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포켓몬스터/기술/주요 기술, top2=삼색 엄니)] [include(틀:포켓몬 기술, 불꽃=, 물리=, 파일=7세대 불꽃엄니.png, 한칭=불꽃엄니, 일칭=ほのおのキバ, 영칭=Fire Fang, 위력=65, 명중=95, PP=15, 효과=불꽃을 두른 이빨로 문다. 10% 확률로 상대를 풀죽게 하거나 화상 상태로 만든다., 성질=접촉, 성질2=턱, 상태이상=화상, 상태이상2=풀죽음)] [[포켓몬스터]]의 [[포켓몬스터/기술|기술]]. 8세대 [[기술머신/8세대|기술머신]] 68번, 9세대 [[기술머신/9세대|기술머신]] 08번. 일반적으로 다른 엄니 계열과 마찬가지로 다타입 견제용으로 사용하며, 부가 효과가 [[삼색 펀치]]보다 좋지만, 일반적으로 위력과 명중이 더 높은 [[불꽃펀치]]를 많이 사용한다. 위력이 65밖에 되지 않지만, 물 타입을 제외한 다타입 견제를 위해 사용하는 원소계 고위력 물리기들이 다 그렇듯이 불꽃펀치가 사실상의 최대 위력의 물리기인데, 불꽃펀치마저 못 배우면 이거밖에 답이 없다. 정리하자면 삼색 엄니가 다 그렇듯 성능이 좋아서 쓰기보다는 불꽃 기술은 넣어야겠는데 더 쓸만한 불꽃 기술이 없을 때나 채용하는 물건이거나, 펀치류나 돌진기를 배울 수 없는 4족보행몬들이 불꽃펀치를 못 배워서 불꽃엄니를 사용한다. 예외적으로 6세대의 [[화석 포켓몬]]인 [[견고라스]] 계열은 기본 특성인 옹골찬턱 덕분에 마치 자속인 것마냥 이 기술을 잘 써먹을 수 있다. 물리형 불꽃 포켓몬들은 대부분 [[플레어드라이브]]를 배울 수 있으므로 당연히 이런 기술은 쳐다보지도 않지만, 한때 [[부스터(포켓몬스터)|부스터]]와 [[앤테이]]는 불꽃 포켓몬 주제에 이것보다 더 쓸만한 불꽃 기술이 없는 처참한 기술폭 때문에 이걸 사용하기도 했다. 하지만 자속 보정을 받아 봤자 [[이판사판태클]]은 커녕 [[은혜갚기(포켓몬스터)|은혜갚기]]보다도 위력과 명중률이 딸리는 비참한 공격이었다. 사실 부스터와 앤테이의 특공이 그렇게 처참한 것도 아닌지라, 차라리 [[오버히트(포켓몬스터)|오버히트]]나 [[불대문자(포켓몬스터)|불대문자]]를 쓰고 마는 경우도 있었다. 시간이 지나 앤테이는 플레어드라이브에 이어 [[성스러운불꽃]]을, 부스터도 위력은 더 낮아도 효과가 훨씬 쓸만한 [[니트로차지]]에 이어 플레어드라이브까지 배우게 되었기에 이젠 이들에게도 거의 버려졌다. 다만, 부스터의 경우에는 레전드 아르세우스에 한해 플레어드라이브가 없어졌기 때문에, 다시 불꽃엄니 및 화염방사를 사용해야 했다. 애니에서도 자주등장했는데, DP에서는 로미의 그랑블루와 지우의 글라이온이 사용했을땐[* 특히 글라이온이 쓸 때는 간판기에 가깝게 나온다.] 단순히 불꽃을 두른 이빨로 무는 연출로 나왔지만, XY에서 승태의 아공이와 견고라스가 사용했을땐 불로된 참격을 날리는 연출로 나왔다. 이유는 알 수 없지만, 특성 '트레이스'로 다른 포켓몬이 복제한 [[껍질몬]]의 전용 특성 '불가사의부적'을 무시할 수 있었다. 버그였거나 디버그 용도로 추정된다. 비정상적인 경우기에, 5세대부터는 볼 수 없는 광경이다. 4분 36초부터 잘 보자. [youtube(k6B4_xoJmPQ)] [[분류:포켓몬스터/불꽃타입 기술]] [[분류:포켓몬스터/물리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