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하이스코어)] [목차] == 설명 == [[스코어링]]과 관련된 용어로, 말 그대로 특정 구간에서 불릴 수 있는 한계까지 플레이어의 능력대로 [[점수]]를 불리는 행위를 뜻한다. 일본어로는 '''카세기(稼ぎ)'''라고 칭하는 모양이며, 불리기 플레이를 '''카세기플레이(稼ぎプレイ)'''라고 하는 모양이다. 서양에서는 딱히 정형화된 단어는 없으나 종종 'Milking'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당연히 불리기의 특성상 아주 조금이든 엄청나게든 플레이 타임이 늘어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어떤 게임들의 스코어링 영상의 경우, 플레이 타임이 큰 폭으로 길어지다 보니 지루해 질 수 밖에 없다. 어쨌든 불리기 테크닉이 있는 게임에선 최대한 얼마나 많이 불릴 수 있는냐의 여부가 바로 게임의 최종 [[스코어]]를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 당연히 지루해지다보니 보는 맛에 있어서는 점수 올린다고 쓸데없이 시간을 끌지 않고 진행하는 [[원코인 클리어]]영상이나 [[노미스 클리어]] 영상에 비하면 크게 뒤떨어진다. 그때문에 보통 [[스코어러]]가 아닌 일반 [[플레이어]]들은 '''그까짓 점수때문에 시간을 질질 끈다'''는 반응을 보이며, 이쪽에 별 관심이 없는 사람들은 '''그거 해서 밥이 나오냐'''식의 반응이 나오는게 일반적이긴 하지만, 몇몇 [[찌질이]]들의 경우엔 그저 그들이 보기에 답답하게 진행한다는 이유만으로 대놓고 [[욕설]]을 퍼붓기도 한다. 물론 스코어링에 관심이 있거나 일정 실력 이상이 되는 사람들은 감탄하고서 자신의 패턴에 참조 하거나 그냥 '''세상에 저 미친놈이 저걸 저렇게 불리고 앉아있네''' 하고 정줄 놓고 쳐다보게 된다. 예를 들어서 아래 언급된 유세미 영상에서 슈티 불리기 같은건 사람이 할짓이 아니다. [[벨트스크롤 액션 게임]]에선 [[파이널 파이트]]를 예로 들어보면 3면보스 [[에디]]에서 버그를 걸어서 에디를 고자로 만든 뒤 제한시간이 허락하는 이상 진득하게 불리며, 최종보스인 벨가전에서도 에디와 마찬가지로 고자로 만든뒤에 [[고의 미스]]를 최대한 활용하여 [[잔기]]가 허락하는 이상 한계까지 불리기에 주력한다. 물론 잔기0, 0초에서 벨거를 격파해주는건 기본, 이 경우에는 잔기=스코어라는 공식이 성립되므로 사실상 [[노미스 클리어]]는 가뿐히 할 수 있는 실력이 강제된다. 다만 어디까지나 스코어링의 과정이다보니 노미스 클리어에 비해 몇 배는 더한 실력과 근성, 그리고 극한에 다다른 패턴화를 요구하는 것에 주의, 이 때문에 어설프게 불리기를 시도하다가는 그대로 [[끔살]]크리를 맞이하게 된다. 슈팅 게임에서는 [[도돈파치 대부활]]에서 [[유세미]]의 1조 영상이 대표적인데, 불릴 수 있는 보스에서는 진득하게 불려먹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외에도 블레이징 스타, 스트라이커즈 1945와 같은 게임에서도 불리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참고로 [[런앤건]] 게임인 [[메탈슬러그 시리즈]]에서도 이런 불리기를 자주 볼 수 있으며, 메탈슬러그 내에서는 [[먹자]]라는 용어로 부른다. 특히 [[메탈슬러그 3]]의 1천만점 공략은 플레이 타임도 플레이 타임이지만 노미스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토나오는 난이도를 자랑한다. 일단 난이도도 난이도지만 시스템상 한번이라도 삐끗하여 [[뻘미스]]라도 터지면 그대로 망하는 신세가 되다 보니 '''보면 볼수록 현기증이 날 수 밖에 없다.''' [[영구 패턴]]이 나오는 게임에서는 불리기가 실력이 아닌 시간과 '''체력'''의 문제가 된다. 어디까지 버틸 수 있는가가 스코어에 반영된다. == 이하 보는 사람이 지겨울 정도로 진득하게 불려먹는 게임 목록 == [[고의미스]] 문서의 고의미스 계열 게임 문단도 참조. * [[궁극전대 다단단]] - 항목 참조, 내용을 보면 알겠지만 불리기가 아니고 뻔히 보이는 [[영구 패턴]]인데 집계중단을 안 먹은게(?) 신기하다. * [[구완게]] - [[유세미/플레이 영상#s-2.1|유세미 영상]]을 보자, 불리는 장소는 [[네코구모]]에서 진득하게 불린다. * [[극상 파로디우스]] - 스페셜 스테이지에서는 어느 시점에서 죽건 간에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기 때문에 잔기가 모두 소진될 때까지 무한으로 불리는 게 가능하다. 후속작인 [[섹시 파로디우스]]에서는 스페셜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면 남은 잔기 수만큼 보너스 점수를 주도록 바뀌면서 사실상 막혔다. 가능은 하지만, 잔기 보너스 점수보다 얻을 수 있는 점수가 낮아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 [[기동전사 건담 스피릿츠 오브 지온]] - 진행도중엔 적이 명중탄 발사하기 직전의 타이밍에 공격해서 크리티컬로 한방에 보내버리는것(명중탄 발사 전에 몸 전체가 살짝 반짝하고 빛난다)과 근접공격 칼같이 카운터해서 떨쳐내는것으로 벌고, 대 건담전에서 격투 카운터를 진득하게 성공시킨다. 1회당 5000점 올라가며, 시간이 얼마 없다 싶으면 카운터후 수라쌍연격으로 끝내면 된다. * [[나이츠 오브 라운드]] - 모두가 아는 아이템 관련 버그. * [[너클 배쉬]] - 불 군단 괴멸 루트 스테이지 4-2 에서 화면 우측의 쓰레기통을 메가크래시나 잡기공격에 휘말리게 해서 부순다음 나이프적 둘을 잡고 레슬러 한명만 남긴 상태로 쓰레기통에 대해 슬라이딩을 실행하면 쥐가 계속 공격된다. 레슬러에게 붙잡히면 패턴이 꼬이며, 이때는 다시 그 레슬러를 때릴때까지 패턴이 리셋되지 않는다. 만약 당했다면 미스후 재등장시의 공격이 노 데미지이므로 이걸 이용해서 패턴을 리셋시킨뒤 다시 하면 된다. 기본 엑스텐드 설정이 에브리 엑스텐드고 슬라이딩 성능에 어느정도 영향을 받으며, 엘 블라차와 잭 블로우라면 이론상 영파가 성립하지만 실력영파에 가깝다. [[http://www.nicovideo.jp/watch/sm20062934|#]] * [[뱀 게임|니블러]] - [[무한루프]]제 아케이드 [[뱀 게임]]으로, 아케이드 게임 중 최초로 9자리수(10억점)를 기록할 수 있는 게임이다. 최초로 10억점을 넘긴 사람은 당시 17세였던 Tim McVey[* 트위터 [[https://twitter.com/sprinter461|#]],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nibblerchamp/|#]], 트위치[[https://www.twitch.tv/sprinter461|#]]] 로 Twin Galaxies 아케이드에서 관계자가 녹화하는 가운데 1,000,042,270점을 기록하는데 '''44시간'''씩이나 걸렸다. McVey는 은퇴했다가 복귀해서 2012년에 1,041,767,060(10억 4천만)점을 기록했다. * [[다라이어스 시리즈]] * [[다라이어스 외전]] - Z'존의 보스인 G.T의 공격 패턴중 드릴이 3만점을 준다는 점을 이용한 G.T. 불리기가 유명하다. ~~하지만 E존 무적 버그탓에 [[하이스코어]] 집계가 중단됐다.~~ * [[G 다라이어스]] - 오미크론존에서 [[그레이트 싱]]의 파츠를 부수는 식으로 한다.[* 어느정도 나오냐면 보스 대면까지의 스코어의 총합=보스에서 낼 수 있는 스코어라고 보면 된다. G 다라이어스의 일부 보스들은 파츠가 부서져도 알아서 재생하기 때문이며 G.T.도 파츠가 자동으로 재생되는 보스이기 때문에 불리기가 가능한 것이다.] * [[더블 드래곤 2]] - [[https://www.youtube.com/watch?v=t_y_VMAu8kg&vl=ko|해당 영상 참고]]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시리즈]]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2]]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3]]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 [[하우스 오브 더 데드 스칼렛 던]] *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아케이드 게임)|달의 요정 세일러문]]: [[https://youtu.be/gGjMlwbQOGk?t=807|해당 영상 참고]] * [[도돈파치 대부활]]: [[유세미/플레이 영상#s-2.8|유세미 영상]]을 보자.(Take 2) ~~수면제 2호기~~ * [[동방 프로젝트]]: [[스펠 카드(동방 프로젝트)|스펠 카드]]와 밀접히 연관되며, '''특히 [[동방요요몽]]과 [[동방영야초]]'''에선 이러한 불리기를 위한 시간끌기의 극한을 볼 수 있다. * [[라이트 브링거]]: 3스테이지에 연금술을 실행할 수 있는 방이 2군데 존재한다. 항목 참조. * [[레이디언트 실버건]] * [[레이메이스]]: [[https://www.youtube.com/watch?v=h8XsYzC2ofs|해당 영상 참조]] * 로보캅 시리즈(아케이드) - 화면 밖에 있는 드럼통을 향해 네이팜을 발사하면, 해당 드럼통이 화면에 나타나기 전까지 '''계속 파괴되는''' 버그가 있다. 참고로 드럼통은 개당 500점.(..) 이걸 타임오버 직전까지 계속하는 식으로 불리는 것이 유명. * [[마징가Z(게임)]] - A와 C를 쓰지 않고 B의 주먹질로만 공격해서 적을 격파하면 배율이 올라가는 시스템 때문에 1면보스인 베가수 킹고리가 신칸센을 휘두르고 잡아던지는 패턴에서 보스를 공격하지 말고 신칸센을 주먹질로만 공격하면 엄청난 점수를 벌 수 있다. 이후 신칸센이 부서지면 다시 신칸센이 보급되는데 이걸 질리도록 반복하면 자동으로 스테이지 클리어가 되어서 영파까지는 되지 않는다. 참고로 '''2주차 시작하자마자 나오는 킹고리에게 또 이 짓을 할 수 있고''' 작정하고 플레이하면 거의 웬만해선 이 시점에서 [[카운터 스톱]]된다. 결국 po집계중단wer * [[만안전쟁]]: 특정 장소에서, [[위아래(EXID)|위 아래 위위 아래 위 아래 위위 아래]]를 다음 연로 보급지점까지 갈 수 있을 정도의 연료만 남을때가지 반복한다. * [[매직 소드]] * [[메탈슬러그 시리즈]] -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메탈슬러그 2|2]]는 2 특유의 발적화로 인한 [[처리지연]] 현상과, 온갖 오브젝트가 점수를 주기 때문에 불리기가 훨씬 길게 늘어진다. * [[목수 겐씨]] - 해당 항목에 있는 스코어링 참고용 영상 참조 * [[바츠군]] - [[https://youtu.be/gB9CvPjGX5A?t=714|11분 54초부터..]] * [[배틀 가레가]] - 카무이의 가인 2072만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보스전에서 보는 사람이 지겹게 느껴지게끔 불리는 부분들이 상당 부분 존재한다. 특히 2스테이지 초반의 새 구간 [[임사]]가 대표 케이스 * [[배틀 바크레이드]] * [[배틀 서킷]]: 최대한 돈을 많이 뽑아먹으면서 이후에도 최종면 클리어까지 최대한 많이 들고가는게 본 게임 스코어링의 최대 관건, 일종의 불리기 행위 맞다. * [[버블보블]] 시리즈: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블랙 드래곤(캡콤)|블랙 드래곤]]: 바위가 파괴되기 직전까지 바위에 대미지를 준 뒤에 바위를 낙하시켜서 파괴하면 바위에게 입힌 대미지의 양x3만점의 점수가 들어오게 된다. 이외에도 시간 분배를 최대한 활용해서 불리며, 최종면에서는 [[고의미스]]까지 실행한다. 보스 클리어시의 남은 타이머를 보면 전부 타임오버가 되기 직전의 순간에 절묘하게 보스를 잡아서 클리어한다. * [[블레이징 스타(STG)|블레이징 스타]]: WTN 영상을 보자. * [[사이바리아 시리즈]]: 정말로 시간을 끌면서 스코어를 불린다는 것이 뭔지 알 수 있는 게임. * [[삼국전기]]: 해당항목 참조, 보통 클리어하면 약 1시간 전후지만, 제대로 불리기에 들어가면 플레이 타임이 약 2~3배가량 늘어나며, '''보스전을 포함한 거의 모든 부분에서 불리기에 들어간다고 보면 된다.''' 당연한 소리지만 어설픈 실력으로 시도했다간 그대로 po끔살wer * [[썬더 존]] * [[쇼크 트루퍼스 SS]]: 1면보스 판도라전 1차형태에서 보스가 졸개들을 뱉어내는데 보스 자체는 공격하지 말고 이 졸개들만 근접공격으로 계속 처리해주면 100만점 이상을 획득가능하다. 당연히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2차 형태로 넘어가기에 [[메탈슬러그5]]마냥 전일기록이 1면에서 나오는 일 따위는 없었다. 그외에 5면 가운데 루트에서도 엘레베이터 직전 구간에서 경비로봇을 방치하면 왼쪽 아래와 오른쪽 아래에서 병사가 증원오는데, 이걸 근접공격으로 격파하는걸로 타이머가 허락하는 한 진득하게 불릴 수 있다. * [[스노우 브라더스]] - 보스전 부분을 보면 알겠지만 보는 사람이 지쳐버리도록 만들 정도로 진득하게 불린다. * [[스트라이더 히류]] * [[스플래터 하우스]] - 자세한건 [[스플래터 하우스/전일스코어의 비밀]] 항목 참조. 불리기만 2시간 넘게 걸린다. * [[식신의 성 2]] * [[아르고스의 전사]] - 13스테이지 중간에 공중에 별 아이템이 나타나는 곳이 있는데 [[북두칠성]] 모양으로 나타나게 된다. 그 북두칠성 모양의 끝부분에 100만점짜리 아이템이 숨어있다. 17스테이지에서는 4층 탑을 쌓는 괴수가 나타나는데 탑이 무너져 내리기 전에 모두 죽이면 1만점의 보너스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17스테이지에서 수백만점을 얻을 수 있다. 때문에 17스테이지는 이 게임 하이스코어러들에게 있어서 [[성지]]나 매한가지며 1000만점을 찍는 일본 스코어러들은 반드시 여기서 죽치고 불린다고 보면 된다. 다만, 잔기가 많이 남아 있어야 가능하다. * [[야구격투 리그맨]] - [[리노]]의 썬더볼트 킥 + 다이너마이트 = 불리기 성립, 여기서 시간제한이 없었다면 그대로 po[[영파]]wer가 성립된다. * [[얼티밋 에콜로지]] * [[에스프레이드]] - [[Clover-TAC#s-2|TAC서스]]의 4104만 영상을 보자, 이것도 보스전에서 진득하게 불린다. ~~원조 수면제 1호기~~ * 오퍼레이션 라그나로크 * [[와일드 팽]] - 드럼통을 때려 굴리고 나면 벽에 부딪힐 때 깨지는데 이걸 계속 때릴 수 있다. 이 게임은 타격시마다 스코어가 들어오므로 고의미스까지 하면서 불려먹을 수 있다. 그냥 클리어하면 25만점 넘기는것도 힘든데, 불리기를 해서 나온 점수가 717.0만이다. * [[원더보이 인 몬스터랜드]] - 스틱을 죽어라 흔들다 보면 6x원이 나온다!, 그리고 이 게임은 보유하고 있는 골드의 양이 곧 점수다. 이 뿐만이 아니라 11스테이지는 스테이지 자체가 미로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파란색 몬스터를 열나게 죽일 수 있다.[* 방법은 이렇다. 정상 경로대로 가다가 쿠라켄(4라운드 보스)을 만나는 길로 들어가기 전에 밑으로 떨어지지 말고 점프해서 가면 다른 길이 나오는데 이 길로 나오면 조금전에 빨간색 유령이 나온 길로 되돌아온다. 그런데 이 길에는 빨간색 유령이 아니라 파란색 유령 두 마리가 있다. 이 유령 둘을 왼쪽 끝으로 몰아놓고 죽여야 한다.] 이것이 진짜 불리기 작전인데 미로가 어느 곳으로 들어가면 어디로 이어지는지를 잘 숙지하고 있다면 파란색 유령만 죽이면서 아이템을 얻기도 한다. 파란색 유령은 한 번 죽이면 3만점인데 매집이 매우 세므로 전설의 칼(Sword of Legend)이 가장 유리하며, 이보다 약한 칼로는 죽이는 데 시간이 많이 걸려 하트를 많이 소모하게 되므로 불리기가 어렵다. * [[윌로우(게임)|윌로우]] - 최종보스의 격파시 스코어가 무려 100만점이나 주어지고 또 이 게임은 미스시에 체크포인트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이 특징을 이용하여 최종보스를 격파하는 동시에 타임오버를 맞이한다. 실패시에는 잔기는 잔기대로 스코어는 스코어대로 날아가거나 잔기가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강제로 클리어 당하거나 [[https://youtu.be/0MoQQVNz6ys?t=25m30s|보러가기]] * [[월드 위치스 UNITED FRONT]] - 고랭크 판정, 하이스코어, 랭커를 노린다면 필수로 해야 한다. * 이바라 시리즈: 배틀 가레가와 비슷한 게임성 때문인지 이 시리즈도 진득하게 불린다. * [[이바라]] * [[핑크 스위츠]] * [[중화대선]] - 잔0이 될때까지 최종보스에게 부딪혀서 고의적으로 미스를 낸다. 잔기 정산 보너스가 전무하기에 올클은 당연히 잔0상태에서 클리어하는게 정석이다 * [[천지를 먹다 II]] - 기본은 타임오버 사망으로 타이머를 99초로 리젠시켜 보스격파 정산점수를 늘리는것(단 이 정산점수 불리기는 여포랑 장료 정도한테만 실행한다)과 말 탔을때의 공격점수가 높은걸 이용해 말을 최대한 활용하는 정도밖에 안 보이지만, 진짜배기는 보스전에서 리젠되는 적병들을 타임오버 되기 전까지 쳐잡는 불리기. 특히 3면에서는 고의미스+말타기를 이용해서 최대한 불릴 수 있을 때까지 불리는것도 모잘라 타임오버를 이용하여 타이머 수치를 99초로 리젠시킴과 동시에 보스를 격파하여 타임오버로 인한 미스를 아예 무효화 시키는 장면이 인상적이다. (타임오버로 인한 미스를 아예 무효화시켜서 잔기를 그대로 보존시킴) * [[체르노브]] - 해당 항목의 영상 참조, 여기서는 '''[[임사]]질까지 자행하는걸 목격할 수 있다.''' * [[초시공요새 마크로스(NMK)|초시공요새 마크로스]] * [[최후의 인도]] - 고의미스계, 이 부분도 잔기가 허락하는 이상 열심히 불린다. * [[캐딜락 공룡신세기]] - 3면에서 정면돌파가 대표적인 케이스. * [[킹 오브 드래곤즈]] * [[텀블 팝]] - 스테이지 중간중간에 계속해서 적을 내뱉는 물체 부분에서 특성을 이용한 불리기, 이외에도 보스전의 특징인 무한 적 리젠을 이용한 불리기도 존재, 이런 불리기의 경우 영파방지 캐릭터가 등장할때까지 불리다가 영파방지 캐릭터가 등장한 걸 확인후에 그대로 없애면 된다. 단 영파방지 캐릭터가 출현하는것과 동시에 처리해야 하므로 적절한 체력관리는 필수. * 파이너스트 아워: [[https://www.nicovideo.jp/watch/sm2614639|#1]], [[https://www.nicovideo.jp/watch/sm2626621|#2]] * [[파이널 파이트]] - 3면 에디에서의 불리기 및 최종면 벨거에서의 고의미스를 이용한 불리기가 대표적이며, 이외에도 2면 소돔의 평타클리어도 사람에 따라서 불리기라고 볼 수 있다. * [[파워드 기어]] - 최종면에서 고의미스를 이용한 분사구 드릴질. * [[팡!3]] - 기본적으론 동일 크기의 풍선을 터트리는 체인 보너스에 의한 불리기가 유명하지만 진짜배기는 최종면(패닉 모드라면 최종 레벨)에서의 [[고의미스]]를 이용한 불리기. 결정적으로 이 게임에서는 '''올클리어시의 정산 보너스가 없다.''' 이 때문에 최종면 한정으로 지속적인 고의미스를 이용한 불리기가 필수요소로 자리잡게된다. 그밖에 터트리면 바로 클리어가 되는 주황색 별 풍선을 다른 풍선을 다 없애고 맨 마지막에 터트리는 행위 등. * [[퍼즐 보블 시리즈]] - 시리즈 전부, 스코어링 방식은 [[퍼즐보블]] 항목을 참조. * [[펄스타]] - 최종보스전에서 불린다. * 페리오스: 최종보스에서 실행하며 펄스타처럼 최종보스랑 함께 동귀어진하면 된다. 미스가 나면 체크포인트로 되돌아가는 게임 특성상 잔기가 0이 될때까지 이걸 반복한다. * [[하우스 오브 더 데드 스칼렛 던]]: 일명 시릴 불리기(シリル稼ぎ), 도끼를 쏘는 것만으로도 점수가 들어온다. 자세한건 [[https://twitter.com/MIKADOType0/status/1389578973047267337|여기 영상 참조]] * [[해저대전쟁]] - [[https://www.youtube.com/watch?v=KT3wU2vMJQQ|여기 영상 참조]], 전체적으로 불릴 수 있는 곳에선 한계까지 불리지만 고의미스까지 동원해서 불리는곳은 5면 화산지대에서다. * 호러 스토리 - 미스가 나면 체크포인트로 되돌아간다는 점을 이용해서 최종면에서 최종 보스를 격파한 이후 [[고의미스]], 이후 [[잔기]] 숫자가 0이 될때까지 계속해서 이를 반복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7To1Gk3Slys|원본]], [[https://www.youtube.com/watch?v=0yARrR9IZxw&t=134s|편집본]] * [[R-TYPE]] - [[2ch]]의 [[알타입(게임)|알타입]] 스레에 따르면 1주차 7면에서 잔기가 허락하는 이상 최대한 불리는 모양. [[분류:게임 용어]][[분류:게임 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