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분류:위치]] ||<-2> '''{{{#white 북}}}''' || || [[유니코드]] || BD81 || || [[완성형]] 수록 여부 || O || || 구성 || ㅂ+ㅜ+ㄱ || || [[두벌식]] [[QWERTY]] || qnr || || [[세벌식]] 최종 [[QWERTY]] || ;bx || [목차] [clearfix] == [[北]], 북쪽 방향을 일컫는 단어 == [[北]](North)은 방위를 나타내는 4가지 중 하나이다. [[지도]]에서 가장 기본적인 방향이며, 다른 설명이 없는 한 [[지도]]의 위쪽은 북쪽이다. 순우리말이 무엇이었는지 여러 가지 의견이 있으나, 한국어 대사전에서는 '노쪽'과 '노녘'이 북쪽의 순우리말로 등재되어 있다. [[한국어족]]에 속하던 [[가야]]어에서는 북쪽을 노피라고 했으며 백제어로 높다(高)를 의미하는 難(nan), 초기 중세 한국어의 那奔(나분; 높은)과 현대 한국어의 '높다'에 대응된다. '되'를 지지하는 쪽은 뱃사람들이 북풍을 '덴바람(된바람)'이라고 부른다고 하였다. 하지만 고대, 중세 기준으로 뱃사람들이 항해할 때 남쪽을 앞, 북쪽을 뒤쪽으로 인식하였으며[* 비단 뱃사람뿐만 아니라 전·근대적인 동양의 지리 인식에서 남북은 앞뒤, 동서는 좌우와 혼동되기도 했다. 조선 시대에 왕성을 기준으로 행정구역을 좌도와 우도로 나눈 것을 참고.] 남풍을 마주 오는 쪽(앞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이라 하여 '마파람(맞바람)'이라 불렀음을 생각할 때, '되파람'이라는 단어가 '뒷바람'으로 연관지을 수도 있다. 또, '되놈'이라는 단어는 원래 [[중국인]]이 아니라 '도이', [[여진족]]을 칭하는 단어였다. 참고로 [[여진족]]은 조선 기준으로 북쪽에 있는 민족이다. '하느'를 지지하는 쪽은 국립국어원도 [[동북 방언]]의 '하느짝'이 북쪽을 의미한다 하였다.[* 하느 쪽이 서쪽의 순우리말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과는 상반된다. [[西|서쪽]] 문서 참고.]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34094|국립국어원 링크]] '노'를 지지하는 쪽은 높바람에서 알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 상세 === [[파일:external/i.istockimg.com/stock-photo-674922-compass-11.jpg|width=200]] [[지구]]가 회전하는 중심축의 양끝단 중 하나. [[유라시아]] 대륙이 속해 있는 [[북반구]] 쪽의 정점을 [[자전축|진북]]이라고 하며, 근처에 [[북극성]]이 있다. [[나침반]]은 [[지구]]의 [[자기장]]을 기준으로 북쪽을 가리키는데, [[자전축|진북]]과는 약간 차이가 난다. === 풍수지리상의 북쪽 === 잠잘 때 머리를 북쪽으로 두면 해롭다는 속설[* [[일본]]에도 이 속설이 있다. [[https://ja.m.wikipedia.org/wiki/北枕|#]]]이 있으나 딱히 근거는 없다.[* 해가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질 때까지 항상 그림자가 향하는 방향이라 죽은 영혼이 북쪽으로 간다는 미신이 있다.] 옛날엔 북쪽을 뒤쪽이라고도 했는데, 햇빛을 잘 받는 남쪽으로 보고 [[집]]을 지으면 자연히 [[집]] 뒤쪽은 북향이 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한자에서도 [[北]]자는 두 사람이 등을 맞댄 모습을 본땄다. [[北]]을 '배'라고 읽을 때도 있는데, 이때는 뜻이 [[背]](등 배)와 서로 통한다. [[북반구]]에서 해는 동쪽에서 떠서 남쪽에서 남중하고 서쪽에서 지며, 북쪽에서 가장 깊이 땅속에 가라앉고 다시 동쪽에서 뜬다. 따라서 북쪽은 가장 햇빛을 볼 수 없는 방위라 태음(太陰)을 상징하는 방향이 되었다. [[현무]]는 북을 상징하며, 북방흑제신장은 죽음, 힘 등을 상징한다. 북쪽의 음울한 상징이 고대 [[한반도]]와 [[중국]]의 상황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는 설도 있다. [[한반도]]와 [[중국]] 중부, 북부는 [[북반구]] [[온대기후]]에 속해 있어 북쪽으로 더 올라가면 당시 [[기병]]을 상시 편제할 수 있었던 [[유목|유목 민족]]이 판치는 [[몽골인|몽골 고원(중국)]]과 [[만주족|만주(한반도)]]가 있었고, 거기서 더 북상하면 [[냉대기후]]인 '''[[시베리아]]'''다. 당연히 척박하고 살기 힘든 곳[* 보통 [[유목]]은 '''[[농업|농사]]를 지을 수 없는 곳'''에서 한다.] 또한 [[한반도]]나 [[중국]]이나 적의 침공 경로는 주로 북쪽이었고, 고생도 많이 했다.[* [[한반도]]야 반도이니 당연한 것이고, [[중국]]의 경우 서쪽에 위치한 [[익주]]의 환경을 보면 도무지 적이 침략할 상황이 안 되는 지형이다. 농서 지역(장안의 서쪽이자 고대 중국의 북서쪽)에 침공이 들어오긴 했으나, 그것도 [[돌궐]] 계열의 북방 민족이 침공한 것이다. 실제 북방 민족에 의해 세워진 [[원나라]]와 [[요나라]]가 있었다.] 조선 시대의 북방 지역 사민 정책은 [[여진족]]의 침공, 국경 소요 사태 등으로 고생하며 살아서 유명한 것이다. 기원전인 [[진시황]] 시절에도 [[만리장성]]을 축조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북쪽으로 돌아오지 못할 여정을 떠나야 했다. ===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즉 [[북한]]을 가리키는 단어 === >「예」 > * 남과 북은 대치 상황에 처해있다. > * 북은 남을 타격하겠다고 위협하고 있다. [[월북]], [[남북관계]] 등의 단어의 어근으로도 쓰인다. == 악기 [[북(악기)|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북(악기))] == [[책|Book]]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책)] [[책]]을 뜻하는 영어 단어. '예약하다' 라는 동사도 있다. == [[Battle for Dream Island]]의 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북(BFDI))] == [[남국 도미니온]]의 등장인물 == 본명은 오라키 시시오. 서스펜스 소설·군사 평가 작가이며, 소설의 소재를 취재하기 위해 여행하던 중 조난을 당했다. 무인도에서 사건 하나 하나를 다음 소설의 소재로 써먹으려고 하는 투철한 직업 정신을 지니고 있다. 애칭이 북인 이유는 [[책]]에 관련이 있어서이다. == [[프로게이머]] [[이제동]]의 별명 == [[2008년]] [[박지수(프로게이머)|박지수]]의 [[Arena MSL 2008|아레나 MSL]] 정ㅋ벅ㅋ 사건 이후 잠시 부진에 빠졌던 [[이제동]]에게 '이놈 저놈한테 다 털리고 다닌다'라는 의미에서 붙은 별명. [[동네북|이제동네'''북''']]이 스타판의 전통인 한 글자 별명 붙이기[* [[이윤열]] → 벼, [[홍진호]] → 콩, ~~[[마재윤]]~~ → 팥, [[김택용]] → 코, [[이영호]] → 꼼]에 따라 축약된 것이다. 이후 [[BATOO 스타리그 08~09|BATOO 스타리그 2008]], [[박카스 스타리그 2009]]에서 우승하면서 부진 자체는 금방 벗어났으나, 한 번 붙은 별명은 영원하다. == [[고등래퍼 2]] [[이로한]], [[오담률]]의 [[노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북(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