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아시아야구연맹 회원국)] ||<#FF0000><-2> '''{{{#FFFFFF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야구 국가대표팀 }}}''' || ||<#000000><-2> {{{#FFFFFF North Korea national baseball team}}} || ||<:> '''운영주체''' ||<:>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야구 소프트볼 협회 || ||<:> '''연맹''' ||<:> [[아시아 야구 연맹]] || ||<:> '''감독''' ||<:> - || ||<:> '''WBSC 랭킹''' ||<:> - || ||<:> '''올림픽''' ||<:> - || ||<:> '''WBC''' ||<:> - || ||<:> '''프리미어 12''' ||<:> - || ||<:> '''아시안게임'''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의 [[야구]]는 [[일제강점기]] 때만 해도 평양철도국 야구팀 등 야구팀들이 성행했고 광복이후 [[1946년]] 열린 종합대회인 북조선 종합체육대회에서 야구종목이 치러지기도 했었다. 그러나 김일성의 공산정권이 들어서면서 [[친미]] [[스포츠]]라는 이유로 야구를 금지했다.[* 그러면서 미국에서 시작된 농구, 배구 등은 성행하고 있다는 게 아이러니. 이 점은 구 소련이나 중국 등 다른 공산권 국가도 마찬가지였던지라 공산권 강대국들의 영향을 많이 받은 이유도 있다.] 그러나 쿠바나 일본 [[조총련]]계에서 야구를 권장해주었고 1970년대에는 쿠바 야구팀이 방문해 지역을 순회하며 몇 차례 친선 경기를 가지기도 했다. 1970년대부터 몇몇 야구팀들이 존재하기는 했지만 북한 야구 협회는 1985년에 와서야 창설되었고 1990년에 아시아 야구연맹에 가입했다. 야구가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결정되면서 육성을 하기 시작했으며 1990년대 들어서는 직장 및 학교팀 등 야구팀들이 전국 32개팀까지 늘어났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후 [[고난의 행군]] 시기를 겪으면서 야구에 대한 투자가 약해졌고 지금도 여전히 북한에서 야구는 생소한 스포츠 중에 하나로 남게 되었다. 국제대회는 1991년 일본 [[니가타시|니가타]]에서 5개국 친선대회로 열린 제1회 환동해국제친선야구대회[* 일본에서는 환일본해국제친선야구대회로 불렀다.]가 사실상 첫 정식국제경기였고 이후 1993년 호주에서 열린 제17회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한 것이 북한 야구 대표팀의 정식 국제경기의 전부였다.[* 물론 이전에 쿠바나 중국, 일본의 클럽팀끼리 교류 경기 및 연습경기를 가진 적은 간간히 있었다. 올림픽 예선이었던 1991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대회에도 출전 하려고 했으나 기권했다.] 이후 국제무대에서 아예 사라졌다. 1991년 환동해국제야구대회에서 첫 남북 대결이 이뤄져 그때 출전한 [[한양대학교]] 야구팀에게 1-16 7회 [[콜드게임|콜드패]]를 했다. 이 대회에서 1승 3패를 기록했고 역시 야구를 시작한지 얼마 안되어 거의 일반인 수준이었던 [[소련]] 대표팀에게 22-1 콜드게임 승리가 유일한 승리였다. 1993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필리핀 대표팀에게 6-2로 역시 유일한 승리를 거둬 1승 5패를 기록했고 이때 대한민국 대표팀에게는 [[망했어요|0-11 콜드패를 했다]]. 이 당시 북한 야구 대표팀의 주축은 일본에서 살고 있는 조총련계 야구 선수들을 합류 시켰고 이들이 주전급으로 활약했다. == 여담 == * 북한에서는 '[[스트라이크(야구)|스트라이크]]', '[[아웃(야구)|아웃]]' 등 야구 국제 정식 용어 대신 '정확한 공', '실격' 등 북한식 야구용어를 쓴다. == 역대 성적 == ===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 * [[1993년]] 17회 대회(호주) : 6위 [[분류:아시아의 야구 국가대표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