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북한 보병장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24FA2 10%, #FFF 10%, #FFF 12%, #ED1C27 12%, #ED1C27 88%, #FFF 88%, #FFF 90%, #024FA2 90%, #024FA2)" '''{{{+3 북한판 NLAW}}}'''[br][[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북한|{{{#fff 북한}}}]]의 제식 불명 대전차 미사일}}}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3년 북한판 NLAW.png|width=100%]]}}}|| ||<-2> 2023년 2월 8일 재차 [[열병식/북한|열병식]]에서 공개되는 모습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북한판 NLAW의 모습.png|width=100%]]}}}||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북한NLAW2.png|width=100%]]}}}|| || 최초 공개 될때의 모습 || 북한이 [[2022년 4월 25일 북한 열병식]]에서 처음으로 선보인 [[NLAW]] 유사 대전차 미사일. 이후 훈련 모습 등의 공개는 전혀 없었고, [[2023년 2월 8일 북한 열병식]]에서 재차 등장했다.[* 2022년 열병식에는 방송 화면으로만 등장했고, 2023년에는 고화질 사진으로 찍혔다.] == 관련 정황 == 2018년 김정은이 이른바 '첨단전술무기' 시험발사를 참관하였다. 이에 대해 군 당국자는 재블린 또는 스파이크와 유사한 휴대용 혹은 차량탑재 미사일이라고 분석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138778|#]] 정확한 발사 사진을 공개하지 않고 김정은 사진만 공개해 그 실체를 알기는 어려우나, 이 미사일 아니면 [[북한판 스파이크]]의 시험발사 일 수 있다. == 특징 == * [[조선인민군 육군]] 3군단 열병행진에서 관찰되었다. * [[https://twitter.com/Ninja998998/status/1519256173442211840/photo/1|한국국방안보포럼의 분석]] 참조. * 이스라엘의 스파이크-SR을 닮았다는 분석도 제기되었다. [[https://www.bizhankook.com/bk/article/23643|#]] * 정확한 발사 시험 장면이 공개되지 않았기에 베일에 가려져있다. [[목업]]일 수도 있고, 대전차 미사일이 아닌 [[대전차 로켓]]에 가까운 무유도 무기일 수도 있다. 탑어택 기능이 있는지 등등에 대해서도 현재로써는 알 도리가 없다. == 여담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크게 이슈가 된 대전차 미사일이 [[FGM-148 재블린]]였던지라 이 무기를 보고 '북한판 재블린'이라 잘못 부르기도 했다. 국내 뿐만 아니라 외국 트위터 계정에서도 보이는 표기법이었다. 하지만 링크의 분석대로 재블린보다는 NLAW에 가까운 형태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include(틀:북한의 미사일 전력)] [각주] [[분류:조선인민군/장비]][[분류:대전차미사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