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원작의 붉은 연기의 텐우, rd1=음영파, paragraph1=4.1)] [include(틀:하스스톤/직업 전설/광기의 다크문 축제)] [include(틀:도적(하스스톤))] [목차] == 개요 == ||<-6> || || '''한글명''' || 붉은 연기의 텐우 ||<-4><|8> [[파일:붉은 연기의 텐우.png|width=200]] || || '''영문명''' || Tenwu of the Red Smoke || || '''카드 세트''' || 광기의 다크문 축제 || || '''카드 종류''' || 하수인 || || '''등급''' || {{{#ffa500 전설}}} || || '''직업 제한''' || {{{#black 도적}}} || || '''종족''' || - || || '''[[https://cards.hearthpwn.com/enUS/webms/DMF_071.webm?72661|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 '''비용''' || 2 || '''공격력''' || 3 || '''생명력''' || 2 || || '''효과''' ||<-5>'''전투의 함성:''' 아군 하수인을 내 손으로 다시 가져옵니다. 이번 턴에 그 하수인의 비용이 (1)이 됩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5>빨간색과 모자를 좋아하지만, [[빨간 모자]]라고 부르시면 곤란합니다.[br]''(Red, the color of subtlety.)'' || >소환: 자, 오십시오. 실력 좀 한 번 봅시다. ''(Come, friend. Let's see what you got.)''[* 인정받은 실력자 퀘스트를 위해 텐우에게 말을 걸었을 때의 대사.] >공격: 잿더미만 남겠군요. ''(Nothing but smoke!)'' 소환 시 음악은 [[석양문]] 음악이다. [[https://youtu.be/UeyhNQg8lPU?t=4m30s|4분 30초부터]]. == 상세 == [[하스스톤]] 확장팩 [[광기의 다크문 축제]]의 도적 전설 카드이다. [[음영파]] 중에서도 잠입, 암살, 추적을 주특기로 하는 유파인 우 카오 소속의 '''붉은 연기의 텐우'''다. 전투의 함성으로 다른 아군 하수인을 선택해 내 손으로 가져오고 그 하수인의 비용을 이번 턴에만 1로 만든다, 당연히 이번 턴에만이니 턴이 지나면 그 하수인의 비용은 원래대로 돌아간다. 비용이 1이되는 효과의 이름은 '붉은 불'. == 평가 == === 출시 전 === 0코 하수인을 올리지 않는 한 [[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일반 등급#s-2.3.6|젊은 양조사]]의 상위호환으로, 비용이 4 이상인 하수인을 퍼올리면 [[도적(하스스톤)/카드일람#s-2.1|그림자 밟기]]보다도 더 많은 비용을 줄여준다. 하지만 비용 감소는 '''이번 턴에만 적용되기 때문에''' 전함 하수인을 들었다가 바로 던져서 이득을 보지 않는다면 빛이 좀 바래는 편. 때문에 [[이름 없는 자]] 처럼 도적이라면 무조건 넣고 보는 카드가 될 것이라는 의견이 주를 이루지만, 그림자 밟기의 범용성을 따라가긴 힘들기 때문에 약간 강한 양조사 수준에 그칠지도 모른다는 소수의견 역시 존재한다. === 출시 후 === 성능 자체에 대한 불만은 없지만 시너지가 좋은 덱이 딱히 없고 비슷한 역할을 하는 속여우와 그림자 밟기가 워낙 강력한 성능을 보여서 확장팩 출시 이전에 모든 덱에서 쓰일 것이라는 의견과는 다르게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다. [[그림자보석공 하나르|하나르]]를 넣는 미라클 도적 계열에서는 쓰지 않고 갈라크론드 도적에서 취향에 따라 가끔씩 투입하는 정도다. [[불모의 땅(하스스톤)|불모의 땅]]에서는 드디어 텐우와 가장 어울리는 '전함이고, 무거우면서, 효과도 강력한 카드'인 [[생명의 어머니 알렉스트라자]]가 등장. 둘을 연계하여 피니시를 넣는 용도로 미라클 도적이 사용한다. 만약 그밟 2장을 들고 있으면서 알렉과 텐우 둘 다 문어로봇을 통해 2코스트를 줄여뒀다면 7코 알렉 - 0코 텐우 - 1코 알렉 - 그밟 0코 텐우 - 1코 알렉 - 그밟 0코 텐우 - 1코 알렉으로 무려 '''10코스트 32딜 피니시'''까지도 이론상 가능하다. 방어도가 없는 직업 상대로는 원콤을 낼 수 있다! [[가라앉은 도시로의 항해]] 발매 직전 메타에서는 1티어로 떠오른 [[SI:7(하스스톤)|SI:7]] 도적 덱에서 채용된다. SI:7 카드를 포함해서 해당 덱에 들어가는 카드 중에는 퍼올리면 한 번 더 쓸 수 있는 [[전투의 함성]], [[연계(하스스톤)|연계]]카드나 다시 숨을 수 있는 [[은신(하스스톤)|은신]] 카드가 많기 때문. 야생에서는 유령 강탈자 otk도적에서 [[스캡스 커터버터]]나 유령강탈자를 다시 가져와서 최대한 많은 카드를 던지는 용도로 사용한다. == 기타 == 당연하게도 확장팩 배경인 다크문 축제와는 관련이 없고, [[고대 신]]과의 연관이라 할 것도 그나마 [[니우짜오 사원 공성전투]]에서 고대 신들의 수하인 [[사마귀족|사마귀]]들의 공격을 방어한 거 빼고는 없다. 사실 [[아노말루스]]처럼 하스스톤에서 확장팩 테마와 아주 미미한 연관을 가졌는데도 출시된 와우 출신 전설은 이전에도 있었다. 게임판에 나올 때 다른 하수인보다 크기가 약간 커지는 버그가 있으며 스톰윈드 패치 시점까지도 고쳐지지 않았다. [[분류:하스스톤/카드/무종족 하수인]][[분류:판다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