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000000 '''조선-중국 국경'''}}}}}}'''[br]'''{{{#000000 '''中国—朝鲜 边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order_stone_china-corea.jpg|width=100%]]}}} || ||<-2> {{{-1 [[중국]] [[지린성]] [[도문시]]에 위치한 북중 국경 표지판}}} || || '''{{{#000000 접경국}}}''' || [include(틀:국기, 국명=북한)][br][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영유권 주장):[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br][include(틀:국기, 국명=대만, 출력= )][[대만]] || || '''{{{#000000 길이}}}''' || 1,315km || || '''{{{#000000 국경설정일}}}''' || [[1962년]] [[10월 12일]][* [[조중변계조약]]] || || '''{{{#000000 관할기관}}}''' || [[중화인민공화국 해관총서]] [br] [[중국 국가이민관리국]] [br]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br]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보위성]] [br] [[조선인민군 준군사조직#s-2.5|조선사회안전군]]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과 [[중국]] 사이의 [[국경]]. [[북한-러시아 국경]]과 함께 한반도 북단의 두 국경 중 하나다. 북한-중국 또는 중국-북한 국경, 약칭 '''북중국경'''(北中國境)이라고 정의한다. 통일되면 [[한국]]-중국 국경('''한중국경''' 韓中國境)이 된다.[* 사실 지금도 북한은 명목상 대한민국의 영토이므로 지금도 한중국경이라고 말할 수 있다.] 과거, 즉 [[광복]] 직후부터 1980년대까지는 관습적으로 '''한만국경'''(韓滿國境, [[한국]]-[[만주]] 국경)이라고도 불렀다. 북한-중국 국경의 [[길이]]는 자료마다 다르지만 대략 1,315km 정도이며, [[백두산]] 부근과 기타 일부 지역에 있는 육상 국경 45km를 제외하면 대부분 [[압록강]]과 [[두만강]]에 의한 하천 국경(1,270km)이다. == 주요 특징 == [[파일:두만강.jpg|width=500]] [[중국]]과 [[북한]] 사이의 영토의 경계는 압록강과 두만강으로 구분되며, [[백두대간]]의 산지들로 분리되어 있다. 국경선이 긴 만큼, 만나는 지방도 다르다. [[평안북도]]와 [[자강도]]는 [[랴오닝성]]을, [[량강도]]와 [[함경북도]]는 [[지린성]]을 만난다. 국경선 대부분이 육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해상 국경은 따로 없다. [[압록강철교]] 및 [[도문대교]]로 이 국경을 넘어다닌다. [[중국]]과 [[북한]]이 상호 적성국가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국경을 따라 [[조선인민군|북한군]] 병력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는 [[탈북]]을 차단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이 지역은 [[조선인민군|북한군]]과 [[중화인민공화국 인민경찰|중국 경찰]]이 [[탈북자]]를 체포하기 위해 돌아다니기 때문에 탈북민이라면 상당히 위험하다. 다만 그와 별개로 대한민국 관광객들이 두만강이나 압록강 유람선을 타는 것에 대해서는 별다른 제한은 없고, 도문대교에서 대한민국 관광객들이 북한 땅을 밟기도 한다. 물론 출입허가증이 없으면 검문소를 넘어갈수는 없다. 간혹가다 객기를 부려서 북한땅을 밞는 경우도 있기는 하지만 이 경우에는 당연히 추방된다. == 관련 문서 == * [[국경]] * [[북중관계]] * [[비단섬]] * [[황금평]] * [[러시아-북한 국경]]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러시아-북한 국경, version=8)] [[분류:국경]][[분류:정치지리]][[분류:평안북도]][[분류:자강도]][[분류:량강도]][[분류:함경북도]][[분류:랴오닝성]][[분류:지린성]][[분류:북중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