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붉은 눈)] [목차] == 개요 == [[붉은 눈]] 문서에서 서포트 카드들을 분리한 문서 == 효과 몬스터 == === 레벨 1 === ==== 아기 흑룡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유희왕 러시 듀얼의 동명 카드, rd1=아기 흑룡(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55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아기 흑룡, 일어판명칭=黒竜(こくりゅう)(ひな), 영어판명칭=Black Dragon's Chick, 몬스터=, 효과=, 레벨=1,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공격력=800, 수비력=500, 효과1=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붉은 눈의 흑룡"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최강 카드배틀!]] 텍스트 >①: 필드의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붉은 눈의 흑룡" 1장을 특수 소환한다. 부스터 팩 [[듀얼리스트의 투혼]]에서 첫 등장한 카드. [[정의의 아군 카이바맨]]과 맥락을 같이하는 [[붉은 눈의 흑룡]] 서포트 카드이다. 몬스터 2장을 릴리스하고 [[어드밴스 소환]]하기에는 너무도 아까운 능력치를 지닌 [[붉은 눈의 흑룡]]이기에 이 카드의 존재는 상당히 고마운 존재이다. 이 카드 덕분에 흑룡을 소환하기 위해 [[더블 코스트 몬스터]]를 채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붉은 눈의 흑룡이 패에 없으면 처참한 능력치 때문에 딱히 쓸 구석이 없지만, 다행히 붉은 눈의 흑룡은 [[소환사의 스킬]]로 서치가 가능하다. 전사족인 카이바맨과 다르게 붉은 눈의 흑룡과 똑같은 드래곤족이기에 따로 서포트를 넣을 필요없이 드래곤 서포트만으로 충분하다는 것도 장점이라면 장점이다. 또 [[붉은 눈의 암룡]] 덕분에 드래곤족이라는 점이 더더욱 빛난다. 이를 이용해 [[가면룡]] → 아기 흑룡 → 붉은 눈의 흑룡 → 붉은 눈의 암룡 루트를 타면 공격력 3300 암룡은 보장할수 있다.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의 소환을 위해 제외할 수도 있다는 것도 장점. 하지만 아무리 이 카드가 붉은 눈의 흑룡을 쉽게 소환시켜준다고는 해도 흑룡은 결국 패보다는 묘지에서 소환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붉은 눈의 흑룡을 묘지로 보낼 방법은 [[용의 계곡]], [[용의 영묘]], [[어리석은 매장]], [[엘리멘틀 히어로 플리즈마]] 등 정말 넘쳐나며 묘지에서 불러낼 수단도 정말 넘쳐나기 때문에 이 카드를 붉은 눈의 흑룡을 소환하는 메인 방법으로 생각하고 운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패에서 붉은 눈의 흑룡을 소환한다고 해도 사실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으로도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능력치가 낮아 [[킬러 토마토(유희왕)|킬러 토마토]]나 [[원 포 원]], [[가면룡]], [[크리터(유희왕)|크리터]]를 이용한 서치, 리쿠르트, [[리미트 리버스]], [[엔젤 리프트]], [[다크 버스트]]를 이용한 소생이 용이하다. 그런데 사실 능력치가 구리다고는 해도 공격력 900의 [[인페르니티 리로더]]가 등장하기 전까지만 해도 레벨 1 몬스터중에서는 공격력이 최강이었다. ~~진화체보다 레벨대비 공격력 효율이 좋다~~ 물론 이후 [[기황제]]들이 나오면서 그놈이나 이놈이나 [[데꿀멍]]. 또한 [[암드 드래곤|암드 드래곤 LV3]]과 아기 흑룡이 모두 가면룡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해 암드 드래곤 흑룡 덱을 짤수도 있다. 대표적인 예로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드래곤의 힘]]이 있다. 참고로 초기 북미판 카드명이 'Red-Eyes B. Chick'이라 "[[붉은 눈(유희왕)|Red-Eyes]]" 카드군에 포함되었지만, 일본판 기준으로는 "레드아이즈"가 들어가지 않는 몬스터이기 때문에 영어판 텍스트에는 이 카드를 제외한 "Red-Eyes"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라는 식으로 이 카드를 예외로 놓는 텍스트가 적혀 있다. 결국 한참 후에야 현재와 같이 카드명을 에라타하게 되었다. 물론 '아기 흑룡'으로 번역된 한글판에선 별 문제가 없다. 여담으로 이 카드는 먼 훗날 [[전설의 흑석]]과 [[블랙 메탈 드래곤]]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11년 동안''' 유일했던 레벨 1 / 어둠 속성 / 드래곤족 몬스터였다. 재미있는 점은 세 카드 전부 붉은 눈의 흑룡의 서포트 카드라는 점이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텐죠인 후부키]]가 사용. [[붉은 눈의 흑룡]]의 원활한 특수 소환을 위해 자주 사용되었다. [[다크니스(유희왕)|다크니스]]로서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 중 등장했을 당시에는 [[드래곤 에그(유희왕)|드래곤 에그]]처럼 알 껍데기 너머로 눈만 비치는 모습이었으나, 이후의 듀얼에서는 알껍질을 깨고 몸체가 다 나온다. 헬 카이저가 된 [[마루후지 료]]와의 듀얼에서는 [[사이버 다크]] 몬스터들의 장착 대상으로 묘지에서 끌려나오는 수난을 당하기도 했다. 아기라 그런지 꽤 귀엽게 생겼다. 상식적으로는 이 아기 흑룡이 무럭무럭 자라서 [[붉은 눈의 흑룡]]이 되고 붉은 눈의 흑룡이 파워업해서 [[붉은 눈의 암룡]]이 되고 암룡이 메탈화를 거쳐서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이 되겠지만, 카드 효과 관계상 실제로는 이 카드에서부터 갑자기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이 [[갑툭튀]]할 수 있다.~~폭풍 성장~~ ~~워프진화~~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듀얼리스트의 투혼]] || SOD-KR017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드래곤의 힘]]- || SD1-KR007 || [[노멀]] || 한국 || || || [[하이 그레이드 팩]] Volume 3 || HGP3-KR017 || [[노멀]] || 한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드래고닉 군단]]- || SD22-KR007 || [[노멀]] || 한국 || || || [[듀얼리스트의 투혼|SOUL OF THE DUELIST]] || SOD-JP017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수록[br]절판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드래곤의 힘]]- || SD1-JP007 || [[노멀]] || 일본 || 절판 ||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 3 || EE3-JP017 || [[노멀]]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드래고닉 군단|드래고닉 레기온]]- || SD22-JP007 || [[노멀]] || 일본 || || || [[듀얼리스트의 투혼|Soul of the Duelist]] || SOD-EN017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드래곤의 힘|Dragon's Roar]] || SD1-EN007 || [[노멀]] || 미국 || ||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ume 3 || DR3-EN017 || [[노멀]]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드래고닉 군단|Dragons Collide]] || SDDC-EN007 || [[노멀]] || 미국 || || || Legendary Collection 4 : Joey's World || LCJW-EN038 || [[슈퍼 레어]] || 미국 || || ==== 전설의 흑석 ==== [[파일:伝説の黒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전설의 흑석, 일어판명칭=伝説の黒石(ブラック・オブ・レジェンド), 영어판명칭=The Black Stone of Legend, 레벨=1,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공격력=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어느 쪽이든 1개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7 이하의 "붉은 눈"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할 경우\, 자신 묘지의 레벨 7 이하의 "붉은 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리고\, 이 카드를 패에 넣는다.)] 원어로 '전설의 흑석'이라 쓰고 '블랙 오브 레전드'라고 읽는다. [[붉은 눈]] 버전 [[전설의 백석]]. 공격력 / 수비력이 [[푸른 눈의 백룡]]의 10분의 1이었던 전설의 백석과 달리 그냥 0이며, 튜너도 아닌 데다 효과도 다르며, 턴 제약이 붙었다. ①의 효과는 릴리스하고 레벨 7 이하의 붉은 눈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특수 소환하는 것. [[붉은 눈의 흑룡]] 원본은 물론 [[붉은 눈의 흑염룡]], [[붉은 눈의 흉뢰황-이블 데몬]]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묘지로 가면 서치만 하는 전설의 백석보다 공격적인 효과지만, 일단 필드에 꺼내서 릴리스해야 하고, 턴 제약이 붙어있다. ②의 효과는 붉은 눈 회수 및 자체 샐비지. 덱으로 되돌린 붉은 눈의 흑룡을 [[붉은 눈 융합]]의 소재로 쓰거나 다음 턴 흑석의 효과로 다시 불러올 수 있다. 나쁘지는 않지만, 좋게 보기 어렵다. ①과 ②의 효과는 같은 턴에 동시에 사용할 수 없으며, ②의 효과는 덱 스페이스를 불리는 효과라 웬만한 상황에선 디메리트다. ①의 효과도 일소권을 소모하는 것에 비해 메리트가 적으며, 필드에서 스스로 릴리스해야 하므로 붉은 눈 융합과도 충돌한다. 레벨 제약도 붙어서 암흑 메탈 드래곤은 부르지도 못한다. 붉은 눈 덱 보다도 오히려 [[툰]] 덱에서 툰 붉은 눈의 흑룡을 불러오기 위해 쓰인다. 신세대 툰은 죄다 고렙 몬스터고 구세대 저렙 툰은 자체특소효과가 있어서 일반소환권이 남기 때문. {{{#!folding [ 레벨 7 이하의 붉은 눈 몬스터 목록 ] * 일반 몬스터 * 레벨 7 * [[붉은 눈의 흑룡]] * 효과 몬스터 * 레벨 3 * [[붉은 눈의 유룡]] * 레벨 4 * [[붉은 눈의 비룡]] * [[붉은 눈의 소각룡]] * [[붉은 눈의 철기사-기어프리드]] * 레벨 6 * [[붉은 눈의 흉뢰황-이블 데몬]] * [[붉은 눈의 흉성룡-메테오 드래곤]] * [[붉은 눈의 흑성룡]] * 레벨 7 * [[붉은 눈의 불사룡]] * [[Sin 붉은 눈의 흑룡]] * [[붉은 눈의 아흑룡]] * [[붉은 눈의 흑염룡]] * [[붉은 눈의 툰 드래곤]] * [[붉은 눈 소울]] * 융합 몬스터 * 레벨 7 * [[붉은 눈의 흑룡검]] * [[붉은 눈의 흑인룡]] * 싱크로 몬스터 * 레벨 7 * [[붉은 눈의 불시룡]]}}}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 || CORE-KR021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CLASH OF REBELLION]] || CORE-JP021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Clash of Rebellions]] || CORE-EN021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Legendary Decks II || LDK2-ENJ05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블랙 메탈 드래곤 ==== [[파일:黒鋼竜.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블랙 메탈 드래곤, 일어판명칭=黒鋼竜(ブラックメタルドラゴン), 영어판명칭=Black Metal Dragon,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600, 수비력=600, 종족=드래곤족,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붉은 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필드에서 이 카드를 공격력 600 올리는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하여 그 자신의 몬스터에 장착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붉은 눈"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붉은 눈]]의 핵심 카드 중 하나. 원본은 '흑강룡'이라 쓰고 '블랙 메탈 드래곤'이라 읽는다. 생김새나 레벨 1인 점이나 카드명에 "붉은 눈"이 들어가지 않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아기 흑룡]]과 비슷한 포지션의 카드이지만, 효과는 많이 다르다. 블랙 '''메탈''' 드래곤이라는 이름에 장착되어 공격력을 강화시켜준다는 점을 보면 의외로 [[메탈화 마법반사장갑]]을 흑룡 형태로 변형시킨 메카닉일지도 모른다. 실제로 [[붉은 눈의 개선]]의 일러스트에서 [[붉은 눈의 흑염룡]]과 합체하고 있다. 1번 효과는 심심한 공격력 보조. "붉은 눈"이라면 아무 몬스터에게나 붙일 수 있어 [[붉은 눈의 흑룡|2400]]을 [[푸른 눈의 백룡|3000]]으로,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2800]]을 [[데스티니 히어로 도그마 가이|3400]]으로 만들어 전투에서 상당한 우위를 점할 수 있게 해 준다. [[붉은 눈의 비룡]]도 2400이 되기 때문에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나 [[엘섀도르 미도라시]]를 적절히 돌파할 수단도 생긴다. 무엇보다도 일반 소환권은 붉은 눈의 비룡 같은 데 쓰고 이 효과로 패에서 빨리 필드로 나와 2번 효과로 이어 줄 수 있다는 것이 핵심. [[붉은 눈의 흉뢰황-이블 데몬]]과는 궁합이 좋은데, 안 그래도 공격력 2500이라 웬만한 녀석은 파괴할 수 있는데, 이 녀석이 더해지면 3100이 돼서 거의 모든 몬스터가 이블 데몬의 사정귄에 들어와버린다. 참고로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 과는 시너지가 별로나.[[붉은 눈 융합]]으로 융합 소환된 [[악마룡 블랙 데몬즈 드래곤]]이나 [[유성룡 메테오 블랙 드래곤]]에도 갖다 붙힐 수 있는 것도 장점. [[붉은 눈의 흑인룡]]과의 시너지도 미친 수준인데 타점상승도 좋지만 흑인룡 자체가 장착카드를 쓰는 효과인만큼 블랙메탈을 장착하고 해제시키면서 상대퍼미션/서치 효과를 자유자재로 쓴다. 600이란 수치는 [[암룡족의 발톱]]에서 따온 듯. 2번 효과는 초강력 서치 효과. 어떻게든 필드에서 묘지로 가면 타이밍을 놓칠 일 없이 "붉은 눈"이 붙은 카드라면 종류를 가리지 않고 서치할 수 있다. 다른 서포트들이 은근히 비켜가는 듯한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이나 [[붉은 눈 융합]]과 같은 마법 / 함정도 OK. 턴 제한 또한 없기에 한 턴에 여러번 묘지로 들어가도 그만큼 바로 서치가 가능하다. 정작 자신은 "붉은 눈"이 아니라 서치나 리크루트에 차질이 생긴다는 것이 단점. 공격력이 600이라 [[데브리 드래곤]]으로 꺼낼 수는 없지만 [[정크 싱크론]]으로 꺼내거나 [[다크 버스트]]로 회수할 수는 있다. 하지만 전부 기존의 붉은 눈 덱에 어울린다고 보기는 힘든 점이 아쉽다. [[원 포 원]]으로 나올 수 있는 건 덤. [[전설의 흑석]]도 레벨 1이기에 단독으로 나올 경우를 상정하면 다소 밀리지만, 타점 부족을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할 수 있다. 새로 추가되는 [[붉은 눈의 철기사-기어프리드]]와의 시너지도 상당하다. 기습적으로 2400의 어태커로 만들어주는 것은 물론이고 붉은 눈의 철기사 기어프리드의 효과로 상대의 마법 / 함정을 파괴하거나 묘지에서 레벨 7 이하의 붉은 눈을 소생시키는 것 둘 중 하나를 골라 발동하면서 서치를 동시에 할 수 있기 때문. 현재 레다메와 함께 붉은 눈 테마를 먹여살리는 일등공신이다. 원핸드 전개로 드래곤링크에서 붉은 눈 축을 만들어주었고 흑강룡과 인사이트 덕분에 붉은 눈은 지원을 한번만 잘 받아도 티어덱까지 갈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 || CORE-KR022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CLASH OF REBELLION]] || CORE-JP022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의식 몬스터 == === 레벨 4 === ==== [[나이트 오브 블랙 드래곤]] ==== [[나이트 오브 화이트 드래곤]]의 흑룡 버전. === 레벨 8 === ==== [[로드 오브 더 레드]] ==== 붉은 눈이 아니고 직접 지정하는 카드도 아니지만, 이 카드를 소환하기 위한 [[붉은 눈 트랜즈마이그레이션|의식 마법]]은 붉은 눈 카드이며, 의식 소환을 할때 붉은 눈 몬스터를 사용하면 묘지에서도 소재를 조달할 수 있다. == 융합 몬스터 == === 레벨 8 === ==== [[메테오 블랙 드래곤]] ==== 메테오 드래곤과의 융합체. ==== 유성룡 메테오 블랙 드래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813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 명칭=유성룡 메테오 블랙 드래곤, 일어판 명칭=流星竜(りゅうせいりゅう)メテオ・ブラック・ドラゴン, 영어판 명칭=Meteor Black Comet Dragon, 레벨=8,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공격력=3500, 수비력=2000, 소재=레벨 7 "붉은 눈" 몬스터 + 레벨 6 드래곤족 몬스터, 효과1=①: 이 카드를 융합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붉은 눈"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그 몬스터의 공격력 절반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자신 묘지의 일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folding [ 융합 소재 몬스터 일람 ] * 레벨 7 "붉은 눈" 몬스터 * 일반 몬스터 * [[붉은 눈의 흑룡]] * 효과 몬스터 * [[붉은 눈의 흑성룡]] (자체 효과로 레벨이 7이 된 경우에만) * [[붉은 눈의 아흑룡]] * [[붉은 눈의 흑염룡]] * [[붉은 눈 소울]] * [[붉은 눈의 불사룡]] * [[붉은 눈의 툰 드래곤]] * [[Sin 붉은 눈의 흑룡]] * 융합 몬스터 * [[붉은 눈의 흑룡검]] * [[붉은 눈의 흑인룡]] * 싱크로 몬스터 * [[붉은 눈의 불시룡]] * 레벨 6 드래곤족 몬스터 * 일반 몬스터 * [[에머랄드 드래곤]] * [[일렉테일 드래곤]] * [[메테오 드래곤]] * [[래브라도라이드래곤]] * [[타이혼 \#2]] * [[천공룡(유희왕)|천공룡]] * [[밀림의 흑룡왕]] * 효과 몬스터 * [[붉은 눈의 흉성룡-메테오 드래곤]] * [[붉은 눈의 흑성룡]] * [[아모르파지#아모르파지 노테스|아모르파지 노테스]] * [[카이저 글라이더]] * [[카이저 글라이더#네오 카이저 글라이더|네오 카이저 글라이더]] * [[카이저 글라이더#카이저 글라이더-골든 버스트|카이저 글라이더-골든 버스트]] * [[가부키 드래곤]] * [[크리스탈 드래곤(유희왕)|크리스탈 드래곤]] * [[그라비 크러시 드래곤]] * [[스트롱 윈드 드래곤]] * [[스피드로더 드래곤]] * [[타이거 드래곤]] * [[체크섬 드래곤]] * [[데스 볼스트걸프]] *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 암즈-미스틸|드래그니티 암즈-미스틸]] * [[헬카이저 드래곤]] * [[호루스의 흑염룡#호루스의 흑염룡 LV6|호루스의 흑염룡 LV6]] * [[화이트 혼즈 드래곤]] * [[마그나 슬래시 드래곤]] * [[머티리얼 드래곤]] * [[라이트펄서 드래곤]] * [[라이트로드#라이트로드 드래곤 그라고니스|라이트로드 드래곤 그라고니스]] * [[비스테드#비스테드 마그나무트|비스테드 마그나무트]] * [[비스테드#비스테드 살로니르|비스테드 살로니르]] * [[비스테드#비스테드 드루이드브룸|비스테드 드루이드브룸]] * [[비스테드#비스테드 발드레이크|비스테드 발드레이크]] * [[성각#성각룡-토페니 드래곤|성각룡-토페니 드래곤]] * [[성각#성각룡-시유 드래곤|성각룡-시유 드래곤]] * [[성각#용왕의 성각인|용왕의 성각인]] * [[창세룡]] * [[마옥룡 질드라스]] * [[이살웨폰#마장성룡 이살웨폰|마장성룡 이살웨폰]] * [[이살웨폰#마장사룡 이살웨폰|마장사룡 이살웨폰]] * [[현월룡 세레글레어]] * [[배드 엔드 퀸 드래곤]] * [[벨트링크 월 드래곤]] * [[빙염의 쌍룡]] * 의식 몬스터 * [[용희신 사피라]] * 융합 몬스터 * [[트윈 포톤 리저드]] * [[소환수(유희왕)#소환수 코키토스|소환수 코키토스]] * 싱크로 몬스터 * [[C·드래곤]] * [[오리엔트 드래곤]] *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나이트-하룬|드래그니티나이트-하룬]] *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 나이트-바쥬란다|드래그니티 나이트-바쥬란다]] *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 나이트-게이볼그|드래그니티 나이트-게이볼그]] *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 나이트-가잘그|드래그니티 나이트-가잘그]] * [[도로도로곤]] * [[나츄르 팔키온]] * [[라바르#라바르바르 드라군|라바르바르 드라군]] * [[레드 라이징 드래곤]] * [[레드 와이반]] * [[월영룡 쿠이라]] * [[코랄 드래곤]] * [[갑전룡 가이암]]}}} [[메테오 블랙 드래곤]]의 리메이크 카드로, [[악마룡 블랙 데몬즈 드래곤]]에 이어 등장한 두 번째 [[붉은 눈의 흑룡]] 융합체의 리메이크 몬스터다. 속성이 화염 속성에서 어둠 속성으로 바뀌었으며, 묵직한 외형이었던 메테오 블랙 드래곤에 비해 융합 소재인 [[붉은 눈의 흑룡]]에 더 가까운 체형이 되었다. 흉부에 [[붉은 눈의 흉성룡-메테오 드래곤]]의 머리와 날개가 그대로 남아 있는데, 흉성룡을 흉부 갑주로 삼아 강화된 붉은 눈의 흑룡을 이미지한 디자인으로 추정된다. 융합 소재는 레벨 7 붉은 눈 몬스터와 레벨 6 드래곤족 몬스터로, 일반 몬스터만을 소재로 할 수 있던 악마룡에 비해 소재 조건이 훨씬 가벼워졌다. 일반 몬스터인 [[붉은 눈의 흑룡]]은 물론 [[붉은 눈의 흑염룡]], [[붉은 눈의 아흑룡]], [[붉은 눈 소울]]도 융합 소재로 할 수 있으며, 레벨 6 드래곤족 몬스터로는 [[마옥룡 질드라스]], [[라이트펄서 드래곤]]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붉은 눈의 흉성룡-메테오 드래곤]]이 붉은 눈의 카드명을 가졌다는 점을 제외하면 그다지 우수한 카드가 아니라 보통은 흉성룡 대신 다른 레벨 6 드래곤족 몬스터를 소재로 삼는 편이다. 그나마 [[붉은 눈의 흑성룡]]은 쓸만하긴 하다. 여차하면 [[비스테드]] 몬스터들을 소재로 쓸 수도 있긴 하다. ①의 효과는 패 / 덱의 붉은 눈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고 데미지를 주는 효과. 대부분 공격력 2400인 레벨 7 붉은 눈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면 1200 데미지를 줄 수 있다.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할 만한 몬스터는 공격력이 높고 묘지에서 소생하면 큰 활약을 기대할 수 있는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 다만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데미지가 반감되어 원래 공격력의 1/4 정도의 데미지만을 준다. ②의 효과는 몬스터 존에서 묘지로 보내지면 묘지의 일반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 듀얼 몬스터 역시 소생 가능하므로 흑염룡을 특수 소환할 수도 있다. 제거 효과에 대한 보험용 효과로 쓸 수 있음은 물론, 묘지로 보내지는 방법을 지정하지 않았으므로 '''자신이 묘지로 보내도 소생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는 점, '''같은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 제약이 없다는 점'''이 굉장히 우수하다. [[링크 소환]]의 소재로 사용해도 몬스터가 특수 소환되므로 어드밴티지 손해가 없고, 여기에 추가로 [[부활의 복음]],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 [[붉은 눈 스피릿]] 등 소생 수단이 있다면 계속해서 필드에 몬스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점이라고까지 말하기는 어렵지만, 전용 융합 카드인 [[붉은 눈 융합]]을 발동한 턴에는 추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이 불가능해지므로 그 턴에 묘지로 보내지면 ②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보험용 효과임에도 그 턴에 견제당했을 때의 보험 역할이 되어줄 수 없는 것. [[프레데터 플랜츠 베르테 아나콘다]]로 붉은 눈 융합의 효과만 적용하여 특수 소환하더라도 역시 마찬가지로 발동할 수 없다. [[흑염탄]]과의 궁합도 좋은 편. 붉은 눈 융합으로 "붉은 눈의 흑룡" 이름을 부여하여 특수 소환 가능한 몬스터 중 공격력이 가장 높아 줄 수 있는 효과 데미지의 수치도 높다. 이 카드 자체로도 효과 데미지를 주는 효과를 지니고 있으므로 4000 이상의 데미지를 주는 것이 어렵지 않다. 운 좋게 흑염탄 2장을 패에 잡았거나, 흑염탄과 [[연속 마법(유희왕)|연속 마법]]을 각각 1장씩 패에 잡았다면 3500 + 3500 데미지에 이 카드의 효과로 1000 이상의 데미지를 주어 원 턴 킬이 성립한다. 주로 사용하는 덱의 특성상 [[악마룡 블랙 데몬즈 드래곤]]과의 성능 비교는 필연적이다. 악마룡과 비교하자면 수비력이 비교적 낮아진 대신 공격력은 3500으로 더 높다. 일반적으로 공격력 쪽의 스테이터스가 더 우선시되므로 전투 능력은 악마룡에게 판정승을 거둔다. 레벨이 8이라 [[부활의 복음]]에 대응하여 소생이 쉽고, 선공 첫 턴에 소환해도 활용 가능한 효과를 지녔다. 많은 데미지를 주는 데에 치중한 효과를 지닌 악마룡에 비해 몬스터 덤핑, 보험용 소생 효과 등 비교적 다채로운 효과를 지녀 실 성능도 유성룡 쪽이 더 우수한 편이다. 무엇보다 가장 큰 장점은 융합 소재가 널널하여 다양한 소재 선택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마옥룡 질드라스]] 같은 몬스터도 써먹을 수 있는 유성룡과 달리 일반 몬스터인 흑룡 및 [[데몬 소환]]을 채용하지 않으면 덱 융합이 어려운 악마룡은 이 카드의 등장 이후로는 사실상 설 자리를 완전히 빼앗겼다. [[패왕룡 즈아크]]와 [[푸른 눈의 카오스 MAX 드래곤]]이 나오기 전까지는 공격력이 2위로 높았던 어둠 속성 드래곤족 몬스터였다. 1위는 [[F·G·D]]와 [[Sin 트루스 드래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 사항''' || || [[인베이전 오브 베놈|INVASION OF VENOM]] || INOV-JP041 || [[울트라 레어]][br][[얼티미트 레어]][br][[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인베이전 오브 베놈]] || INOV-KR041 || [[울트라 레어]][br][[얼티미트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벨 9 === ==== [[블랙 데몬즈 드래곤]] ==== 데몬 소환과의 융합체. ==== 악마룡 블랙 데몬즈 드래곤 ====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데몬(유희왕))]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253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악마룡 블랙 데몬즈 드래곤, 일어판명칭=悪魔竜(あくまりゅう)ブラック・デーモンズ・ドラゴン, 영어판명칭=Archfiend Black Skull Dragon, 몬스터=, 효과=, 융합=, 레벨=9,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공격력=3200, 수비력=2500, 소재=레벨 6 "데몬" 일반 몬스터 + "붉은 눈" 일반 몬스터, 효과외1=자신은 "악마룡 블랙 데몬즈 드래곤"을 1턴에 1번밖에 특수 소환 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할 경우\, 상대는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효과2=②: 융합 소환한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한 배틀 페이즈 종료시\, 자신 묘지의 "붉은 눈" 일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묘지의 그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그 후\, 그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린다.)] [* 듀얼링크스는 원래 공격력의 절반만큼의 데미지] {{{#!folding [ 융합 소재 몬스터 일람 ] * 레벨 6 "데몬" 일반 몬스터 * [[데몬 소환]] * [[탈와르 데몬]] * [[붉은 눈의 흉뢰황-이블 데몬]] (필드 / 묘지에서만 일반 몬스터 취급) * [[나이트메어 데몬즈|나이트메어 데몬 토큰]] (토큰) *레벨 6 "붉은 눈" 일반 몬스터 * [[붉은 눈의 흑룡]] * [[붉은 눈의 흑염룡]] (필드 / 묘지에서만 일반 몬스터 취급) * [[붉은 눈의 흉성룡-메테오 드래곤]] (필드 / 묘지에서만 일반 몬스터 취급) * [[붉은 눈의 흉뢰황-이블 데몬]] (필드 / 묘지에서만 일반 몬스터 취급) }}} 15년 만에 등장한 [[블랙 데몬즈 드래곤]]의 리메이크 몬스터로, [[블랙 데몬즈 드래곤|원본]]의 상위호환 카드. "악마룡"이라는 호칭은 원작 [[유희왕]]에서 블랙 데몬즈 드래곤의 카드명이 "악마룡 블랙 데몬즈 드래곤"으로 불렸던 점에서 유래한 것이며, 원본과 달리 융합 소재가 더 널널하고 추가 효과까지 가지고 있다. 일단 블랙 데몬즈 드래곤은 소재의 카드명을 명시하고 있으므로 [[융합 징병]] 등의 카드와 연계할 여지가 있어 완전히 가치가 없는 것은 아니나, 필드에 나올 일은 사실상 없다고 보아도 좋다. ①의 효과는 전투하는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 상대의 효과 발동을 막는 [[지속효과]]. 높은 타점을 살려 안정적인 전투가 가능해지며, ②의 효과 발동 조건 충족을 돕는다. '공격'시가 아니라 '전투'시이기 때문에 상대가 이 카드를 공격할 때 발동하는 효과도 발동할 수 없고, 덕분에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이나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 혹은 [[잠자는 거인 즈신]] 같은 전투 성능이 뛰어난 몬스터들을 일방적으로 파괴할 수 있다. 다만 발동을 막는 것이므로 지속 효과는 막을 수 없다. ②의 효과는 전투한 배틀 페이즈 종료시, 묘지의 붉은 눈 일반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데미지를 주고 그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리는 [[유발효과]]. "융합 소환한 이 카드"만 효과를 발동할 수 있어 묘지에서 특수 소환하는 등으로 재소환되면 효과를 발동할 수 없지만, 이 카드를 한 번 정규 소환한 후에는 거의 필연적으로 묘지에 붉은 눈 일반 몬스터가 마련되기 때문에 최소 1번은 2400 데미지를 줄 수 있다. 덱으로 되돌리는 것은 소생 효과가 많은 붉은 눈 덱에 있어서는 디메리트에 가깝지만, 융합 소재로 재사용하거나 [[전설의 흑석]]으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득도 있다. 원본과 마찬가지로 높은 공격력과 높은 수치의 효과 데미지 덕분에 쓸모가 없는 몬스터는 아니다. 그러나 타점도 효과로 주는 데미지도 미묘하여 원 턴 킬 수준은 커녕 LP를 절반 줄이는 것도 쉽지 않고, 전투하는 동안을 제외하면 어떠한 내성도 없어 쉽게 제거당한다. 가장 큰 문제는 소환 방식이다. 소환 자체는 [[붉은 눈 융합]]으로 간단하게 할 수 있으나, 붉은 눈 융합을 발동한 턴에는 추가 소환이 불가능하여 이 카드와 함께 전투 데미지를 줄 몬스터를 준비하기 어려울뿐더러, 가장 치명적인 문제는 융합 소재로 반드시 일반 몬스터를 사용해야 한다는 점. [[붉은 눈의 흑룡]]이야 붉은 눈 덱이라면 채용할 만한 카드지만, [[데몬 소환]]이나 탈와르 데몬은 이 카드의 융합 소재 이외의 사용처가 사실상 없는 카드라 덱에 부담을 준다. 일러스트나 발매 시기로 보아 [[붉은 눈의 흑염룡]]과 [[붉은 눈의 흉뢰황-이블 데몬]]을 융합하여 소환하는 것을 상정한 것으로 보이는데, 문제는 '''듀얼 몬스터가 덱에서는 일반 몬스터로 취급하지 않는다'''는 부분이다. 듀얼 몬스터는 필드와 묘지에서만 일반 몬스터로 취급하므로 붉은 눈 융합으로 이 카드를 소환하려면 두 몬스터를 필드에 직접 소환해야만 한다. 때문에 이 카드를 상술한 두 몬스터로 소환하려면 [[용의 거울]] 같은 카드를 추가로 채용해야 하며, 안 그래도 효과가 미묘한 이블 데몬은 존재 가치를 크게 잃었다. [[붉은 눈의 강염룡]]과 마찬가지로 일러스트 상의 소재를 사용하는것이 더 불편한 특이한 경우다. 더구나 [[붉은 눈 융합]]으로 소환 가능한 또다른 융합 몬스터인 [[유성룡 메테오 블랙 드래곤]]의 등장 이후로는 더욱 사용 가치를 잃었다. 유성룡에게 타점으로도, 효과의 범용성으로도 밀리며 무엇보다 소재가 너무 무겁다. 유성룡은 소재로 일반 몬스터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듀얼 몬스터 역시 소재로 삼을 수 있다는 점에서 사실상 이 카드의 개선판이라고 보아도 되는 수준. 따라서, 게임의 승리보단 다양한 붉은 눈 카드의 활용을 지향하는 몇몇 덱들을 제외한 일반적인 붉은 눈 계열 덱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는 카드가 되었다. 하지만 [[듀얼 링크스]]의 경우엔 상황이 다르다. LP가 4000으로 시작하는 듀얼 링크스에서는 효과들의 위력이 훨씬 강력하기 때문. 3200 타점 + 전투 시 효과 발동 차단 + 효과 데미지로 원 턴 킬도 가능한 수준이다. 이 카드는 다른 붉은 눈 몬스터보다 늦은 시기인 [[CHAOTIC SOLDIERS]]에서 출시되었는데, 상술한 이유로 듀얼 링크스에서는 너무 강한 카드기에 출시가 늦어진 것으로 보인다. 링크스의 효과 데미지 조정의 영향으로 데미지 수치가 절반으로 줄었음에도 실제로도 우수한 카드다.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CLASH OF REBELLION]] || CORE-JP048 || [[울트라 레어]][br][[얼티밋 레어]][br][[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 || CORE-KR048 || [[울트라 레어]][br][[얼티밋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마법 카드 == === [[헤르모스의 발톱]] === [[붉은 눈의 흑룡검]]의 소환에 필요한 카드. === 홍옥의 패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259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홍옥의 패, 일어판명칭=紅玉(こうぎょく)宝札(ほうさつ), 영어판명칭=Cards Of The Red Stone, 마법=, 일반=, 효과외1="홍옥의 패"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 효과1=①: 패에서 레벨 7 의 "붉은 눈"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덱에서 2장 드로우한다. 그 후\, 덱에서 레벨 7 의 "붉은 눈"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낼 수 있다.)] 패 교환에 덤핑까지 해주니 고성능 카드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실상은 비트 다운 붉은 눈에서 쓰는 레벨 7 몬스터는 원본 [[붉은 눈의 흑룡]]과 [[붉은 눈의 흑염룡]], [[붉은 눈의 아흑룡]] 3종 중 레벨 7 몬스터는 패에서 쓸 수 있는건 붉은 눈의 아흑룡 하나 뿐이다. 어차피 덤핑이야 붉은 눈 인사이트와 [[붉은 눈 융합]]이 넘치도록 해주며 더 묘지로 보낼 이유도 필요도 없다. 그리고 붉은 눈 덱은 애초에 저 3장을 9장까지 꽉 채워서 넣지도 않는다. 차라리 코스트 조건을 '레벨 5 이상 붉은 눈 몬스터'으로 해주었다면 패에 들어온 [[붉은 눈의 흉뢰황-이블 데몬]], [[붉은 눈의 흉성룡-메테오 드래곤]]도 처리할 수 있어 효율성이 더 높았을 것이기에 명백히 아쉬운 부분. 다만 [[붉은 눈의 흑인룡]]과 [[붉은 눈의 아흑룡]]의 출시로 인하여 붉은 눈의 흑룡의 중요도가 상승하고 붉은 눈의 아흑룡도 레벨 7라 이 카드로 묘지로 보낼 레벨 7 붉은 눈 몬스터의 수도 늘어나 현재에는 효율이 아주 조금이나마 오르기는 하였다. 그 외에는 [[붉은 눈의 불사룡]]과 [[Sin 붉은 눈의 흑룡]]도 묘지로 보낼 수 있기는 하지만 딱히 큰 의미는 없다. Sin 붉은 눈의 흑룡은 수호 붉은 눈에서 의외의 수요가 있으나 붉은 눈의 덤핑 자체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덱이나 다름없고, 그나마 [[붉은 눈의 불사룡]]의 경우 묘지 소생이 쉬운 언데드족임을 살려 묘지로 보내고 쓸만하겠지만 효과가 제한적이라 언데드족 덱에서도 잘 쓰이지 않기에 이 카드를 투입할 사람은 없다. 그 외 단점으론 먼저 드로우하고 묘지로 보내기 때문에, 운이 없다면 묘지로 보내려고 한 레벨 7 붉은 눈 몬스터가 패에 잡힐 수도 있다는 것이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선 붉은 눈을 1티어로 만든 공신이었다. 덱 20장인 듀얼링크스 특성상 붉은 눈의 흑룡이랑 [[붉은 눈의 불사룡]]이 패에 매우 잘 잡히고, [[우두귀]]까지 용병으로 투입해 붉은 눈 전개를 보조한다. 무엇보다도 이 카드가 나올 당시에는 아직 [[트레이드 인]]같은 카드와 덤핑 카드가 전혀 없었기 때문. 일러스트에선 [[전설의 흑석]]의 내부에서부터 강렬한 빛이 새어나오고 있다. 때문에 일러스트만 보면 [[전설의 백석]]과 달리 [[조화의 패]]를 쓰지 못하는 전설의 흑석을 위한 거 같지만 붉은 눈 서포트라는 점을 제외하면 딱히 접점은 없다. 굳이 시너지를 찾자면 전설의 흑석을 패로 되돌리는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덱으로 되돌릴 붉은 눈의 흑룡을 묘지로 보내는 정도.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CLASH OF REBELLION]] || CORE-JP060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CLASH OF REBELLION]] || CORE-EN060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 || CORE-KR060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흑염탄]] === [[붉은 눈의 흑룡]]의 [[필살기 카드]]. 붉은 눈의 흑룡의 공격명이기도 하다. === [[흑룡강림]] === [[나이트 오브 블랙 드래곤]]을 의식 소환하는데 사용하는 카드.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붉은 눈, version=774)]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아기 흑룡,version=48, title2=전설의 흑석,version2=59, title3=블랙 메탈 드래곤,version3=56, title4=유성룡 메테오 블랙 드래곤,version4=154, title5=악마룡 블랙 데몬즈 드래곤,version5=118, title6=홍옥의 패, version6=56)] [[분류:붉은 눈]][[분류:유희왕/OCG/카드군/서포트 카드]][[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