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붕괴3rd]][[분류:게임 음악]] [include(틀:붕괴3rd)] [목차] == 개요 == 붕괴3rd OST들을 정리한 문서. 모든 음악의 제작 및 배급은 HOYO-MiX에서 담당한다. == 게임 OST == === Impact === ||<-3>
'''앨범 재킷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pact 표지.png|width=100%&align=center]]}}} || ||<-2> 발매일 || 2018년 1월 19일 || ||<-2> 영상 || [[https://m.bilibili.com/video/BV1vs411P7Nc|Playlist]] || ||<-3> 트랙 리스트[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27px;" {{{#!folding [ Disc 1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트랙 || 곡명 || 비고 || || 01 ||Startover ||- || || 02 ||崩坏世界の歌姬 ||- || || 03 ||Cometh ||- || || 04 ||Ark ||- || || 05 ||Another ||- || || 06 ||Lighting ||- || || 07 ||Karame ||- || || 08 ||Pas ||- || || 09 ||Rage ||- || || 10 ||ACE ||- || || 11 ||Pre-Pro ||- || || 12 ||Warning ||- || || 13 ||Nitro ||- || || 14 ||Cross ||- || || 15 ||Echo ||- || || 16 ||SAVA ||- || || 17 ||Y ||- || || 18 ||MallX ||- || || 19 ||Grow ||- || || 20 ||Lift ||- || || 21 ||EVO ||- || || 22 ||Flyby ||- || || 23 ||Destiny ||- || || 24 ||MACH ||- || || 25 ||Gion ||- || || 26 ||Rebirth ||- || || 27 ||Girl Inside ||- || || 28 ||Reburn ||단편 애니메이션 [[https://youtu.be/SIWrnuVy9eM?si=t7o90pmdtbH6N10_|[Reburn\]]] 삽입곡 || || 29 ||千年之羽 ||- || || 30 ||Befall ||단편 애니메이션 [[https://youtu.be/9DPZ9WVbST4?si=oX06W_jCTWVg52AQ|[여왕강림\]]] 삽입곡 || }}}}}}}}} || === Onwards === ||<-3>
'''앨범 재킷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nwards 표지.jpg|width=100%&align=center]]}}} || ||<-2> 발매일 || 2019년 7월 5일 || ||<-2> 영상 ||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BO2h-GzDvIZijByji8HYDagNmOAd3sw8&si=RtF3AjP0vTTsci0G|Playlist]] || ||<-3> 트랙 리스트[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27px;" {{{#!folding [ Disc 1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트랙 || 곡명 || 비고 || || 01 ||Cyberangel ||단편 애니메이션 [[https://youtu.be/Zdb7_xnv_Oc?si=bfwV6mgw7JhgPLz9|[Cyberangel: Zero Exception\]]] 삽입곡 || || 02 ||Cyberangel (Instrumental) ||- || || 03 ||Nightglow ||단편 애니메이션 [[https://youtu.be/ByaThEGPN9Q?si=bWPqpCalrLAW-9KY|[마지막 수업\]]] 삽입곡 || || 04 ||Dragon ||- || || 05 ||Routine ||- || || 06 ||Rave ||- || || 07 ||Revolt ||- || || 08 ||Raid ||- || || 09 ||Action ||- || ||10 ||Beloved ||- || || 11 ||Mystify ||- || || 12 ||Forbidden || || 13 ||Clouds ||- || || 14 ||Link ||- || || 15 ||Shimmer ||- || || 16 ||Moonrise ||- || || 17 ||Crush ||- || || 18 ||Bamboo ||- || || 19 ||Katana ||- || || 20 ||Shrine ||- || || 21 ||Shuttle ||- || || 22 ||Mist ||- || || 23 ||Dogfight ||- || || 24 ||Empty ||- || || 25 ||Colossus ||- || || 26 ||Elsewhere ||- || || 27 ||Quell ||- || || 28 ||Snowfield || || 29 ||Trace ||- || || 30 ||Gion2 ||- || || 31 ||Nightglow (Instrumental) ||- || || 32 ||Lyin (See you in the next world) ||- || }}}}}}}}} || === 붕괴후서 === ||<-3>
'''앨범 재킷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붕괴후서 표지.jpg|width=100%&align=center]]}}} || ||<-2> 발매일 || 2020년 4월 17일 || ||<-2> 영상 ||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fSLZ7chg2GIFQHUCfyL7WfAd_GKuLE8n&si=y1oXDyj6WcwH6KQh|Playlist]] || ||<-3> 트랙 리스트[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27px;" {{{#!folding [ Disc 1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트랙 || 곡명 || 비고 || || 01 ||Nihilism ||- || || 02 ||Kra ||- || || 03 ||The Fool ||- || || 04 ||Noitats ||- || || 05 ||The Emperor ||- || || 06 ||Revir ||- || || 07 ||Sniur ||- || || 08 ||Hcruhc ||- || || 09 ||Htaed ||- || || 10 ||Death Fly || || 11 ||Ortem ||- || || 12 ||The Chariot ||- || || 13 ||Egdirb ||- || || 14 ||Tnemegduj ||- || || 15 ||Judgement Knight ||- || || 16 ||Eroc ||- || || 17 ||The World ||- || || 18 ||Oaths ||CodeXX-세계 보스전 삽입곡 || }}}}}}}}} || === Review === ||<-3>
'''앨범 재킷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view 표지.jpg|width=100%&align=center]]}}} || ||<-2> 발매일 || 2020년 7월 3일 || ||<-2> 영상 || [[https://youtube.com/playlist?list=OLAK5uy_lKBY7eJEILfIFlv_YxW8cHUDavY5Ku3s4&si=9MJPhmnBY0Ztn5BV|Playlist]] || ||<-3> 트랙 리스트[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27px;" {{{#!folding [ Disc 1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트랙 || 곡명 || 비고 || || 01 ||Honkai World Diva (Movie Ver.) ||단편 애니메이션 [[https://youtu.be/ZDc1lLYtQfk?si=ao71ESQEJWBLbe51|[죄인의 만가\]]] 삽입곡 || || 02 ||Sakura Samsara ||- || || 03 ||A-310 ||- || || 04 ||The Silver Wolf Stirs ||- || || 05 ||Florid Mitama ||- || || 06 ||Imayoh Revival ||- || || 07 ||Lift the Sword of Rebellion ||- || || 08 ||Dragon Hunt ||- || || 09 ||Blazing Flames ||- || || 10 ||Battle of Schicksal ||- || || 11 ||Hail the Queen ||- || || 12 ||Reburn ||- || || 13 ||Vermilion Sword ||- || || 14 ||Arc Stalker ||- || || 15 ||Dark Serpent ||- || || 16 ||Deep Enigma ||- || || 17 ||Dreams of Gemina ||- || || 18 ||Undine's Phantasm ||- || || 19 ||Cyberangel: Zero Exception ||- || || 20 ||Edict of Twilight ||- || || 21 ||Stygian Nymph ||- || || 22 ||Ninja's Noir ||- || || 23 ||Sublime Spring ||- || || 24 ||Dawn of Glory ||- || || 25 ||Starlit Sanctum ||- || || 26 ||Lone Stargazer ||- || }}}}}}}}} || === Yesterday === ||<-3>
'''앨범 재킷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esterday.jpg|width=100%&align=center]]}}} || ||<-2> 발매일 || 2021년 2월 8일 || ||<-2> 영상 || [[https://youtube.com/playlist?list=OLAK5uy_neV_FLB51fQbYGEUPyptnAQA4Ix8yKbGc&si=4yyamJ25VeRYiqGm|Playlist]] || ||<-3> 트랙 리스트[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27px;" {{{#!folding [ Disc 1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트랙 || 곡명 || 비고 || || 01 ||Gathered Pace ||- || || 02 ||Race is on ||- || || 03 ||Sink ||- || || 04 ||Deep Waves ||- || || 05 ||Unknown ||- || || 06 ||Quantum Bomb ||- || || 07 ||Vortex ||- || || 08 ||Loneliness ||- || || 09 ||Paradox ||- || || 10 ||Invert ||- || || 11 ||Bobbish ||- || || 12 ||Carnival ||- || || 13 ||Rewards ||- || || 14 ||Dim Down ||- || || 15 ||Kevin ||- || || 16 ||Ride On ||- || || 17 ||Sandstorm ||- || || 18 ||Distorted Line ||- || || 19 ||Whatnots ||- || || 20 ||DOA ||- || || 21 ||Yesterday ||- || || 22 ||North Wind ||- || || 23 ||Storm ||- || || 24 ||Journey ||- || || 25 ||Interrupts ||- || || 26 ||Nest ||- || || 27 ||Enter Zone ||- || || 28 ||Sora ||- || || 29 ||Kong ||- || || 30 ||Clock ||- || || 31 ||Kcolc ||- || || 32 ||Why ||- || || 33 ||Never Let You Go ||- || || 34 ||Enough ||- || || 35 ||Coral ||- || || 36 ||Xiao ||- || || 37 ||Jiem ||- || || 38 ||Baoc ||- || || 39 ||Pendant ||- || }}}}}}}}} || === Alive === ||<-3>
'''앨범 재킷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붕괴3Alive.jpg|width=100%&align=center]]}}} || ||<-2> 발매일 || 2021년 2월 9일 || ||<-2> 영상 || [[https://youtube.com/playlist?list=OLAK5uy_ndldt4qZjoCvJWgr-pG0h9vHd_50GCVNs|Playlist]] || ||<-3> 트랙 리스트[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27px;" {{{#!folding [ Disc 1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트랙 || 곡명 || 비고 || || 01 ||Fantasy Note ||[[https://youtu.be/Rr386CTqYKU?si=JmSbQFQD6lWyplQm|4.2 PV [환야의 로즈마리] ]] || || 02 ||Mystery ||4.2 이벤트 [로즈마리의 꽃말] 로비 || || 03 ||Holm ||4.2 이벤트 [로즈마리의 꽃말] OST 1 || || 04 ||Es ||4.2 이벤트 [로즈마리의 꽃말] OST 2 || || 05 ||Burn ||4.2 이벤트 [로즈마리의 꽃말] OST 3 || || 06 ||Ann ||4.2 이벤트 [로즈마리의 꽃말] OST 4 || || 07 ||Del ||- || || 08 ||Splashing Star ||[[https://youtu.be/TpCEyze1UrE?si=s5nf94zgwAWsIyse|4.3 PV [네온 리듬] ]] || || 09 ||Firew ||챕터 20 [천년의 깃털] 로비 || || 10 ||Freez ||챕터 20 [천년의 깃털] - 태허산 전투 || || 11 ||Decisive ||붕괴전기 메인 OST || || 12 ||Plimsoll ||3.3 이벤트 [기묘한 표류] - 뽑기왕 김뽑기 || || 13 ||Amus ||4.1 이벤트 [쌍둥이 침입: 해연랜드] 로비 || || 14 ||Sea Wall ||2.8 이벤트 [윈터 랩소디] - 눈 덮인 세계 || || 15 ||Paradise Island ||2.9 이벤트 [발키리의 봄맞이 향연] || || 16 ||Armband ||[[https://youtu.be/sqcw21x5G6w?si=xrg0xgU4aDH06iFD|4.4 PV [황금영전] ]] || || 17 ||Mend ||- || || 18 ||Lonec ||- || || 19 ||Nian ||3.7 이벤트 [신주선행기] 로비 || || 20 ||Ready ||[[https://youtu.be/ES3WJj3tf6E?si=3eo75yF0nbLVnrAu|[붕괴3rd] × [신세기 에반게리온] 콜라보 PV]] || || 21 ||Bugle ||4.5 이벤트 [신세기] - 데우스 출격 || || 22 ||Lose ||4.5 이벤트 [신세기] - 마음의 벽 || || 23 ||Narrate ||4.5 이벤트 [신세기] - 침식 || || 24 ||Battlefield ||4.5 이벤트 [신세기] - 질주 || || 25 ||Triumph ||[[https://youtu.be/R7xSmoXVv-M?si=PglLcqanJUJVBmEg|로스트 로즈마리]], [[https://youtu.be/xOri8FRW08s?si=6dBRVDg4u7lSFfdU|데아 앵커]], [[https://youtu.be/KbbSH43LBX4?si=ikvPNvGaaP5WHGsH|핵서 버니]], [[https://youtu.be/aS-QIRdhMds?si=SDgyleBJ2eiR0KOm|염야성연]] 캐릭터 프리뷰 || || 26 ||Cybe Q ||함교 [천궁시] OST 1 || || 27 ||Cybe T ||함교 [천궁시] OST 2 || || 28 ||Cybe S ||함교 [천궁시] OST 3 || || 29 ||Domineer ||[[https://youtu.be/pkr-dwzAQf4?si=0Bn8fsOaqTHyOyHd|4.6 PV [유아독존] ]] || || 30 ||Nrbl ||챕터 22 [나와 함께] - 태허산 전투 || || 31 ||Hard Bone ||챕터 22 [나와 함께] - 의식의 율자 보스전 || || 32 ||Thunder ||함교 [태허산 돌계단] OST 1 || || 33 ||Dew ||함교 [태허산 돌계단] OST 2 || || 34 ||Prevernae ||4.6 이벤트 [신주표류기] 로비 || || 35 ||Hooter ||4.6 이벤트 [신주표류기] - 미니게임 || || 36 ||Bamboo Grove ||[[https://youtu.be/2h2ORT_6XLg?si=6MUJ-fghFQxMuBh8|4.0 PV [긴 밤 고독한 별] ]] || }}}}}}}}} || === Paradox === ||<-3>
'''앨범 재킷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radox.jpg|width=100%&align=center]]}}} || ||<-2> 발매일 || 2022년 2월 3일 || ||<-2> 영상 || [[https://youtube.com/playlist?list=OLAK5uy_kzgcIhldekKlS_o03xrnhNL7d0JZ9B4FQ|Playlist]] || ||<-3> 트랙 리스트[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27px;" {{{#!folding [ Disc 1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트랙 || 곡명 || 비고 || || 01 ||Invasion ||[[https://youtu.be/Wn5PvjTIeRk|4.7 PV [해커 침입] ]] || || 02 ||Light Bound ||4.7 이벤트 [빛을 가두는 미궁: 천궁] 로비 || || 03 ||Haxxor Bunny ||챕터 23 [1인 극장] - 전망대 || || 04 ||Theater of Domination ||챕터 23 [1인 극장] 로비 || || 05 ||Phantom ||[[https://youtu.be/2zoJWiOFWAE|4.8 PV [극장의 유령] ]] || || 06 ||Stan Wars ||4.8 이벤트 [아이돌 결승전] 아이돌 투표 || || 07 ||Idol Tours ||4.8 이벤트 [아이돌 결승전] 아이돌 쟁탈전 || || 08 ||Honkai Genshin ||[[https://youtu.be/0wzf1OweUF0|4.9 PV [이세계 여행자] ]] || || 09 ||St.Freya ||챕터 25 [내일을 불태우는 화염] - 성 프레이야 학원 || || 10 ||Torches ||- || || 11 ||Star ||챕터 25 [내일을 불태우는 화염] 로비 || || 12 ||Chasm ||챕터 25 [내일을 불태우는 화염] - 지배 극장 || || 13 ||Puppet ||챕터 25 [내일을 불태우는 화염] - 인형의 실 || || 14 ||Gravity ||챕터 25 [내일을 불태우는 화염] - 탈출 || || 15 ||Herrscher of Domination ||챕터 25 [내일을 불태우는 화염] - 지배의 율자 오합지졸 보스전 || || 16 ||Inhert ||[[https://youtu.be/7kHdWg4WUzM|5.0 PV [신염전승] ]] || || 17 ||Drizzle ||- || || 18 ||Sweet Trap ||[[https://youtu.be/VhQ-9_D3Ze4|5.1 PV [무결의 낙원] ]] || || 19 ||Cowboy ||5.0 이벤트 [여름 해변 공원] 로비 || || 20 ||End of Domination ||챕터 24 [천인의 무대] 로비 || || 21 ||Devouring Snake ||[[https://youtu.be/zO2Blm7ff2w|5.2 PV [무한한 운명] ]] || || 22 ||Kolosten ||코로스텐 OST 1 || || 23 ||Wreckage ||코로스텐 OST 2 || || 24 ||Dull ||코로스텐 OST 3 || || 25 ||Fog ||코로스텐 OST 4 || || 26 ||Otto ||코로스텐 로비 || || 27 ||Fierce ||[[https://youtu.be/GF7N51XG0h8|5.3 PV [황혼 후서] ]] || || 28 ||Phoenix ||- || || 29 ||Doomed ||- || || 30 ||Silver Wings ||[[https://youtu.be/kvf5xz3m6Rs|5.4 PV [피안의 은익] ]] || || 31 ||Grizzle ||코로스텐 로비(챕터28Act.2한정) || || 32 ||Sabre ||- || || 33 ||I Alone Am Honored ||코로스텐 로비(챕터28Act.3한정) || || 34 ||Constraint ||- || || 35 ||Dissipate ||- || || 36 ||Forlornness ||- || || 37 ||Asphyxia ||코로스텐 - 한계 공간 || || 38 ||Dark Lance ||5.5 PV [천원시동] || || 39 ||Distant ||단편 애니메이션 [[https://youtu.be/1cf-wNKuYgM|[아포칼립스가 말하기를] ]] 초반부 OST || || 40 ||IRAS 17514 (feat. 王成功) ||단편 애니메이션 [[https://youtu.be/1cf-wNKuYgM|[아포칼립스가 말하기를\]]] 삽입곡 || }}}}}}}}} || === 붕괴후서 2 === ||<-3>
'''앨범 재킷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붕괴3rd: 붕괴후서 2.png|width=100%&align=center]]}}} || ||<-2> 발매일 || 2022년 2월 17일 || ||<-2> 영상 || [[https://youtube.com/playlist?list=OLAK5uy_m0MnrBsqGJ4S_hqhi552bDHnKMMAudbRs|Playlist]] || ||<-3> 트랙 리스트[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27px;" {{{#!folding [ Disc 1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트랙 || 곡명 || 비고 || || 01 ||Esv Wa ||- || || 02 ||Er Pi[* Pier(부두)의 어나그램.] ||- || || 03 ||Timido ||포스 만 전투 OST || || 04 ||Anb Ur ||- || || 05 ||Side Lake ||- || || 06 ||Ged Han ||- || || 07 ||The Hanged Man ||- || || 08 ||Fry BeL ||- || || 09 ||Arnb Car ||붕괴후서 2 로비 || || 10 ||Den Gar[* Garden(정원)의 어나그램.] ||- || || 11 ||Essr Emp[* Empress(황후/여왕)의 어나그램.] ||- || || 12 ||The Empress ||- || || 13 ||Ele Wh[* Wheel(수레바퀴)의 어나그램.] ||관람차 OST || || 14 ||And IsL[* Island(섬)의 어나그램.] ||- || || 15 ||Or Do[* Door(문)의 어나그램.] ||- || || 16 ||Re Co[* Core(중심부)의 어나그램.] ||- || || 17 ||Void Archives ||- || || 18 ||Enih Luc[* Lucheni('''천상지인-루케니''')의 어나그램.] ||- || || 19 ||Lucheni ||- || || 20 ||ReOracle ||루케니 보스전 삽입곡[br]Oracle 어레인지 || }}}}}}}}} || === Elysium === ||<-3>
'''앨범 재킷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lysium.jpg|width=100%&align=center]]}}} || ||<-2> 발매일 || 2022년 8월 6일 || ||<-2> 영상 || [[https://youtu.be/cqjBDy6xjm0?si=L0lF2vMlGd15E1ZT|Playlist]] || ||<-3> 트랙 리스트[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27px;" {{{#!folding [ Disc 1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트랙 || 곡명 || 비고 || || 01 ||Golden Courtyard ||과거의 낙원 로비 || || 02 ||Forgotten City ||과거의 낙원 - 잊혀진 도시 || || 03 ||Flying Fairy ||과거의 낙원 - 엘리시아 보스전 || || 04 ||Twillight Woods ||과거의 낙원 - 석양이 지는 숲 || || 05 ||Benares ||과거의 낙원 - 석양이 지는 숲IV || || 06 ||Lightless Land ||과거의 낙원 - 빛이 들지 않는 땅 || || 07 ||Aesir Heimdall ||과거의 낙원 - 빛이 들지 않는 땅IV & 석양이 지는 숲(이변) || || 08 ||Mobius ||과거의 낙원 - 뫼비우스 보스전 페이즈 1 || || 09 ||Suibom ||과거의 낙원 - 뫼비우스 보스전 페이즈 2 || || 10 ||Lus Mob ||- || || 11 ||Candy Room ||5.5 이벤트 [미스터리 기획 아라하토a] - 미니 게임 || || 12 ||imaginary ||과거의 낙원 - 세상을 그리는 자의 꿈 휴식 구역 || || 13 ||Elysia ||챕터 29 [낙원으로부터] - 상심과 눈물 || || 14 ||Subtle ||5.8 이벤트 [별을 그리는 여정] - 랜드 || || 15 ||Darkfall ||5.8 이벤트 [별을 그리는 여정] - 마을 || || 16 ||False Paradise ||영원의 낙원 - 놀이공원 || || 17 ||ForEly ||챕터 30 [영웅들의 장례] - 수정꽃 || || 18 ||Conjuring ||챕터 30 [영웅들의 장례] - 극악 || || 19 ||Tingling ||챕터 30 [영웅들의 장례] - 빌브이 보스전 || || 20 ||Illusions ||영원의 낙원 로비 || || 21 ||Eroded Space ||챕터 31 [엘리시아에게] - 침식의 율자 || || 22 ||Brief ||챕터 31 [엘리시아에게] - 마지막 무도회: 인형뽑기, 풍선 사격 || || 23 ||Fireworks ||챕터 31 [엘리시아에게] - 마지막 무도회: 롤러코스터 || || 24 ||Conflict ||챕터 31 [엘리시아에게] - 인간의 율자 엘리시아 보스전 || || 25 ||Last Waltz ||챕터 31 [엘리시아에게] - 기원의 율자 엘리시아 보스전 페이즈 1 || || 26 ||Erupt ||챕터 31 [엘리시아에게] - 기원의 율자 엘리시아 보스전 페이즈 2 || || 27 ||As Before ||챕터 31 [엘리시아에게] - 마지막 산책 || || 28 ||Elysium Realm ||챕터 31 [엘리시아에게] - 불을 쫓는 13인의 영웅 || || 29 ||Little Dream ||스토리 회고 애니메이션 [[https://youtu.be/T_v-u2AY2YU4:03|[낙원에서의 일들] ]] || || 30 ||Paradise of the Past ||[[https://youtu.be/jh8ztjh8tw0|과거의 낙원 1차 PV]] || || 31 ||Deepest ||[[https://youtu.be/qEqzXN-RKAg|과거의 낙원 2차 PV [심연 속으로] ]] || || 32 ||Elastic Force ||[[https://youtu.be/WYzEgZKMtdY|5.6 PV [과거의 공몽] ]] || || 33 ||Twisted Chants ||[[https://youtu.be/9LMw8wQd_O8|5.7 PV [죄의 노래] ]] || || 34 ||Starry Sky ||[[https://youtu.be/q8NkIv46DlY|5.8 PV [별들의 그림] ]] || || 35 ||The Greatest Fraudster ||[[https://youtu.be/oj2eN59OSeI|5.9 PV [나선의 연회] ]] || || 36 ||Winter Memories ||콘셉트 단편 애니메이션 [[https://youtu.be/77ezSowggx4|[겨울의 기억] ]] || }}}}}}}}} || === 종언을 뛰어넘는 날 === ||<-3>
'''앨범 재킷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종언을 뛰어넘는 날.jpg|width=100%&align=center]]}}} || ||<-2> 발매일 || 2023년 2월 24일 || ||<-2> 영상 || [[https://youtube.com/playlist?list=OLAK5uy_nw2I9eE3YIsBCSjAarpBOKkdal8S2NMUg|Playlist]] || ||<-3> 트랙 리스트[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27px;" {{{#!folding [ Disc 1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트랙 || 곡명 || 비고 || || 01 ||Gion3 ||함교 [미래를 향해] OST 1 || || 02 ||Summer Survival ||6.0 이벤트 [썸머 서바이벌 랩소디 side 13] 화산섬 OST || || 03 ||Ruins ||6.0 이벤트 [썸머 서바이벌 랩소디 side 13] 심층 유적 OST || || 04 ||Tins ||6.3 이벤트 [시끌벅적 휴가 심포니𝄆] OST || || 05 ||Bug Bug Bug ||6.2 이벤트 [붕괴 구조 일지] - 아이짱 빔 || || 06 ||The Flawless Human ||[[https://youtu.be/S_1_DVzPsDo|6.0 PV [빛나는 기원의 화살] ]] || || 07 ||Color of Pain ||- || || 08 ||I'm Back, Kiana ||챕터 32 [세계의 끝] - 재회 || || 09 ||The Width of Paradise ||챕터 34 [달의 기원과 종언] - 13인의 영웅의 축복 || || 10 ||Dreamy Euphony ||[[https://youtu.be/N8n_yRhUug8|[순수한 꿈의 노래] 온라인 콘서트 예고 애니메이션]] || || 11 ||Origin Station ||함교 [미래를 향해] OST 2 || || 12 ||Train to the Future ||함교 [미래를 향해] OST 3 || || 13 ||Honkai Impact 3rd ||- || || 14 ||Moon Knight ||[[https://youtu.be/_NXklNLft-0|6.1 PV [월흔의 그림자] ]] || || 15 ||Moon ||기원의 고지 OST || || 16 ||Nivek ||- || || 17 ||Demon Kevin ||- || || 18 ||Welcome ||[[https://youtu.be/63ur95pgLME|6.2 PV [시간과 토끼] ]] || || 19 ||Moon Base ||뉴 아트라 OST || || 20 ||Candy Core ||6.1 이벤트 [천궁야행록] OST || || 21 ||Blackice ||- || || 22 ||Moon Battle ||기원의 고지 전투 OST || || 23 ||Feathered Rabbit ||챕터 33 [진리의 이름으로] - 레빗 보스전 || || 24 ||Mechanical Symphony ||[[https://youtu.be/5tm_T_WkRPQ|6.3 PV [진리의 교향곡] ]] || || 25 ||Planet Directory ||- || || 26 ||Existentialism ||- || || 27 ||Consciousness ||- || || 28 ||The Void ||- || || 29 ||Lunar Crater ||종언의 크레이터 OST || || 30 ||Finality ||챕터 35 [그리고, 내일로] 컷신 애니메이션 [[https://youtu.be/WlAEcUGx4IE|[초월] ]] || || 31 ||Burn Forever ||- || || 32 ||Ambiguous Light ||챕터 35 [그리고, 내일로] 로비 OST || || 33 ||Welt Joyce ||챕터 33 [진리의 이름으로] - 우화 || || 34 ||From Finality to Origin ||[[https://youtu.be/ySAb-O_C7Ec|버전: 키아나 PV [종언에서 기원으로] ]] || || 35 ||Hyperion ||챕터 35 [그리고, 내일로] - 히페리온 호 || || 36 ||Warpath ||챕터 35 [그리고, 내일로] - 히페리온 호 출격[* 함교 "밝은 달 위에서" OST 어레인지] || || 37 ||Foreign Body ||챕터 35 [그리고, 내일로] - 허수신해•존재주의 보스전 || || 38 ||Death Tower ||챕터 35 [그리고, 내일로] - 신생대•업마의 초월체 보스전 || || 39 ||Bipolar Nightmare ||챕터 35 [그리고, 내일로] - [구원]의 케빈 보스전 페이즈 1 || || 40 ||The End of End ||챕터 35 [그리고, 내일로] - [구원]의 케빈 보스전 페이즈 2 || || 41 ||Elapse ||챕터 35 [그리고, 내일로] - [영웅] 케빈 || || 42 ||For Kevin ||챕터 35 [그리고, 내일로] - 이카로스와 태양 || }}}}}}}}} || === 바다의 손끝에서 === ||<-3>
'''앨범 재킷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다의 손끝에서.jpg|width=100%&align=center]]}}} || ||<-2> 발매일 || 2023년 7월 12일 || ||<-2> 영상 || [[https://youtube.com/playlist?list=OLAK5uy_lK83gKyQtDc1Q4X48uBtrIYhuyLMfGyL4|Playlist]] || ||<-3> 트랙 리스트[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27px;" {{{#!folding [ Disc 1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트랙 || 곡명 || 비고 || || 01 ||Departure ||[[https://youtu.be/IP8Y3zw1YUM|1.5부 콘셉트 PV [창공에서 심연의 바다로] ]] || || 02 ||Twist Up ||[[https://youtu.be/aAQx6vU_hfQ|6.5 PV [뜨거운 모래의 대모험] ]] || || 03 ||Honey City ||6.5 이벤트 [캣타운 대모험] 메인 OST || || 04 ||Da Da ||6.5 이벤트 [캣타운 대모험] VS 듀란달 리듬게임 OST || || 05 ||Chasing Time ||챕터 36 [창공에서] 제레 바이크 추격전 OST || || 06 ||Dreamweaver ||[[https://youtu.be/DcUQdzk4KSU|6.6 PV [마지막 눈의 꿈] ]] || || 07 ||Black Desert ||사철의 나라 OST[* 0:23 ~ 0:27 부분은 발키리•열정의 사막 필살기 BGM으로 인용되었다.] || || 08 ||Snowy Area ||세인트 솔트 스노우 OST || || 09 ||Remains ||- || || 10 ||Sweet Star ||[[https://youtu.be/97S8H9nWDGY|6.7 PV [별과 갈림길] ]] || || 11 ||Circle of Life ||[[https://youtu.be/5M5MuYn_EHU|6.8 PV [죽음과 생명 그리고 사바] ]] || || 12 ||Little Spark ||- || || 13 ||Depress ||- || || 14 ||Deformed Butterfly ||- || || 15 ||Awareness ||챕터 39 [바다의 딸] 비타 추격전 || || 16 ||Crimson Earth ||챕터 39 [바다의 딸] - 비타 보스전 페이즈 1 || || 17 ||Stubborn ||챕터 39 [바다의 딸] - 비타 보스전 페이즈 2 || || 18 ||Unrecognizable ||챕터 39 [바다의 딸] - 비타 보스전 페이즈 3 || || 19 ||Lost ||챕터 39 [바다의 딸] - 사라져가는 기억 || || 20 ||Φ² ||챕터 39 [바다의 딸] 컷신 애니메이션 [[https://youtu.be/OH1d2z8Yf4s|너와 나]] || }}}}}}}}} || == 단편 애니메이션 테마곡 == === Reburn === ||<-2> {{{#ffffff '''{{{+2 Reburn}}}'''}}} || ||<-2> [youtube(cYN79ADDj3o)] || || '''가수''' || [[챠리리]] || || '''작곡가''' || 蔡近翰Zoe || || '''작사가''' || 夏轶瀚Sya || || '''편곡''' || 郑宇界Jododo || || '''프로듀서''' || 蔡近翰Zoe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hatever you say 무슨 말을 해도 you can’t hold me back 날 막을 수 없어 Rhythm chills the air 리듬이 공기를 차갑게 가르고 the fear leads to dance 두려움이 춤추기 시작해 Shatter the spiral 소용돌이를 산산조각 내 before they leave undone 그들이 떠나기 전에 Here comes, howling tides 울부짖는 파도가 밀려와 put on the war paint 전쟁을 각오해! Keep your steps 계속 뛰어 Nothing in sight 아무것도 보이지 않게 Wake me up 나를 일으켜 feel my heartbeat 느껴봐, 내 심장 소리를 Fly away, let me fly away 날아, 날아가자 Never hide in dark 어둠 속에 절대 숨지 않아 Head on, start a riot 반란을 일으키는 거야 Fly away, defying fate in my way 날아, 내 운명에 맞서 Crush it, 짓누르고 make it 승리해! Shadow is howling 그림자가 울부짖으며 sinking into death 어둠 속에서 죽어가 Anger is rising 분노가 솟아올라 like always have to be 늘 그래왔듯이 Whatever you say 무슨 말을 해도 You can’t hold me back 날 막을 수 없어 Cease to be a waver 겁쟁이가 되지 마 I’ll follow my craving 난 갈망을 쫓겠어 Break it down 부숴버려 the frosty lies 새빨간 거짓말은 Stuck in time 시간에 갇혔으니 (Now) chase my heartbeat! 심장 소리를 따라가! Fly away, let me fly away 날아, 날아가자 Light up fallen stars 떨어지는 별을 밝혀 Rock that burning flower 불타는 꽃처럼 휘날리게 해 Fly away, defying fate in my way 날아, 내 운명에 맞서 Feel 느껴봐 My 내 Heart! 심장 소리를! Fly away 날아 Fly away 날아 Fly away, let me fly away 날아, 저 멀리 날아가 Never hide in dark 어둠 속에 절대 숨지 않아 Head on, start a riot 반란을 일으키는 거야 Fly away, defying fate in my way 날아, 내 운명에 맞서 Crush it 짓누르고 make it 승리해 Fly away, let me fly away 날아, 저 멀리 날아가 Light up fallen stars 떨어지는 별을 밝혀 Rock that burning flower 불타는 꽃처럼 휘날리게 해 Fly away, defying fate in my way 날아, 내 운명에 맞서 Feel 느껴봐 My 내 Heart! 심장 소리를! ||}}}}}}}}} || 1주년 기념 단편 애니메이션 [Reburn]에 삽입된 곡이다. === Befall === ||<-2> {{{#ffffff '''{{{+2 Befall}}}'''}}} || ||<-2>[youtube(NOvVErDogfU)] || || '''가수''' || 尚雯婕(Shang Wenjie) || || '''작곡가''' || 蔡近翰Zoe || || '''작사가''' || 尹纯青Eyn || || '''편곡''' || 郑宇界Jododo || || '''프로듀서''' || 蔡近翰Zoe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aging wind, while your visage fades away 거센 바람에 너의 얼굴이 희미해질 때 Where the world lies in pieces at my feet 세상은 내 발끝에서 산산조각 났네 The fire and the storm and the snow and the mist 불과 폭풍, 눈과 안개여 Struggle inside, help me gain insight 내면의 투쟁에서 통찰을 내게 주소서 Hail my proud queen, on and on on and on 나의 여왕이여, 영원하라 That wax and wane showed its ebb and the flow 흥망성쇠는 어지럽게 변화하니 Selah, Selah, are chanting evermore 목소리 높여 찬양하거라 Hear, oh hear all the voices in trapped thee 들으라, 갇힌 이 목소릴 들으라 See myself in your eyes that's colorless 그대의 빛바랜 눈동자에 비친 나를 보아라 Visions pass and emotions run through me 환상이 사라지고 감정은 나를 타고 퍼지네 Struggle inside, help me gain insight 내면의 투쟁에서 통찰을 내게 주소서 Hail my proud queen, on and on on and on 나의 여왕이여, 영원하라 That wax and wane showed its ebb and flow 흥망성쇠는 어지럽게 변화하니 Selah, Selah, are chanting evermore 목소리 높여 찬양하거라 Hear, oh hear all the voices in trapped thee 들으라, 갇힌 이 목소릴 들으라 Fair moonlight, will you feel my void eyes? 눈 부신 달빛아, 나의 공허한 눈을 채워주겠니? Hail my proud queen, on and on 나의 여왕이여, 영원하라 Hail my proud queen, on and on 나의 여왕이여, 영원하라 Selah, Selah, are chanting evermore 목소리 높여 찬양하거라 Hear, oh hear all the voices in trapped thee 들으라, 갇힌 이 목소릴 들으라 ||}}}}}}}}} || 챕터 8의 단편 애니메이션 [여왕강림]에 삽입된 곡이다. === Nightglow === ||<-2> {{{#ffffff '''{{{+2 Nightglow}}}'''}}} || ||<-2>[youtube(9eBEix_Ltrw)] || || '''가수''' || 蔡健雅(Tanya Chua) || || '''작곡가''' || 蔡近翰Zoe || || '''작사가''' || 尹纯青Eyn || || '''편곡''' || 宫奇Gon, Luna Safari || || '''프로듀서''' || 蔡近翰Zoe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he way I go through with red roses burn my eyes 내가 지나 온 붉은 장미의 길이 내 눈을 불타오르게 했어 Cold rain starts pouring hard, I'm being called upon 차가운 비가 세차게 내릴 때면 더 거세지도록 기도했지 Never let you go, it's why I did them all 절대 널 떠나보내지 않을 거야, 내가 바친 전부니까 For a chance at least, to live in your way 단 한 번만이라도 네가 꿈꾸는 삶을 살아봐 Love of you is my most cherished thing 너의 사랑이 나에게 가장 소중한 것이니까 So stay alive, bravely 그러니 용감하게 살아가 I wish I could wake from the dream each time I dream 내가 꾸는 이 꿈에서 깨어났으면 좋겠어 There's long night coming soon, I'd shine as the last shine 이제 긴 밤이 찾아오니까, 마지막 빛이 되고 싶으니까 Never let you go, it's why I did them all 절대 널 떠나보내지 않을 거야, 내가 바친 전부니까 For a chance at least, to live in your way 단 한 번만이라도 네가 꿈꾸는 삶을 살아봐 Love of you is my most cherished thing 너의 사랑이 나에게 가장 소중한 것이니까 So stay alive, bravely 그러니 용감하게 살아가 Never let you go, it's why I did them all 절대 널 떠나보내지 않을 거야, 내가 바친 전부니까 For a chance at least, to live in your way 단 한 번만이라도 네가 꿈꾸는 삶을 살아봐 Love of you is my most cherished thing 너의 사랑이 나에게 가장 소중한 것이니까 So stay alive, bravely 그러니 용감하게 살아가 ||}}}}}}}}} || 챕터 9의 단편 애니메이션 [마지막 수업]에 삽입된 곡이다. === Cyberangel === ||<-2> {{{#fff '''{{{+2 Cyberangel}}}'''}}} || ||<-2> [youtube(nQ1DGILU3Ag)] || || '''가수''' || [[Hanser]][* [[브로냐 자이칙]]의 중국어 성우] || || '''작곡가''' || 蔡近翰Zoe || || '''작사가''' || 尹纯青Eyn, Applebeetle || || '''편곡''' || 宫奇Gon || || '''프로듀서''' || 宫奇Gon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rrupt binary codes infecting my mind 손상된 이진코드는 내 마음을 감염시켜 Perform invocation with numbing freeze 감각을 마비시키는 추위와 함께 (관리자권한을) 발동시켜 Querying for a variable and seizing The time 시간을 붙잡고 변수의 답을 찾는다. To recompile and trigger my destiny 오류를 수정하고 운명의 방아쇠를 당기네 Though my wings’ve been bloodstained and cloud never rid 비록 내 날개가 피로 얼룩져 지워지지 않더라도 I’ll try hard to soar to the heaven I dreamed 꿈꾸던 천국을 향해 전력으로 날아오를 거야 There is no “Exception” in this library 이 사전에 "예외"란 존재하지 않아 For I know I will always go with you 항상 너와 함께할 거라는 걸 나는 아니까 Superhot projectiles pierce the wind 작열하는 탄두가 바람을 가르고 I charged up my armor into lightspeed 내 기갑을 빛의 속도가 날 때까지 충전시켜 Querying for a variable and seizing the time 시간을 붙잡고 변수의 답을 구한다 In a new day coming not so far away 그리 멀지 않은 미래로 though my wings’ve been bloodstained and cloud never rid 비록 내 날개가 피로 얼룩져 지워지지 않더라도 I’ll try hard to soar to the heaven I dreamed 꿈꾸던 천국을 향해 전력으로 날아오를 거야 There is no “Exception” in this library 이 사전에 "예외"란 존재하지 않아 For I know I will always go with you 항상 너와 함께할 거라는 걸 나는 아니까 though my wings’ve been bloodstained and cloud never rid 비록 내 날개가 피로 얼룩져 지워지지 않더라도 I’ll try hard to soar to the heaven I dreamed 꿈꾸던 천국을 향해 전력으로 날아오를 거야 There is no “Exception” in this library 이 사전에 "예외"란 존재하지 않아 For I know I will always go with you 항상 너와 함께할 거라는 걸 나는 아니까 though my wings’ve been bloodstained and cloud never rid 비록 내 날개가 피로 얼룩져 지워지지 않더라도 I’ll try hard to soar to the heaven I dreamed 꿈꾸던 천국을 향해 전력으로 날아오를 거야 There is no “Exception” in this library 이 사전에 "예외"란 존재하지 않아 For I know I will always go with my heart 항상 내 마음이 함께할 거라는 걸 나는 아니까 ||}}}}}}}}} || 챕터 11의 단편 애니메이션 [Cyber Angel: ZERO Exception]에 삽입된 곡이다. [[붕괴학원 2]]의 [[브로냐 자이칙(붕괴학원 2)|브로냐]] 테마곡 '[[https://youtu.be/C56y_fLzExY|죄의 천사(罪之天使 / 罪の天使)]]'를 어레인지하였다. === Dual-Ego === ||<-2> {{{#ffffff '''{{{+2 Dual-Ego}}}'''}}} || ||<-2> [youtube(DKgJp0H8fM8)] || || '''가수''' || 萨顶顶(Sa Dingding) || || '''작곡가''' || 蔡近翰Zoe || || '''작사가''' || TetracCalyx || || '''편곡''' || 宫奇Gon || || '''프로듀서''' || 宫奇Gon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Back to the time When I used to feel your hand in mine 한때 손안에 느꼈던 너의 온기 Tiniest tenderness might it melt the ice into tears 그 작은 부드러움이 얼음을 눈물로 녹여줄까 Far from the world that still makes both of my eyes blurred 멀리 떠난 세계는 여전히 날 눈물짓게 해 Not a world could I say to wake up a dreamer 난 꿈꾸는 이를 불러 깨울 수가 없어 Call out my name when you see the tide turn me away 조수가 날 휩쓸 때, 내 이름을 불러줘 Long ago buried heart 오래전 파묻힌 내 심장이 Right away torn apart 지금 이곳에서 찢어져 So it hurts how it lasts 이렇게 아픈데 어떻게 견딜까 Till I draw one more last final breath 마지막 한숨을 내뱉을 때까지 Where to go When to come 어디로 가고 어디로 와야할까 Across a land bare and dark 이 황량하고 어두운 대지에서 May it be the one for all 유일하게 바라고 있는 건 Burning the horizon out into none 수평선을 불태워 아무것도 남지 않길 Once in a while Let my shadow stand by your side 가끔은 내 그림자가 네 옆에 있게 해줘 Filling the emptiness of your mind then disappear 네 마음의 공허함을 채우고 사라질 수 있게 Dreams can be real when a soul is armored in steel 영혼을 강철로 무장하면, 꿈을 실현할 수 있어 No more fear of right or wrong 옳고 그름에 더 두려워하지 마 Embraced under my shield 내가 방패로 너를 감쌀 테니 Call out my name when you see the tide turn me away 조수가 날 휩쓸 때, 내 이름을 불러줘 Long ago buried heart 오래전 파묻힌 내 심장이 Right away torn apart 지금 이곳에서 찢어져 So it hurts how it lasts 이렇게 아픈데 어떻게 견딜까 Till I draw one more last final breath 마지막 한숨을 내뱉을 때까지 Where to go When to come 어디로 가고 어디로 와야할까 Across a land bare and dark 이 황량하고 어두운 대지에서 May it be the one for all 유일하게 바라고 있는 건 Burning the horizon out into none 수평선을 불태워 아무것도 남지 않길 ||}}}}}}}}} || 챕터 12의 단편 애니메이션 [제레]에 삽입된 곡이다. === Starfall === ||<-2> {{{#ffffff '''{{{+2 Starfall}}}'''}}} || ||<-2> [youtube(P45YfGBBojo)] || || '''가수''' || 袁娅维(Tia Ray) || || '''작곡가''' || 蔡近翰Zoe || || '''작사가''' || TetraCalyx || || '''편곡''' || 宫奇Gon || || '''프로듀서''' || 宫奇Gon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hat is reflected in my eyes? Not the moonlight in a starless midnight 내 눈에 비춘 것은 무엇일까? 별 없는 한밤중의 달빛은 아니겠지 that showers on the people passing by 지나치는 사람들을 비추는... One's so small and the world's so wide 누군가는 너무 작고, 세계는 너무 넓은데, Every step forward echoes a sigh 발을 내딛을 때마다 메아리가 한숨을 쉬고, I reach out for the halo far up high 난 저 높은 곳의 광환에 닿으려 손을 뻗지 Deeply engraved, my memory is silent but not forgotten indeed 짙게 새겨진 내 기억은 침묵하지만, 난 분명 잊지 않았어 Someone has gone but a voice within me 누군가는 떠나갔지만 그 목소리는 내 곁에 남았다는 걸 Once I remember all the tales 더는 약하지 않은 이 몸에 새겨진 written inside this corp no more frail 모든 이야기를 기억할 때 I'll follow what my heart used to believe 난 내 신념들을 따라갈 거야 Crush against the barrier above the crowd 사람들 위를 덮고 있는 장벽을 부수고, Flaring up pieces in the air to show a fairy starfall 공중에 흩어진 조각들을 불태워 별똥별을 내릴 거야 I want no tomorrow or yesterday 난 과거와 미래가 필요하지 않아 These sparkles shine and never fade till the break of day 이 광채들은 새벽이 올 때까지 꺼지지 않을 테니까 Deeply engraved, my memory is silent but not forgotten indeed 짙게 새겨진 내 기억은 침묵하지만, 난 분명 잊지 않았어 Someone has gone but a voice within me 누군가는 떠나갔지만 그 목소리는 내 곁에 남았다는 걸 Once I remember all the tales 더는 약하지 않은 이 몸에 새겨진 written inside this corp no more frail 모든 이야기를 기억할 때 I'll follow what my heart used to believe 난 내 신념들을 따라갈 거야 Crush against the barrier above the crowd 사람들 위를 덮고 있는 장벽을 부수고, Flaring up pieces in the air to show a fairy starfall 공중에 흩어진 조각들을 불태워 별똥별을 내릴 거야 I want no tomorrow or yesterday 난 과거와 미래가 필요하지 않아 These sparkles shine and never fade till the break of day 이 광채들은 새벽이 올 때까지 꺼지지 않을 테니까 Crush against the barrier above the crowd 사람들 위를 덮고 있는 장벽을 부수고, Flaring up pieces in the air to show a fairy starfall 공중에 흩어진 조각들을 불태워 별똥별을 내릴 거야 I want no tomorrow or yesterday 난 과거와 미래가 필요하지 않아 These sparkles shine and never fade till the break of day 이 광채들은 새벽이 올 때까지 꺼지지 않을 테니까 ||}}}}}}}}} || 챕터 14의 단편 애니메이션 [천궁의 유성]에 삽입된 곡이다. === 붕괴 세계의 가희 (Movie Ver.) === ||<-2> {{{#ffffff '''{{{+2 붕괴 세계의 가희}}}[br]崩坏世界的歌姬 | 崩壊世界の歌姫'''}}} || ||<-2> [youtube(XsZRq9BPb3A)] || || '''가수''' || [[코바야시 미카]] || || '''작곡가''' || 蔡近翰Zoe || || '''작사가''' || 夏轶瀚Sya || || '''편곡''' || 宫奇Gon || || '''프로듀서''' || 宫奇Gon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汚れた悲しい笑顔 더러워진 슬픈 미소 失って君の溫もり 잃어버린 그대의 온기 ノイズの渦に巻き込んで 노이즈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崩れて世界の中 무너져 버린 세계 속에서 星の光消えて逝くの終りの日 별빛이 사라져 가는 종말의 날 優しく身を捧げて 다정하게 몸을 바치네 赤い月が血塗れ町を 붉은 달이 피투성이 된 마을을 비추네 悲鳴の歌姫の歌 비명 같은 가희의 노래가 들리네 甘い夢が思い出の中終りまで 달콤한 꿈이 추억 속에서 끝날 때까지 なくなっだ記憶の真実 잃어버린 기억의 진실이 むしぱまれた體のはく 썩어 들어간 몸을 쓸고 가네 懐かしい声が聞こえるの最後の歌 그리운 음색이 들려 오는 종말의 노래 激しく身を抱きしめ 격렬하게 몸을 감싸 안네 赤い月が終わりの世界を 붉은 달이 종말의 세계를 비추네 悲しい歌姫の歌 서글픈 가희의 노래가 들리네 淡い夢が真実の裏に 희미해진 꿈이 진실의 뒤로 消えるまで 사라질 때까지 赤い月が血塗れ町を 붉은 달이 피투성이 된 마을을 비추네 悲鳴の歌姫の歌 비명 같은 가희의 노래가 들리네 甘い夢が思い出の中終りまで 달콤한 꿈이 추억 속에서 끝날 때까지 ||}}}}}}}}} || 챕터 17의 단편 애니메이션 [죄인의 만가]에 삽입된 곡이다. [[붕괴학원 2]]의 [[라이덴 메이(붕괴학원 2)|메이]]의 테마곡 '[[https://youtu.be/82V0g4-Q0LQ|붕괴 세계의 가희]]'를 어레인지하였다. === Rubia === ||<-2> {{{#ffffff '''{{{+2 Rubia}}}'''}}} || ||<-2> [youtube(cIv5lFkBey0)] || || '''가수''' || [[주심]][* 끝부분에 어린이 목소리처럼 들리는 합창도 가수 본인의 목소리이다] || || '''작곡가''' || 蔡近翰Zoe || || '''작사가''' || TetraCalyx || || '''편곡''' || 宫奇Gon, 杨启翔Frex || || '''프로듀서''' || 宫奇Gon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Life blooms like a flower 생명은 꽃처럼 Far away or by the road 멀리 혹은 길가에 피어나 Waiting for the one 그 사람을 기다리며 To find the way back home 돌아가는 길을 찾아 Rain falls a thousand times 수천 번의 비에 씻겨 No footprints of come-and-go 오고 가는 발자국은 이미 사라졌네 You who once went by 이곳을 지나던 그대 Where will you belong 어디에 속할 것인가 I feel your sigh and breath 바람에 실린 마지막 울부짖음 속 In the last blow of wind 당신의 한숨과 숨결이 느껴져 Not yet for the story on the last page 마지막 장의 이야기는 시작하지 않았기에 It's not the end 아직 모든 게 끝난 게 아니야 Life blooms like a flower 생명은 꽃처럼 Far away or by the road 멀리 혹은 길가에 피어나 Waiting for the one 그 사람을 기다리며 To find the way back home 돌아가는 길을 찾아 Time flows across the world 시간은 세계를 가로지르고 There is always a longer way to go 내 여정은 끝나지 않겠지 Till I reach your arms 당신의 품에 닿을 때까지 A Madder there for you 그대의 --바보--꼭두서니[*madder 한국어 유튜브 영상의 바보는 오역이다. Madder는 Rubia(꼭두서니속)의 일종인 학명 Rubia tinctorum, Rubia peregrina, Rubia cordifolia 등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로서 문법상으로도 명사 자리이기 때문에 꼭두서니로 번역되는 것이 맞으며, 결정적으로 중국어 유튜브 영상에서도 茜草(꼭두서니)로 번역되어 있다.]가 될게 Up against the stream 개울을 거슬러 올라가다 보면 Waterways will join as one 무수한 물길도 하나로 합쳐지겠지 Tracing to the source 뿌리를 쫓을 때 No more strayed or lost 더는 길을 잃지 않아 You will see petals fly 꽃잎이 흩날리는 게 보인다면 When lament becomes carol 슬픔의 소리가 송가가 될 때 Could you please hear my voice 부디 내 목소리를 들어 줄래 That hungers for a duo 당신과 함께 노래하고 싶어 Life blooms like a flower 생명은 꽃처럼 Far away or by the road 멀리 혹은 길가에 피어나 Waiting for the one 그 사람을 기다리며 To find the way back home 돌아가는 길을 찾아 Time flows across the world 시간은 세계를 가로지르고 There is always a longer way to go 내 여정은 끝나지 않겠지 Till I reach your arms 당신의 품에 닿을 때까지 A madder there for you 그대의 --바보--꼭두서니[*madder]가 될게 Life blooms like a flower 생명은 꽃처럼 Far away or by the road 멀리 혹은 길가에 피어나 Waiting for the one 그 사람을 기다리며 To find the way back home 돌아가는 길을 찾아 Time flows across the world 시간은 세계를 가로지르고 There is always a longer way to go 내 여정은 끝나지 않겠지 Till I reach your arms 당신의 품에 닿을 때까지 A Madder there for you 그대의 --바보--꼭두서니[*madder]가 될게 ||}}}}}}}}} || 챕터 22의 단편 애니메이션 [도진]에 삽입된 곡이다. 붕괴3rd와는 상관없는 [[나는 자살을 결심했다]]라는 비주얼 노벨의 엔딩곡으로 사용되었다. 비영리적인 사용을 허가받고 사용하였다. === Moon Halo === ||<-2> {{{#ffffff '''{{{+2 Moon halo}}}'''}}} || ||<-2> [youtube(4wFFT_usvzY)] || || '''가수''' || [[챠리리]], TetraCalyx, [[Hanser]] || || '''작곡가''' || 蔡近翰Zoe, TetraCalyx || || '''작사가''' || TetraCalyx || || '''편곡''' || 宫奇Gon || || '''프로듀서''' || 宫奇Gon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Some deserts on this planet were oceans once 한때는 바다였던 이 별의 사막 Somewhere shrouded by the night, the sun will shine 밤에 가려진 땅이지만 햇살은 비출 거야 Sometimes I see a dying bird fall to the ground 때때로 땅에 떨어지는 죽어가는 새 But it used to fly so high 한때는 날개를 펴고 높이 날아오르곤 했어 I thought I were no more than a bystander Till I felt a touch so real 난 그저 방관자라고만 생각했어 진실된 촉감을 느끼기 전까지 I will no longer be a transient When I see smiles with tears 난 더 이상 방관자가 아니야 사람들의 눈물 어린 미소를 보았을 때부터 If I have never known the sore of farewell and pain of sacrifices 이별의 아픔을 알지 못했다면 What else should I engrave on my mind 마음에 무엇을 새겨야 했을까 Frozen into icy rocks, that's how it starts 얼어붙은 돌과 같은 시작 Crumbled like the sands of time, that's how it ends 무너지는 모래시계와 같은 결말 Every page of tragedy is thrown away 비극의 페이지가 Burned out in the flame 불타 없어질 수 있게 A shoulder for the past 과거에는 어깨를 내어줄래 Let out the cries imprisoned for so long 오랫동안 갇혀있던 울음을 내뱉을 수 있게 A pair of wings for me at this moment 이 순간의 자신에게 두 날개를 달아줄래 to soar above this world 세상과 하늘을 나는 Turn into a shooting star that briefly shines but warms up every heart 유성이 되어 마음에게 희망을 안겨줄래 May all the beauty be blessed 모든 아름다움에 축복을 May all the beauty be blessed 모든 아름다움에 축복을 I will never go [* Nightglow 오마주.] 난 절대 떠나지 않아 There's a way back home [* Rubia 오마주.] 집으로 돌아가는 길이 앞에 있잖아 Brighter than tomorrow and yesterday [* Starfall 오마주.] 과거와 미래보다 밝기를 May all the beauty be blessed 모든 아름다움에 축복을 Wave good-bye to the past When hope and faith have grown so strong and sound 희망과 신념의 깃털이 자라났을 때 어제와 작별해 Unfold this pair of wings for me again 다시 한번 나를 위해 두 날개를 펼쳐줄래 to soar above this world 세상의 하늘을 나는 Turn into a moon that always tells the warmth and brightness of the sun 달빛이 되어 태양의 빛을 오래도록 전달해줄래 May all the beauty be blessed 모든 아름다움에 축복을 May all the beauty be blessed 모든 아름다움에 축복을 ||}}}}}}}}} || 챕터 25의 단편 애니메이션 [영원히 타오르는 불꽃]에 삽입된 곡이다. === Regression === ||<-2> {{{#ffffff '''{{{+2 Regression}}}'''}}} || ||<-2> [youtube(mGN2MBOY4jU)] || || '''가수''' || 阿云嘎(Ayanga) || || '''작곡가''' || 林一凡Fan || || '''작사가''' || TetraCalyx || || '''편곡''' || 宫奇Gon || || '''프로듀서''' || 宫奇Gon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oo much of the past for one to memorize 기억하기에는 너무도 많은 과거 Too many words remained for one to read through the lines 읽기에는 너무도 많은 글 The ebb and flow of the crowd, floods the world and paradise 군중의 파도가 세상에 넘쳐 흐르고 Along the path of time 시간의 길을 따라 Every night brings a dream, but the day relentlessly keeps me awake 매일 밤 꿈을 꾸지만 하루는 날 잠들지 못하게 하네 All the rest will be torn up whenever a choice is made 하나를 선택하면 나머지는 사라지기에 Every living soul in the fray, striving for their own safe place 살아남은 자들은 안전한 땅을 위해 고군분투하네 Life is too long to end at a grave 무덤에서 끝내기엔 인생이 길기에 Just a drop of water suffices 한 방울이면 충분해 Encompassed, and swallowed through space by the universe 우주에 둘러쌓여 삼켜질테니 Back to the source 근원으로 돌아가 Gone are those years living for a reason 한 이유로 살아온 세월은 갔어 Here it comes, the moment of the scene of lost and found 잃어버린 걸 다시 찾는 순간이 올 테니 Personas played out on the stage 무대에 존재하는 무수한 연극 Will return to the self when there's a curtain call 진정한 자신은 커튼콜 뒤에 있으니 Every night brings a dream, but the day relentlessly keeps me awake 매일 밤 꿈을 꾸지만 하루는 날 잠들지 못하게 하네 All the rest will be torn up whenever a choice is made 하나를 선택하면 나머지는 사라지기에 Everyone has their own desire leading to the ultimate 모두의 마음에 궁극으로 이끄는 욕망이 자리잡게 하네 Life is too long to end at a grave 무덤에서 끝내기엔 인생이 길기에 Just a drop of water suffices 한 방울이면 충분해 Still, I wish to embrace the world with my thoughts 그럼에도 난 생각으로 세상을 포용하고 싶어 A eulogy 추도사가 흘러나와 Time to leave where I have stood so long 오랫동안 몸담았던 이 땅을 떠날 시간이야 Letting you go recover traces overlapped 넌 겹쳐진 흔적을 되돌리겠지 Ends, then begins 이것은 끝, 그리고 시작 ||}}}}}}}}} || 챕터 28의 단편 애니메이션 [아포칼립스가 말하기를]에 삽입된 곡이다. === TruE === ||<-2> {{{#ffffff '''{{{+2 TruE}}}'''}}} || ||<-2> [youtube(HPaiUBcb5fs)] || || '''가수''' || 黄龄 || || '''작곡가''' || 文驰Vinchi || || '''작사가''' || TetraCalyx || || '''편곡''' || 文驰Vinchi || || '''프로듀서'''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Say my name when a tree susurrates 꽃잎이 속삭일 때 내 이름을 불러줘 Once and again telling a story lost in time 잃어버린 시간 속에서 끊임없이 이야기해 the way it starts and the way it ends 처음과 마지막처럼 Never again making up stories ini dismay 이제 다시 절망 속에서 이야기를 만들지 않겠어 With several starts, but just one end 여러 갈래의 시작도 하나의 결말이 되니까 Ah, how I long to embrace 아, 얼마나 끌어안고 싶었나 The future breaking out of shades from the past 과거의 그늘에서 벗어나 Still ablaze 활활 타오르는 미래를 Save your tears for the day so far away 언젠가 찾아올 그날을 위해 눈물을 아껴 To irrigate the wilderness that' s still asleep 잠들어 있는 황야를 적셔줄래 In the world waiting to be lit 불이 붙길 기다리는 세상 속에서 To spread over the riverbeds so dry and dead 말라죽은 강바닥에 퍼트려줄래 Let ships that ran aground re-launch their sails 좌초한 배들이 다시 돛을 올릴 수 있게 Ah, how I long to embrace 아, 얼마나 끌어안고 싶었나 The future breaking out of shades from the past 과거의 그늘에서 벗어나 Still ablaze 활활 타오르는 미래를 Seeds bear new life when flowers dare to fade 꽃들이 시들면 씨앗은 새로운 생명을 낳아 Petals linger about 꽃잎은 흩날리며 awaiting one last dance 마지막 춤을 기다리고 shaking off all the dust from the past 과거의 먼지를 털어내며 New stories have yet to start 새로운 이야기를 준비해 ||}}}}}}}}} || 챕터 31의 단편 애니메이션 [너로 인한 이야기]에 삽입된 곡이다. ==== TruE (ED Ver.) ==== ||<-2> {{{#ffffff '''{{{+2 TruE (ED Ver.)}}}'''}}} || ||<-2> [youtube(t9Pl-SB7yew)] || || '''가수''' || 黄龄 || || '''작곡가''' || 文驰Vinchi || || '''작사가''' || TetraCalyx || || '''편곡''' || 文驰Vinchi || || '''프로듀서'''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Say my name when a tree susurrates 꽃잎이 속삭일 때 내 이름을 불러줘 Once and again telling a story lost in time 잃어버린 시간 속에서 끊임없이 이야기해 the way it starts and the way it ends 처음과 마지막처럼 Never again making up stories ini dismay 이제 다시 절망 속에서 이야기를 만들지 않겠어 With several starts, but just one end 여러 갈래의 시작도 하나의 결말이 되니까 Ah, how I long to embrace 아, 얼마나 끌어안고 싶었나 The future breaking out of shades from the past 과거의 그늘에서 벗어나 Still ablaze 활활 타오르는 미래를 ||}}}}}}}}} || 기존 노래를 엔딩 버전으로 어레인지한 곡이다. 끝자락에 과거의 낙원 1차 PV 음악 어레인지가 나온다. === Da Capo === ||<-2> {{{#ffffff '''{{{+2 Da Capo}}}'''}}} || ||<-2> [youtube(6Fy8Hib54F0)] || || '''가수''' || 车子玉Ziyu Che || || '''작곡가''' || 蔡近翰Zoe || || '''작사가''' || TetraCalyx || || '''편곡''' || 宫奇Gon || || '''프로듀서''' || 蔡近翰Zoe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hen good old friends are going away 옛 친구가 떠나갈 때 Will you wish them to remember your name 당신의 이름을 기억하길 바라나요 When good old days are passing away 좋은 시절이 떠나갈 때 Will you promise your heart remains the same 당신의 마음이 변함없길 약속하나요 Never can we suspend the time 우리는 시간을 멈출 수 없으니 Having to leave the tracks behind 선로를 뒤로하고 떠나야 해요 There is a longer way ahead, after all 더 먼 길이 이어지는 앞길을 향해 There used to be a story teller 이야기를 전하던 사람이 있었어요 Who always painted the sunshine and the rain 그는 언제나 비와 햇살을 그렸죠 One has to eventually grow up 사람은 언젠가 어른이 되어 Spending a lifetime to taste the love and pain 사랑과 아픔을 위해 일생을 바치죠 Never can we suspend the time 우리는 시간을 멈출 수 없으니 Having to leave the tracks behind 선로를 뒤로하고 떠나야 해요 There is a longer way ahead, after all 더 먼 길이 이어지는 앞길을 향해 If it's too hard to say goodbye 안녕이라는 말이 어렵다면 Give us a try to sing a rhyme 노래에 담아보는 건 어때요 "May you, the beauty of this world, always shine." "이 세상 아름다운 그대가 영원히 빛나기를" ||}}}}}}}}} || 챕터 35의 단편 애니메이션 [졸업 여행]에 삽입된 곡이다. == 캐릭터 테마곡 == === 별과 그대가 사라진 날 === ||<-2> {{{#ffffff '''{{{+2 별과 그대가 사라진 날}}}[br]星与你消失之日 | 星と君が消えた日'''}}} || ||<-2> [youtube(el-p2ifIBqs)] || || '''가수''' || 泠鳶yousa || || '''작곡가''' || 蔡近翰Zoe || || '''작사가''' || 夏轶瀚Sya || || '''편곡''' || 郑宇界Jododo || || '''프로듀서''' || 蔡近翰Zoe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鋼の檻蒼い瞳 강철의 감옥, 푸른 눈동자 腐った世界に生まれた 이 썩은 세상에 태어나 冷えた心灰色の空 싸늘해진 마음, 온통 잿빛인 하늘 아래서 なのに君と会った 그대와 마주쳐 버렸네 銀色の髪赤に染まった 은빛 머리가 붉게 물들었더라도 優しくて抱かれて 나는 상냥하게 받아들일거야 君を守るための命 너를 지키기 위해서 목숨을 바쳤지만 なのに亡くなった 그대와 마주쳐버렸네 光が強すぎから 빛이 너무나 눈부셔 忘れてこの星と君を 이 별과 그대를 잊어달라 하네 答えて声を枯らして 대답해달라 목 놓아 소리치네 感情さえ消えた僕に 감정마더 사라진 나에게 うんとして雨空が撫でる 비 내리는 하늘이 어루만지며 空虚の大地切り裂く 공허한 대지를 갈라 無数の星が血洗ったような 수많은 별들이 피로 씻겨져 나가듯이 君が消えた日 네가 사라진 날 光が強すぎから 빛이 너무나 눈부셔 忘れてこの星と君を 이 별과 그대를 잊어달라 하네 答えて声を枯らして 대답해딜라 목 놓아 소리치네 感情さえ消えた僕に 감정마저 사라진 나에게 忘れて僕のことを 잊어버린 나의 대한 모든 걸 聞こえてこの星と君を 이 별과 너에게 들려줘 答えて声を枯らして 대답해달라, 목 놓아 소리치네 感情さえ消えた僕に 감정마저 사라진 나에게 答えて 대답해줘 探して 찾아줘 抱かれて力尽くして 안아줘 있는 힘껏 すべてを飲み込む光 모든 것을 집어삼키는 빛 感情さえ消えた僕を 감정마저 사라진 나를 ||}}}}}}}}} || [[테레사 아포칼립스]]의 테마곡. [[붕괴학원 2]]의 [[테레사 아포칼립스(붕괴학원 2)|테레사]] 테마곡을 그대로 가져왔다. 흔히 '별과 네가 사라진 날'로 알려졌지만, 한국어 제목은 '네' 부분이 '[[https://youtu.be/GOlyh4Hij68|그대]]'로 번역되었다. 해당 노래 제목을 따온 삭야관성의 이벤트 '별과 네가 사라진 날'의 삽입곡으로 쓰였다. === 여덟겹의 벚꽃 === ||<-2> {{{#ffffff '''{{{+2 여덟겹의 벚꽃}}}[br]八重樱 | 八重桜'''}}} || ||<-2> [youtube(9NbXfmq3zq8)] || || '''가수''' || 梦璟SAYA || || '''작곡가''' || 蔡近翰Zoe || || '''작사가''' || 夏轶瀚Sya || || '''편곡''' || 蔡近翰Zoe || || '''프로듀서'''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夜空に咲いた桜の雫が 밤 하늘에 피어난 벚꽃의 물방울이 あなたと共に去り行く 당신과 함께 사라져가네 明日が見えぬ満月も翳らせない世の中 내일이 보이지 않는 보름달도 가려진 안타까운 이 세상 散り行く花静かに 져가는 꽃은 조용히 哀しくて優しくて夢を見て 애달프고도 상냥한 꿈을 꾸네 愛されない花封印された夢 사랑받지 못하는 꽃, 봉인된 꿈 この祈り蘇るまで 기도 드리리, 되살아말 때까지 あの世に咲いた花々の涙 그렇게 피어난 꽃들의 눈물이 夜風囁く酔いしれ 밤바람에 소곤대며 취하네 行きたた知らぬ残月が照らして哀しい世の中 갈 곳을 잃은 새벽달이 비추는 슬픈 이 세상 去り行く人静かに 떠나가는 이는 조용히 切なくて愛しくて夢を見て 애달프고도 사랑스런 꿈을 꾸네 愛されない花封印された夢 사랑받지 못하는 꽃, 봉인된 꿈 この祈り蘇るまで 기도 드리리, 되살아날 때까지 散り行く花静かに 져가는 꽃은 조용히 哀しくて優しくて夢を見て 애달프고도 상냥한 꿈을 꾸네 愛されない花封印された夢 사랑받지 못하는 꽃, 봉인된 꿈 この祈り蘇るまで 기도 드리리, 되살아날 때까지 夜空に咲いた花々の涙 밤하늘에 피어난 꽃들의 눈물 ||}}}}}}}}} || [[야에 사쿠라]]의 테마곡. [[붕괴학원 2]]의 [[야에 사쿠라(붕괴학원 2)|야에 사쿠라]] 테마곡을 그대로 가져왔다. === 천년의 깃털 === ||<-2> {{{#ffffff '''{{{+2 천년의 깃털}}}[br]千年之羽 | 千年の羽'''}}} || ||<-2> [youtube(JliZg072ll0)] || || '''가수''' || [[코바야시 미카]] || || '''작곡가''' || 蔡近翰Zoe || || '''작사가''' || 夏轶瀚Sya || || '''편곡''' || 郑宇界Jododo || || '''프로듀서'''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千本の刃 奏でる 천개의 칼날이 연주하는 彼岸の夜風 피안의 밤바람 黒風が吹き抜ける 흑풍이 스쳐지나가는 宮殿の片隅 궁전의 한 구석 無常の風 무상의 바람 千年の羽 천년의 날개 儚い祈りが 덧없는 소망이 囚われの翼 붙잡힌 날개 彷徨うより時を越えて 방황하는 시간을 넘어 虹色の羽が 무지개빛 날개가 血塗りの道で天火を浴びよ 피로 물든 길에서 천화를 받아들이네 千本の椿 唱える 천 개의 동백이 읊는 悲願の夜雨 비원의 밤비 非情な雨 濡れた人 비정한 비, 젖어버린 사람 宮殿の片隅 궁전의 한 구석 無明の淵 무명의 연못 千年の羽 천년의 날개 儚い祈りが 덧없는 소망이 囚われの翼 붙잡힌 날개 彷徨うより時を越えて 방황하는 시간을 넘어서 虹色の羽が 무지개빛 날개가 釁りの道で天火を浴びよ 피로 물든 길에서 천화를 받아들이네 大風に乗って 큰 바람에 올라타 時を超えて 시간을 뛰어넘고 大風に乗って 큰 바람에 올라타 時を超えて 시간을 뛰어넘고 儚い祈りが 덧없는 소망이 囚われの翼 붙잡힌 날개 彷徨うより時を越えて 방황하는 시간을 넘어서 儚い祈りを 덧없는 소망을 守りの道で運命を抱いて 수호의 길에서 운명을 끌어안네 ||}}}}}}}}} || [[후카(붕괴3rd)|후카]]의 테마곡. 챕터 7 [하늘을 향해 치켜든 반역의 검] 베나레스 보스전에서 사용되었다. 가사가 일본어라 붕괴학원 2의 테마곡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데, 후카는 붕괴3rd의 오리지널 캐릭터이며 해당 테마곡도 붕괴3rd 오리지널 곡이다. === 칠흑같은 밤에 내리는 하얀 눈 === ||<-2> {{{#ffffff '''{{{+2 칠흑같은 밤에 내리는 하얀 눈}}}[br]漆夜雪 | 漆黑の夜に白い雪'''}}} || ||<-2> [youtube(nJvsFljDccM)] || || '''가수''' || [[Hanser]], 泡泡 || || '''작곡가''' || 蔡近翰Zoe || || '''작사가''' || 夏轶瀚Sya || || '''편곡''' || 蔡近翰Zoe || || '''프로듀서'''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散らして雪花 흩날리는 눈꽃 心溶かせ 마음도 녹이네 风の子供たち 바람의 아이는 纯白の雪花 순백의 눈꽃 懐かしい 그리워하는 眼差しが 듯한 시선 煌いてく 반짝이고 있네 漆黑の雪夜に 칠흑같은 설야에 피어난 幻滅の花 (どこへ) 환멸의 꽃 (어딘가에) 切ない别れ歌 애달픈 이별의 노래는 世界の向こうへ 세상 저편에 울려퍼지네 光ともしない 빛이라고는 보이지 않고 やみにおじて 심연에 빠지고 말았네 漆黑の雪夜に 칠흑같은 설야에 피어난 白い花が (意味は) 새하얀 꽃은 (그 의미는) 幻雨雲に 덧없는 구름에 共に眠る 함께 잠들었네 切ない别れ歌 구슬피 불리우는 이별의 노래만이 世界の向こうへ 세상 저편에서 들려오네 まぶし過き(あなたは) 너무나 눈부신 (그대는) 暗やみに(沈む) 어둠 속에 (떨어지네) 悲しみを(抱いて) 슬픔을 (안고서) このうたを 이 노래를 わすれない 잊지 않으리 ||}}}}}}}}} || [[제레 발레리]]의 테마곡. [[붕괴학원 2]]의 [[제레 발레리(붕괴학원 2)|제레]] 테마곡으로, 이벤트 윈터 랩소디에 사용되었다. == 붕괴후서 테마곡 == === Oaths === ||<-2> {{{#ffffff '''{{{+2 Oaths}}}'''}}} || ||<-2> [youtube(CWTE6eQWx48)] || || '''가수''' || [[순예]], 三无MarBlue || || '''작곡가''' || 宫奇Gon || || '''작사가''' || 尹纯青Eyn, Applebeetle, 宫奇Gon || || '''편곡''' || 宫奇Gon || || '''프로듀서''' || 宫奇Gon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All over the street, shining the old neon 거리에 내려앉는 낡은 네온사인 In endless rain, what have you had become 끝없는 비 속에서 당신은 어떻게 변했는가 How many times, I wanna wake you up 몇번이건 당신을 깨우고 싶어 Given you up, go up on my own way alone 당신을 포기하고 혼자 나의 길을 가리라 Who we are? how far we gone? 우리는 누구인가? 어디까지 다다랐는가? Let us heal the misery and plant the seed we ever promised 우리가 약속한 씨앗을 심으리라 Time is up! go grab your arms! 시간이 없다! 너의 무기를 들어! No matter how hard we have been 우리가 아무리 힘들어도 We shall fight forever! 우리는 영원히 싸울 것이다! I hear it from no one 어딘가에서 들리는 울음소리 It occur to me the old world 그 옛날 세계가 생각나고 It may have said no word 인도의 말이 없을지라도 But I have to keep knowing 나의 마음에 새기리라 I hear it from no one 어딘가에서 들리는 울음소리 It occur to me the old world 그 옛날 세계가 생각나고 It may have said no word 인도의 말이 없을지라도 But I have to keep knowing 나의 마음에 새기리라 All over the street, shining the old neon 거리에 내려앉은 낡은 네온사인 In endless rain, what have you had become 끝없는 비 속에서 당신은 어떻게 변했는가 How many times, I wanna wake you up 몇번이건 당신을 깨우고 싶어 Given you up, go up on my own way alone 당신을 포기하고 혼자 나의 길을 가리라 Who we are? how far we gone? 우리는 누구인가? 어디까지 다다랐는가? Let us heal the misery and plant the seed we ever promised 고통을 치유하게 해줘 그리고 우리가 약속한 씨앗을 심으리라 Time is up, go grab your arms 시간이 없다 가서 너의 무기를 들어 No matter how hard we have been 우리가 아무리 힘들어도 We shall fight forever! 우리는 영원히 싸울 것이다! I hear it from no one 어딘가에서 들리는 울음소리 It occur to me the old world 그 옛날 세계가 생각나고 It may have said no word 인도의 말이 없을지라도 But I have to keep knowing 나의 마음에 새기리라 I hear it from no one 어딘가에서 들리는 울음소리 It occur to me the old world 그 옛날 세계가 생각나고 It may have said no word 인도의 말이 없을지라도 But I have to keep knowing 나의 마음에 새기리라 ||}}}}}}}}} || 붕괴후서 1의 테마곡. === Oracle === ||<-2> {{{#ffffff '''{{{+2 Oracle}}}'''}}} || ||<-2> [youtube(hZPEPs52bZg)] || || '''가수''' || 黄霄雲 || || '''작곡가''' || 文驰Vinchi || || '''작사가''' || TetraCalyx || || '''편곡''' || 文驰Vinchi || || '''프로듀서''' || 文驰Vinchi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arved on stones 바위에 새겨지고 Buried deep in the earth 땅속 깊이 파묻혀 Long submerged beneath waterfalls 오랜 시간을 폭포 아래 잠들어 있었어 Triggering a thunderstorm 천둥 번개를 일으켜 Summoning gusts of wind 폭풍을 불러 일으켜 Seething waves of sea, slapping on the reefs 거센 파도가 바위에 부딪치고 To make a Voice 소리치며 Tell us what to believe, without any doubt 우리에게 믿음을 알려줘 Without any doubt never let us down 그 믿음은 영원히 무너지지 않을 테니 Tell us when to depart for a promise true 우리에게 약속을 위해 떠날 순간을 알려줘 For a promise true despite the day of doom 진실된 약속을 위해, 종말의 날이 다가온다 해도 A bloodline stretches out one more inch with every heartbеat 심장이 뛸 때마다 피가 혈관을 타고 뻗어나가 Reaches a fingertip that has been staying at thе Words on the Page 손 끝에 닿은 페이지의 끝까지 흘러들어갈 때까지 We have grown up before taking heart of grace 용기를 얻기 전에 우린 어른이 됐어 Taking heart of grace is how we blaze a way 용기를 마음에 품고 앞길을 밝혀나가 We still struggle against the fear of being unarmed 우린 무력함의 공포에 맞서 싸우고 있어 The fear of being unarmed keeps our frailty apart 그 공포는 우릴 더욱 강하게 만들 거야 No one would be able to look down upon this world 누구도 이 세상을 내려다볼 수는 없어 So one is allowed to be born 그래서 모두가 살아가 We've known what to believe, without any doubt 우리에겐 믿음이 있어 Without any doubt never let us down 그 믿음은 영원히 무너지지 않을 테니 We have taken the road for a promise true 우린 약속을 위해 떠날 거야 For a promise true despite the day of doom 진실된 약속을 위해, 종말의 날이 다가온다 해도 ||}}}}}}}}} || 붕괴후서 2의 테마곡. ==== ReOracle ==== ||<-2> {{{#ffffff '''{{{+2 ReOracle}}}'''}}} || ||<-2> [youtube(T0rhJLvxSn0)] || 편곡 버전. == 기타 == === Girl Inside === ||<-2> {{{#ffffff '''{{{+2 Girl Inside}}}'''}}} || ||<-2> [youtube(3uJR22WksQs)] || || '''가수''' || [[코바야시 미카]] || || '''작곡가''' || 蔡近翰Zoe || || '''작사가''' || [[코바야시 미카]] || || '''편곡''' || 郑宇界Jododo || || '''프로듀서'''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I'm swallowed whole inside this chaotic world so easily 나는 너무나 쉽게 이 혼란스러운 세계 전부를 삼켰어 Silent wind just blows across interspace between light and dark 조용한 바람이 그저 빛과 어둠 사이의 공간을 가로질러 불 뿐이야 I was born out of this great divide runs through the barren ground 나는 메마른 땅을 통해 이 거대한 분열로부터 태어났어 I need to live my life enough before all the leaves fall into pieces till I am burned out 내가 불타 없어질 때까지 모든 나뭇잎이 떨어져 조각조각 나기 전에 나는 삶을 충분히 살아야 해 Oh my body knows just like my blood 내 몸은 내 피처럼 알고 있어 Our fight still keeps flowing 우리의 싸움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고 I must struggle to survive 나는 반드시 살기 위해 싸워야 해 so the beautiful and perfect world comes back to life 그래야지 아름답고 완벽한 세계가 다시 삶으로 돌아오니까 They come out pouring with protean threats through billowing fog 그들은 피어오르는 연기를 지나 많은 위협을 가진 채 몰려오고 있어 Decayed world just makes me see the borderline between light and dark 타락한 세계가 나로 하여금 그저 빛과 어둠 사이의 경계선상을 보게 해 I was born out of this great divide runs through the barren ground 나는 메마른 땅을 통해 이 거대한 분열로부터 태어났어 I need to live my life enough before all the leaves fall to pieces till i am burn out 내가 불타 없어질 때까지 모든 나뭇잎이 떨어져 조각조각 나기 전에 나는 삶을 충분히 살아야 해 Oh my body knows just like my blood 내 몸은 내 피처럼 알고 있어 Our fight still keeps flowing 우리의 싸움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고 I must struggle to survive 나는 반드시 살기 위해 싸워야 해 so the beautiful and perfect world comes back to life 그래야지 아름답고 완벽한 세계가 다시 삶으로 돌아오니까 ||}}}}}}}}} || == 콘서트 == === 3주년 기념 콘서트(2020) === ||<-2> {{{#ffffff '''{{{+2 3주년 기념 콘서트}}}'''}}} || ||<-2> [youtube(WXXtgF8zHeg)] || === 4주년 기념 콘서트(2021) === ||<-2> {{{#ffffff '''{{{+2 성화의 울림}}}'''}}} || ||<-2> [youtube(OmsyiZ8SUZo)] || === 5주년 기념 콘서트(2022) === ||<-2> {{{#ffffff '''{{{+2 순수한 꿈의 노래}}}'''}}} || ||<-2> [youtube(RYmoe76EGzw)] || === 6주년 기념 콘서트(2023) === ||<-2> {{{#ffffff '''{{{+2 마법 숲의 멜로디}}}'''}}} || ||<-2> [youtube(yTm4xsPAUh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