼화역|삼 화]] || 三 和 ||H || ○ || || [[분류:북평선]][[분류:1966년 개업한 철도 노선]][[분류:동해시의 철도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