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붉은 눈)] [include(틀:텐죠인 후부키 덱 관련 문서)] ||<#0d1e2c>
'''{{{#!html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RedEyesDarknessMetalDragon-JP-Anime-GX-NC.png|width=100%]]}}} || ||<:><#211924> {{{#bf3410 난...[[마법반사장갑 메탈플러스|{{{#bf3410 마법반사장갑 메탈플러스}}}]]와 [[붉은 눈의 암룡|{{{#bf3410 붉은 눈의 암룡}}}]]을 제물로.. 나와라! [br]'''{{{#!html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 ||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애니 레다메.pn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 소환=, 효과=, 한글판명칭=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 (미방영\, 비공식 번역), 일어판명칭=レッドアイズ・ダークネスメタルドラゴン, 영어판명칭=Red-Eyes Darkness Metal Dragon, 속성=어둠, 레벨=10, 공격력=2800, 수비력=2400, 종족=드래곤족, 효과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마법반사장갑 메탈플러스"를 장착한 "붉은 눈의 암룡"을 릴리스했을 경우에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자신 묘지의 드래곤족 몬스터의 수 × 400 올린다. 이 카드를 대상으로 하는 마법 카드가 발동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마법 카드가 발동했을 때\, 패를 1장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가 필드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경우\,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다크니스 편|다크니스 편]] 159화에서 [[다크니스(유희왕)|다크니스]]에 빙의된 [[텐죠인 후부키]]가 사용. [[붉은 눈의 암룡]]의 [[메탈화 마법반사장갑|메탈화]] 버전. 공격력을 4400까지 끌어올려[* 소환됐을 때부터 [[아기 흑룡]], [[붉은 눈의 흑룡]], [[붉은 눈의 암룡]]이 묘지에 있었으며, 효과 발동을 위한 코스트로 패의 [[그랜드 드래곤]]을 묘지로 보내 공격력을 올렸다.] [[유우키 쥬다이]]를 몰아넣었으나 [[히어로즈 룰 2|히어로즈 룰 1]]의 효과로 공격력이 원래대로 돌아갔고, [[네오스|네오스페이스]]와 [[히어로 플래시!!|H-히트 하트]]의 효과로 공격력이 3500이 된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의 공격에 파괴되며, LP가 딱 0이 된 후부키는 듀얼에서 패배했다. 이후 후부키는 [[후지와라 유스케]]에 대한 기억을 떠올린다. [[붉은 눈의 흑룡]]으로 [[메탈 붉은 눈의 흑룡]]을 불러낼 때와 같은 방법을, [[붉은 눈의 암룡]]에게 쓰는 정말 까다로운 방법으로만 불러낼 수 있기에 레벨과 능력치 상승 관계가 같다. 원작 효과는 붉은 눈의 암룡보다 수치가 살짝 올라 자신 묘지의 드래곤족 몬스터 1장당 공격력이 400 오르는 효과가 있으며, 추가로 이 카드를 대상으로 하는 마법 카드를 무효화하고 패에서 카드 1장을 버리는 것으로 아무 마법이나 발동을 무효화하고 파괴하는 강력한 마법 내성 효과를 지녔다. 문제는 효과와 공격력이, 같은 어둠 속성인 [[초마도검사 블랙 파라딘]]의 하위 호환이란 것. 공격명은 '''다크니스 메탈 플레어(Darkness Metal Flare)'''. 마법 무효 효과명은 '''매직 리플렉션(Magic Reflection)'''. '''[[유희왕/원작과 OCG가 매우 다른 카드|이제부터 후술할 카드는 이 카드와는 완전 다른 카드라고 보면 된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 에라타 전(~2020.03.31) ==== [[파일:レッドアイズ・ダークネスメタルドラゴ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 일어판명칭=レッドアイズ・ダークネスメタルドラゴン, 영어판명칭=Red-Eyes Darkness Metal Dragon, 속성=어둠, 레벨=10, 공격력=2800, 수비력=2400, 종족=드래곤족, 효과1=①: 이 카드는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묘지에서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 이외의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 대폭 상향받아 출시 당시부터 유저들을 경악시키는 효과로 등장했다. 마법 내성과 공격력 상승이 사라졌지만, 원작에 비해 말도 안 되게 쉬워진 소환 조건과 막강한 자체 전개 효과를 달고 나오면서 드래곤 덱의 핵심 카드 중 하나가 된다. 말 그대로 그냥 아무 드래곤이나 1장 제외하면 2800짜리 드래곤족 몬스터가 바로 튀어나오고, 심지어 나오고 나서 바로 '''패 / 묘지에서 드래곤족 몬스터가 1장 더 추가로 나올 수 있다.''' 이 카드가 출시된 뒤, 유저들에겐 '드래곤족 덱은 대충 짜도 강하다'는 인식이 어느 정도 퍼졌으며, 과거 [[푸른 눈]] 덱이 [[미래융합-퓨처 퓨전]], [[용의 거울]]과 이 카드를 같이 써서 [[F·G·D]]를 이용한 폭발적인 파워의 원턴킬 덱으로 출세하기도 했다. 이후 등장한 드래곤족 테마들인 [[성각]], [[정룡]] 등을 살펴봐도 딱히 약한 테마가 거의 없고, 당시 환경에서 압도적인 파워를 보여준 것엔 이 카드의 도움이 매우 컸다. 이름이 길어서 흔히 원래 이름인 '레드아이즈 다크니스 메탈 드래곤'을 줄여 쓴 '레다메'로 부른다. 한판이 '붉은 눈'으로 바뀐지라 '[[불닭]]매'라고 불리기도 한다. 일본판 [[리미티드 에디션]] 11에선 해당 팩의 카드들 중 최고가였다. 2010년 1월 28일 발매된 한글판 [[프리미엄 팩]] Vol.4에서 등장, 프리미엄 팩 4의 메인 카드로서 캐치프레이즈는 "프리미엄 레드아이즈로 최강의 승부를 펼쳐라!!!" 일본에선 [[폭탄 드래곤]]과 함께 [[듀얼 터미널]] 8 트리슈라의 고동에서 복각됐지만 문제는 봉입률이 '''800장 중에 1장'''이었다. 그래선지 한국에서 역수출도 된 듯. 이후 2011년 하반기에 스트럭처 덱 [[드래고닉 군단]]이 나오면서 이 카드도 복각됐다. 이 카드의 효과는 [[붉은 눈의 툰 드래곤]]에게 계승되어 한 턴에 한 번, 붉은 눈의 툰 드래곤 이외의 툰 몬스터를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하는 효과로 이용되었다. '''수록 팩 일람 (에라타 전)'''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Vol.4 || PP04-KR014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드래고닉 군단]]- || SD22-KR013 || [[노멀]] || 한국 || 카드명 에라타[br]텍스트 에라타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R -[[거신룡의 부활]]- || SR02-KR008 || [[노멀]] [[패러렐 레어]] || 한국 || || || [[애니버서리 팩|크로니클 팩 1st WAVE]] || 20AP-KR047 || [[노멀]] [[패러렐 레어]] || 한국 || || || [[링크 브레인즈 팩]] || LVP1-KR035 || [[노멀]] || 한국 || || || [[더 레어리티 컬렉션]] || TRC1-KR010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 || [[리미티드 에디션|LIMITED EDITION]] 11 || LE11-JP001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듀얼 터미널 8 -트리슈라의 고동!!-]] || DT08-JP010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노멀 레어]] || 일본 || 절판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드래고닉 군단|ドラゴニック・レギオン]]- || SD22-JP013 || [[노멀]] || 일본 || || || [[더 레어리티 컬렉션|THE RARITY COLLECTION]] || TRC1-JP010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br][[컬렉터즈 레어]]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R -[[거신룡의 부활|巨神竜復活]]- || SR02-JP008 || [[노멀]] [[패러렐 레어]] || 일본 || || || [[애니버서리 팩|20th ANNIVERSARY PACK 1st WAVE]] || 20AP-JP047 || [[노멀]] [[패러렐 레어]] || 일본 || || || [[링크 브레인즈 팩|LINK VRAINS PACK]] || LVP1-JP035 || [[노멀]] || 일본 || || || Shonen Jump Subscription Promotional Card(2009년 2월) || JUMP-EN030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br]절판 || || [[절대적인 힘|Absolute Powerforce]]: Special Edition || ABPF-ENSE2 || [[슈퍼 레어]] || 미국 || ||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4 || DT04-EN060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노멀]]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드래고닉 군단|Dragons Collide]] || SDDC-EN013 || [[노멀]] || 미국 || || || Legendary Collection 4: Joey's World Mega Pack || LCJW-EN050 || [[시크릿 레어]]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거신룡의 부활|Rise of the True Dragons]] || SR02-EN009 || [[노멀]] || 미국 || || || Duelist Saga || DUSA-EN068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성능 및 전성기 ===== 파워 자체는 뛰어나지만 물량 전개 면에서 조금은 아쉽다는 평을 받던 드래곤족 덱의 전개력을 악마란 소리가 나올 만큼 끌어올린 일등 공신. 공격력 / 수비력 모두 뛰어나지만, 이 카드의 진정한 강점은 그 효과에 있다. 일단 소환 제약도 없는데 자체 특수 효과까지 있어서 소환이 매우 쉽다. 거기에 1턴에 1번, 자신의 메인 페이즈에 패 / 묘지에서 드래곤족 몬스터를 1장 '''아무 제약 없이 특수 소환할 수 있게 하는''' 이 효과로 인해 가뜩이나 미칠 듯한 공격력을 자랑하는 드래곤족은 흉악한 필드 장악력까지 얻었다. 게다가 이 녀석의 효과는 대상 지정도 안 하기에 [[히어로즈 룰 2]], [[엔드 오브 아누비스]] 등 묘지의 카드를 대상으로 하는 걸 막는 효과가 안 통하며, [[마인드 크러시]]로 패를 털어봤자 그 패는 버려져 묘지로 가니 무의미하다. [[D.D. 크로우]]로 그 몬스터를 제외해도 다른 드래곤족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면 끝. [[왕가의 골짜기-네크로밸리]]로 묘지를 막아버려도 패에서 특수 소환은 여전히 가능하다. [[소생 제한 룰]]을 만족하면 특수 소환 / 엑스트라 덱 드래곤족 몬스터도 당연히 꺼낼 수 있고, [[용마인 킹드라군]]의 효과로 패에서 다시 이 카드를 부르고 하는 식을 반복하면 1턴 만에 필드가 가득찬 모습을 볼 수 있다. 대신 효과 내성은 없다. 쉬운 소환 조건, 최상급 스펙, 매턴 제약 없는 추가 전개 효과를 가진 녀석이 내성까지 있으면 그건 그냥 사기다. [[미래융합-퓨처 퓨전]]으로 [[F·G·D]]를 지정한 후 이 녀석을 포함한 드래곤족 몬스터 5장을 묘지로 보내고 [[죽은 자의 소생]]을 발동해 이 카드를 소생, 이후 묘지에서 [[머티리얼 드래곤]] 등을 살려내 우선적으로 파괴부터 막는 수도 있고, [[푸른 눈의 백룡]] 같은 최상급 어태커를 불러내서 공격하는 수도 있다. 패에 이 카드 3장이 잡히면 퓨처 퓨전, F·G·D, [[붉은 눈의 비룡]] 등과 조합해 1턴 만에 상급 드래곤족 몬스터 4장을 늘어놓을 수 있었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퓨처 퓨전을 지켜내며 1턴을 버티면 공격력 5000의 F·G·D가 필드에 왕림한다. ===== 몰락 ===== [[마스터 룰]] 2의 출범과 가까운 시기, [[신의 경고]]나 [[인벨즈 로치]] 같은 카드가 늘어나면서 특수 소환과 유지가 어려워지고, 함정 카드의 사용이 굉장히 늘어난 환경이 되자 이 카드는 이전처럼 힘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됐다. 거기에 기동 효과 우선 선언권이 사라지면서 [[나락의 함정 속으로]] 때문에 효과도 못 쓰고 사라지는 꼴도 흔해졌다. 거기에 고속 전개와 마법 / 함정 견제가 유행이 되면서 제한 카드인 퓨처 퓨전에 안정성 면에서 기대기 힘들어졌다. 거기에 TCG에선 묘지기가 강화되면서 판을 쳤기에 퓨처 퓨전이 사실상 봉쇄됐다. 옛날 같으면 그나마 [[봉인의 황금궤]]를 통해 서치한 후에 게임을 끝낼 수 있었지만, [[진 여섯 무사-Shi En]]과 같이 앞서 말한 마법 / 함정 / 특수 소환 견제 때문에 퓨처 퓨전이 3차례 지난 후에 제대로 작동해 필드를 장악할 가능성이 없어졌다. 애초에 3턴이면 붉은 눈과 다른 [[스타더스트 드래곤|또 다른 가능성의 상징]]의 [[슈팅 퀘이사 드래곤|최종 진화체]]가 나오기에 충분하고도 남은 시간이다. 드래곤족 유저들은 새로 나온 여러 가지 카드들을 써가며 약점을 보완해 나갔다. [[용의 계곡]]과 같은 카드를 통해 네크로밸리를 없앰과 동시에 퓨처 퓨전의 부족한 속도를 메꿔나갔다. [[신의 경고]]를 회피하기 위해 [[어보이드 드래곤]]을 활용하거나, 공격 반응형 함정을 회피하기 위해 [[미라지 드래곤]]을 재발굴해 내는 등의 노력이 있었다. 더 빠른 덱이 나타나면서 옛날만큼 압도적이고 폭발적인 위력을 가지지 못했지만, 그 대신에 어보이드 드래곤, 함정 카드, 미라지 드래곤, [[머티리얼 드래곤]]을 통해 안정성을 얻었다. ===== 다시 찾아온 전성기 ===== 이런저런 드래곤족들을 모아 싸우는 전형적인 드래곤족 비트 다운 덱은 변화를 도모하며 적응해 나가긴 했지만 전성기보다 못한 수준이었다. 그러다 본격적인 드래곤족 테마 덱 [[성각]]의 출현으로 이 카드는 예전의 영광을 되찾았다. 성각룡왕-아툼스의 효과로 '''덱에서 바로 특수 소환해서''' 대량 전개를 놓을 수 있기 때문이다. 비록 능력치는 0이 되지만, 어차피 효과 다 쓴 2장으로 [[초노급포탑열차 구스타프 맥스]]를 엑시즈 소환하면 그만이다. 뒤이어 [[이클립스 와이반]]과 [[라이트펄서 드래곤]], 그리고 [[다크 플레어 드래곤]]이 등장하면서 카오스 드래곤 덱이 형성됐고, 이 덱에서도 이 카드는 대활약했다. 아예 [[드래고닉 군단|해당 스트럭처 덱]]에 이 카드가 수록될 정도로, 이 카드와 같이 쓰라고 나온 듯한 효과를 지녔다. 이클립스 와이반을 어떻게든 묘지로 보내면 이 카드를 제외하고, 이클립스 와이반을 카오스 계열의 특수 소환을 위해 제외하면 이 카드를 서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라이트펄서 드래곤이 죽으면 즉시 그 효과로 되살릴 수 있고, 이 카드의 효과로 바로 라이트펄서 드래곤을 소생시킬 수 있기에 상당히 뚫기 힘든 락이 형성되는 건 물론이고 드래곤족의 역동적인 전개에 더더욱 박차를 가했다. ===== 금지 ===== 이렇게 다시 드래곤 덱이 전성기를 되찾는가 싶더니, 이 두 덱이 너무 사기란 이유로 2012년 9월 처음으로 제한이 됐다. 덕분에 초노급포탑열차 구스타프 맥스를 소환할 주요 루트를 잃은 성각은 이것만으로 치명타를 입었다. 뿐만 아니라 [[미래융합-퓨처 퓨전]]도 금지되면서 카오스 드래곤 덱도 완전히 몰락. 하지만 2013년 초, [[정룡]]들이 출현하면서 순식간에 듀얼 환경을 장악해 버리면서 막장화시켰고, 당연히 이 드래곤족이 부른 개판에 드래곤족의 필수 요소인 이 카드가 빠질 리 없었다. 가뜩이나 묘지에서 끝없이 부활하는 정룡들을 이 녀석까지 가세해 묘지에서 건져내고 앉았으니, 상대 입장에선 지옥이 따로 없을 것이다. 게다가 이 카드의 유일한 단점이 소환을 위해 필드의 드래곤을 제외해 재활용을 힘들게 한다는 것이었는데, 정룡이 이 단점을 완벽히 보완해 줬다. 이후 어른 정룡들은 금지됐다. 2016년 4월 금제로 드래곤족 덱인 푸른 눈 덱이 티어권으로 올라왔지만 거의 모든 드래곤 덱에서 쓰이던 이 카드는 유난히 백룡 덱에선 잘 안 쓰였다. 푸른 눈 덱에서 쓰인 드래곤들이 대부분 대형 드래곤들이며 이 카드가 없어도 소환이 간편하고 저레벨 드래곤족이라고 해봐야 묘지로 가야 하는 [[전설의 백석]]들이라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할 때 쓸 제외용 드래곤족이 없기 때문인 듯하다. 10기 환경에 등장한 어둠 속성 / 드래곤족인 [[바렛(유희왕/카드군)|바렛]] 덱에서도 쓸만했던 카드. 특수 소환 제약이 있는 경우가 아니면 레벨이든 랭크든 링크든 제약 없이 몬스터를 부활할 수 있기에 묘지의 [[바렐로드 드래곤]], [[바렐스워드 드래곤]] 같은 링크 몬스터들도 다시 꺼내올 수 있다. 드래곤족 범용 지원인 [[수호룡(유희왕)|수호룡]]의 발매 이후 [[드래곤 링크(유희왕)|드래곤 링크]] 계열 덱에서 핵심 카드로 활약하며 간간이 입상했으나, 2019년 4월 [[파멸룡 간드라X]] 원턴킬의 중요 파츠가 되면서 금지됐다. 이로 인해 드래곤 링크 계열 덱은 덱의 핵심 전개 파츠를 잃고 큰 타격을 입었다. 파멸룡 간드라X도 2019년 7월에 금지됐다. ==== 에라타 후(2020.04.01~) ==== [[파일:레다메 신규일러.jpg|width=55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 일어판명칭=レッドアイズ・ダークネスメタルドラゴン, 영어판명칭=Red-Eyes Darkness Metal Dragon, 속성=어둠, 레벨=10, 공격력=2800, 수비력=2400, 종족=드래곤족, 효과1=이 카드명의\, ①의 방법에 의한 특수 소환은 1턴에 1번밖에 할 수 없으며\,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2=①: 이 카드는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3=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묘지에서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 이외의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 [[다크 다이브 봄버]]와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 -종언-]]이 그랬던 것처럼, 퍼펙트 룰북 2020 부록 카드로 에라타돼 제한 카드가 됐다. 소환 조건 / 특수 효과 전부 명칭과 턴 제약이 붙었다. 기존 일러스트는 물론 신규 일러스트로도 나왔으며, 밑의 배경은 칠정문의 열쇠다. 수호룡 엘피가 금지 카드가 된 후 덱에서 꺼내기 힘들어져서 예전보단 위력이 약해졌다. [[고요우 가디언]]처럼 TCG에선 이 카드가 금지 카드가 아닌데도 에라타했다. 여전히 효과 자체는 쓸만하지만 이전의 사기적인 효과에서 적당히 약해졌기 때문인지 21년 10월부터 준제한으로 완화되었고, 22년부터는 완전히 석방 판정을 받았다. '''수록 팩 일람 (에라타 후)'''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Vol.15]] || PP15-KR053 || [[노멀]] [[패러렐 레어]][br]엑스트라 [[시크릿 레어]] || 한국 || || || [[V점프]] 북스 유희왕 오피셜 카드 게임 퍼펙트 룰북 2020 부록 카드 || RB06-JP001 || [[노멀]] [[패러렐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 - ALBA STRIKE - || SD43-JP007 || || 일본 || || || Legendary Duelists: Season 1 || LDS1-EN004 || [[노멀]] || 미국 || || || 新手卡组2020 牌组强化包 || ST20-SCP03 || [[시크릿 레어]] || 중국 || 중국 최초수록 || || [[더 레어리티 컬렉션|稀有典藏包]] || TRC1-SC010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br][[컬렉터즈 레어]] || 중국 || || == 기타 == 효과도 우월하고 소환도 훨씬 더 간단한 이 카드의 등장으로, [[용마인 킹드라군]]은 거의 묻혀버렸다. 월드 챔피언십 2011에선 CPU로 등장해 드래곤 덱을 들고 나왔는데, 이 드래곤 덱의 이름이 '''[[노다메 칸타빌레|레다메 칸타빌레]]'''다. 링크 몬스터인 [[암강룡 암흑 메탈]]로 리메이크됐다. 제외 존에서도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있게 됐지만, 효과가 무효화되는 단점 + 링크 몬스터 소환 불가 디메리트가 생겨버렸고, 붉은 눈과의 관계가 사라졌다. 이 카드와 비슷한 효과를 가진 카드로 [[기가플랜트]]가 있는데, 듀얼이지만 이 카드와 효과가 같고 곤충족 / 식물족을 지정하기에 이 카드의 식물족 형태라고도 불린다. 스트럭처 덱 [[알버스트라이크]]의 발매 당시 첫 후라게 목록에 포함된 11장의 재록 카드 중 유일하게 낙윤 스토리와 관계가 없는 카드여서 해당 스토리의 주인공 알버스와 에클레시아의 모험의 동료라는 밈이 나온적도 있다.[[https://yugioh-starlight.com/lite/archives/56177957/comments/2943788/|#]] [[https://twitter.com/hyper_PiBiCi/status/1451174383192473603|##]] === 한글판 명칭 === [[파일:한판최초레다메.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레드아이즈 다크니스 메탈드래곤, 일어판명칭=レッドアイズ・ダークネスメタルドラゴン, 영어판명칭=Red-Eyes Darkness Metal Dragon, 속성=어둠, 레벨=10, 공격력=2800, 수비력=2400, 종족=드래곤족, 효과1=이 카드는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1턴에 1번\, 자신의 메인 페이즈 시에 패 또는 자신의 묘지에서 "레드아이즈 다크니스 메탈 드래곤" 이외의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자신 필드 위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 국내판 최초 발매 당시의 번역 이 카드가 발매되기 전 유희왕 온라인에서 확인된 최초의 공식 한칭은 "레드아이즈 다크니스 '''멘'''탈 드래곤". 두벌식 자판 기준으로 ㄴ와 ㅌ이 붙어 있어서 발생한 단순 오타로 보인다. [[유희왕 5D's 스타더스트 엑셀러레이터]]와 [[프리미엄 팩]]에서의 실제 발매 카드는 '''레드아이즈 다크니스 메탈드래곤'''으로 등장했지만, 이렇게 되면 국내판 텍스트 기준으로 '붉은 눈'을 효과 대상으로 하는 [[붉은 눈의 비룡]]의 효과 대상이 안 되기에 '''카드명'''이 '''붉은 눈의 다크니스 메탈 드래곤'''으로 에라타됐다. 공식 홈페이지의 공지에 기존의 명칭도 지워지지 않은 걸 봐선 '루비' 비슷한 취급인 듯하다. 아마 붉은 눈의 비룡의 텍스트가 붉은 눈의→붉은 눈의(레드아이즈)로 에라타돼 그런 듯하다. 근데 이게 끝이 아니었다. 그 후 [[유희왕 5D's 리버스 오브 아르카디아]]의 한글판에선 이름이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으로 다시 바뀌어 있었다. 사실 이 게임이 [[나츄르]]를 '''네츄르'''라고 써 놓는 등 미묘한 번역이 있었고 실물이 나올 때 제대로 고쳐진 것도 있지만, 이쪽은 별문제가 없다고 생각했는지 이 카드가 재록된 [[드래고닉 군단]]의 한글판 리스트가 뜨자 거기 쓰인 이름은 저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이었다. 일단 틀린 번역은 아니지만 지금까지 레다메로 불러오던 사람들에겐 좀 어색할 듯. [[메탈 붉은 눈의 흑룡]]의 경우와 [[붉은 눈의 암룡]]의 경우를 생각하면 정확한 번역명은 '''메탈 붉은 눈의 암룡'''이 돼야 할 것 같지만 그러기도 애매한 게, [[붉은 눈의 암룡]]의 일본어 이름은 真紅眼の闇竜(レッドアイズ・ダークネスドラゴン)인데, レッドアイズ・ダークネスメタルドラゴン엔 レッドアイズ・ダークネスドラゴン도 真紅眼の闇竜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애초에 메탈 붉은 눈의 흑룡도 일판명은 '''レッドアイズ・ブラックメタルドラゴン(레드아이즈 블랙 메탈 드래곤)'''이라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으로 번역하는 것이 맞긴 했다. == 관련 카드 == === OCG화된 카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붉은 눈(유희왕))] === [[유희왕/OCG화되지 않은 카드|OCG화되지 않은 카드]] === ==== [[마법반사장갑 메탈플러스]] ==== [각주] [[분류:붉은 눈]][[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