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대외관계)] [include(틀:벨라루스의 대외관계)] || [[파일:북한 국기.svg|width=100%]] || [[파일:벨라루스 국기.svg|width=100%]] || || [[북한|{{{#ffffff '''북한'''}}}]] || [[벨라루스|{{{#fff '''벨라루스'''}}}]] || [목차] == 개요 == [[북한]]과 [[벨라루스]]의 관계를 설명하는 문서이다. 양국은 [[친러]], [[반서방]] 국가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실질적인 교류는 그리 많지 않으며 데면데면한 사이이다.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1991년 [[소련 해체]]로 벨라루스가 독립한 이후인 1992년 북한과 벨라루스는 수교하였다. === 21세기 === 2016년 9월 21일, 북한이 벨라루스에 대사관을 개설하였다고 주장했으나, 벨라루스는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했다.[[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16092262678|#]] 2016년 10월 14일, 벨라루스 정부는 대북제재 위반 계좌를 동결하였다.[[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16101432288|#]] 2018년 4월 벨라루스가 유엔에 제출한 벨라루스 대북제재 이행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12월 북한 [[정찰총국]] 요원을 출국 조치시켰다고 밝혔다.[[https://www.yna.co.kr/view/AKR20180803030200014|#]] 2019년 4월 11일, 북한이 벨라루스에 대사를 파견하였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0759851?sid=104|#]] 2020년 11월 3일,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은 "양국 관계는 너무 낮은 수준이다. 우리는 이 방향에서 더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며 주정봉 벨라루스 주재 북한 대사에게 협력을 강화하고 싶다고 밝혔다.[[https://www.yna.co.kr/view/AKR20201104148000080|#]] == 경제 교류 == 경제교류는 많지 않다. 과거에는 그래도 경제 교류가 조금은 존재하는 편이었으나, 최근 경제교류가 급감하여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520&CONTENTS_NO=1&bbsGbn=247&bbsSn=247&pNttSn=187470|#]] 2015년 안드레이 코뱌코프 벨라루스 총리는 벨라루스를 방문 중인 리수용 북한 외무상과 회담한 뒤, 농업 기계와 자동차 수출, 이 장비들의 북한 내 조립, 경공업 제품 수출, 농업 분야 협력 등을 북한과의 최우선 협력 사업으로 지정했다.[[https://news.kbs.co.kr/news/view.do?ncd=3034993|#]] == 관련 문서 == * [[북한/외교]] * [[벨라루스/외교]]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동유럽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벨라루스/외교, version=103, paragraph=2.2)] [[분류:북한의 대국관계]][[분류:벨라루스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