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24년 공개]][[분류:조선인민군/장비]][[분류:순항 미사일]] [include(틀:북한의 미사일 전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24FA2 10%, #FFF 10%, #FFF 12%, #ED1C27 12%, #ED1C27 88%, #FFF 88%, #FFF 90%, #024FA2 90%, #024FA2)" '''{{{+3 전략순항미싸일《불화살-3-31》}}}'''[br][[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북한|{{{#fff 북한}}}]]의 [[화살 미사일|{{{#fff 화살 계열}}}]] [[순항미사일|{{{#fff 순항미사일}}}]]}}}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불화살-3-31.jpg |width=100%]]}}}|| ||<-2> 2024년 1월 24일, 1차 시험발사 때의 모습 || || {{{#024fa2 '''발사 플랫폼'''}}} || 지상, [[김군옥영웅함]](추정) || || {{{#024fa2 '''최대사거리'''}}} || 2,000km[*A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473319?sid=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이 북한이 2024년 1월 24일 첫 시험 발사한 지상 발사 순항 미사일 겸 잠수함 발사 순항 미사일(SLCM). [[조선인민군 2023년 공개 SLCM]]의 개량형으로 추정되며, 기존 [[화살-1]], [[화살-2]]와 달리 '불화살'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 명칭 == * 미사일의 명칭이 [[화살 미사일|화살]]에서 '''불'''화살로 변경되고 코드번호도 기존 -1, -2가 아니라 날짜를 연상케 하는 -3-31로 변경되었다. 1주일 전인 1월 19일 북한이 동해상에서 시험했다고 주장한 신형 [[해일(수중드론)]]도 명칭을 기존과 달리 《해일-5-23》으로 발표한 것과 비슷하여 북한이 미사일 분류 방법을 변경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2차 시험발사에서 잠수함 발사 순항미사일이라는 점이 알려지면서 지상발사 순항미사일은 화살, 잠수함발사 순항미사일은 불화살로 불리는 것으로 추정된다. * 화산-31 핵탄두의 '-31'인 것으로 보인다는 보도도 나왔다. 즉, 화살-3에 화산-31을 탑재하면 불화살-3-31이 된다는 식. [[https://www.ytn.co.kr/_ln/0101_202401251311382975|#]] * [[가지번호]] 읽는법에 관하여, [[조선의 소리]] 음성으로 '불화살 삼 삼십일형'으로 읽는 것이 확인되었다. [[https://youtu.be/umazzMnuujg?si=J0i6weMTDesh2ubu&t=37|#]] 이후 [[리춘히]]도 그렇게 읽었다. * 반면 [[KBS]]에서는 '불화살 삼의(에) 삼십일형'으로 읽었다. [[https://youtu.be/BBuCNn1bCs4?si=uRfZrr8hFEu6sMuJ&t=94|#]] == 1차 시험 발사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불화살-3-31.jpg|width=100%]]}}} || || 불화살-3-31 1차 시험 발사 || === 상세 === 2024년 1월 24일 서해상으로 시험발사를 시행하였다.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미싸일총국]]은 이번 시험이 무기체계의 부단한 갱신과정이며 총국과 산하 국방과학연구소들의 정기적이며 의무적인 활동이라고 설명했다."라고만 발표하고 발사 장소, 비행시간, 고도, 경로 등은 발표하지 않았다. 처음으로 불화살-3-31이라는 제식명이 공개되었으나 이 당시까지만 해도 SLCM 임을 발표하지 않았다. 이후 합참은 서해상에서 원형 궤도를 그렸다고 밝혔다. 또한 [[화산-31]]과 동일한 무게의 모형 탄두를 탑재해 단거리가 된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내 놓았다. [[https://www.youtube.com/shorts/OGxetLNN-RE|#]] [[https://www.ytn.co.kr/_ln/0101_202401251311382975|#]] === 평가 === * 이성준 합참 공보실장은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어제 발사한 순항미사일은 과거에 발사했던 것과 비교해 비행거리가 다소 짧았던 점을 고려할 때 기존 순항미사일의 성능 개량을 위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https://namu.news/article/2222749|#]] 구체적으로는 1시간 내외라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umazzMnuujg|#]] *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전문연구위원은 연합뉴스에 "공개된 사진을 보면 '불화살-3-31'은 기존 화살형보다 전체적인 길이가 짧고 뭉툭해 보인다"며 "단거리용인 것 같다"고 말했다.[[https://www.yna.co.kr/view/AKR20240125010051504|#]] 다만 우리군은 중거리[* 본 미사일은 순항 미사일이므로 [[중거리 탄도 미사일]]의 '중거리'와는 다른 맥락인 것으로 보인다.] 전략 순항미사일라고 말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5133347?sid=100|#]] == 2차 시험 발사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불화살-3-31 잠수함발사.jpg|width=100%]]}}} || || 불화살-3-31 2차 시험 발사 || 보호 캡이 벗겨지는 사진도 [[https://twitter.com/ISNJH/status/1752254986145370543/photo/2|공개]]했다. === 상세 === 2024년 1월 28일 오전 8시경 동해 신포 해군기지 앞바다 잠수함에서 2발이 시험발사되었으며, [[김정은]]이 참관했다고 한다. 북한 [[로동신문]]에 따르면 순항미사일들은 7421초(2시간3분41초), 7445초(2시간4분5초)간 동해 상공에서 비행하여 섬 목표를 명중 타격했다고 하였고 비행거리는 공개하지 않았다. === 평가 === * 한미 정보 당국은 이 미사일이 [[김군옥영웅함]]에서 발사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 최일 잠수함연구소 소장은 러시아 칼리브르 순항 미사일처럼 지상, 잠수함 동시 발사가 가능한 미사일로 평가하였다.[*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