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신분증]][[분류:북한]] [include(틀:신분증)] [include(틀:북한 관련 문서)] ||<-2> {{{#fff {{{+2 '''북한 공민증'''[br]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공민증}}}}}}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공민증앞-복사.png|width=100%]][br][[파일:공민증뒤-복사.jpg|width=100%]]}}} || || '''{{{#fff 발급 국가}}}''' ||[[파일:북한 국기.svg|width=28]] [[북한]] || || '''{{{#fff 발급 기관}}}''' ||[[파일:북한 국기.svg|width=28]] [[북한]] [[사회안전성]] || || '''{{{#fff 유효 국가}}}''' ||[[파일:북한 국기.svg|width=28]] [[북한]] (국내 신분증) || ||<-2> '''{{{#fff 사양 및 제원}}}''' || ||<-2>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사진 || 성별 || 생년월일 || 주소 || || {{{-2 〇[br]규격 미상}}} || {{{-2 〇[br]남자/녀자}}} || {{{-2 〇[br]YYYY. MM. DD}}} || {{{-2 〇[br]평양시 XX구역 XX동 00반}}} || || 개인번호 유출안전성 || 문서 번호 || 발행일 || 만료일 || || {{{-2 △[br]미상[br]〇〇(〇) 1XXXXX}}} || {{{-2 ×}}} || {{{-2 〇[br]YYYY. MM. DD}}} || {{{-2 ×}}} || || 생체정보보호 || 서명 || 발행국 코드 || 소지자 국적 || || {{{-2 〇[br]지문 미출력}}} || {{{-2 ×}}} || {{{-2 ×[br]국명만 기재 (문화어)}}} || {{{-2 〇[br](민족별) 조선사람}}} || || {{{-3 ICAO Doc 9303-5[br]기계가독부 (MRZ)}}} || {{{-2 ICAO Doc 9303[br][[파일:전자여권 검은색 로고.svg|height=17.23&theme=light]][[파일:EPassport_logoWhite.svg|height=17.23&theme=dark]]}}} || {{{-2 ISO/IEC 14443[br][[파일:컨택리스 표시.svg|height=17.23&theme=light]][[파일:EMV 비접촉 결제 로고 (흰색).svg|height=17.23&theme=dark]]}}} || {{{-2 ISO/IEC 7816-2[br][[파일:SmartCardPinout.svg|height=17.23]]}}} || || {{{-2 ×}}} || {{{-2 ×}}} || {{{-2 △[br]미상}}} || {{{-2 ×}}} || || 비고 ||<-3> ||}}}}}}}}}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인|북한의 주민]]을 대상으로 발급되는 [[북한]]의 [[신분증]]이다. == 특징 == * [[ICAO#s-7|ICAO Doc 9303]] 규격을 만족하지 못하므로 여행 문서로는 쓰기가 힘들며 여행 문서로서의 사용 자체가 상정되어있지 않다. 자국민에게도 국경 통과시마다 자국 출입국 비자를 요구하고 출국비자가 없는 외국인의 출국을 거부하는 나라니 이정도면 양반이다. * 국내여행에도 당연히 [[려행증]]이라는 다른 여행 문서가 존재하며 시·군계를 벗어나는데 필요하다. * 평양 시민을 대상으로 평양시민증 또한 발부되는데 보통 공민증 양식에 준하며 이들만이 그나마 자유로운 국내여행을 누릴 수 있다. * 2016년초부터 플라스틱 소재로 교체된것으로 추정되며, IC칩이 들어있다는 주장도 있다. [[북한 여권]]이 대북제재를 넘어 [[오스트리아]] 국립인쇄소(Österreichische Staatsdruckerei)를 통해 약 20만장 인쇄된 시기가 2015년으로 얼추 비슷하다. 이때를 기점으로 지문 채집 소요 시간이 줄었다는 말이 있는 것을 봐서는 최소한 진위검증 시스템은 구축되어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표면에 접촉부는 없으므로 [[ISO/IEC 14443]]만 일부 혹은 전부 채용된 것으로 보인다. * 사진, 이름, 성별, 생일, 민족, 주소, 혼인사항, 번호, 발급일, 혈액형으로 구성되어있다. * 날짜 배치나 성별, 민족 구분 등 전반적 구성이 [[중국 신분증]]과 닮았다. 지문을 싣지는 않기에 이 부분에선 [[주민등록증]]보단 낫다. * 북한에서 '민족'이란 단어는 오랜 기간동안 국적을 가리키는데 사용해왔기에 민족별이라고 적어도 이 항목이 민족을 가리키는지 국적을 가리키는지 바로 알기가 어렵다. 공산권의 국가·민족관과 어휘사용 차이에서 이 문제를 유추해볼 수 있는데, 공산권에서는 Nationality에 해당하는 단어를 국가의 인구보다는 [[https://www.jstor.org/stable/41802081|민족을 나타내는데]] 주로 사용해왔기 때문에, 북한에서도 그냥 민족으로 번역하고 민족이라는 단어에 소련에서 유래한 맥락도 같이 수용한 것으로 짐작해볼 수 있다. 세로배치로 된 구형 [[북한 여권]]을 봐도 민족별 항목 아래에 Nationality가 기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발급 기관 표기는 빠져있는데 마침 현재의 [[사회안전성]]인 인민보안부가 인민보안성으로 격하된 시점이 2016년 7월이다. * 발급시 십자 회전 [[지문]]을 날인한다. 카드에는 지문을 싣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