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국의 천문학자]][[분류:미줄라 카운티 출신 인물]][[분류:노벨물리학상 수상자]][[분류:1967년 출생]][[분류:애리조나 대학교 출신]][[분류: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호주국립대학교 재직]] [include(틀:노벨물리학상 역대 국가별 수상자)]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브라이언슈밋.jpg|width=100%]]}}} || || '''{{{#white 본명}}}''' ||'''브라이언 폴 슈미트'''[br]Brian Paul Schmidt|| ||<|2> '''{{{#white 출생}}}''' ||[[1967년]] [[2월 24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몬태나 주]] 미줄라|| || '''{{{#white 국적}}}'''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호주]]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white 학력}}}''' ||[[애리조나 대학교]] 학사[br][[하버드 대학교]] 석사[br][[하버드 대학교]] 박사|| || '''{{{#white 종교}}}''' ||[[무종교]] || || '''{{{#white 배우자}}}''' ||제니퍼 M.고든|| [목차] [clearfix] == 개요 == [[호주]], [[미국]] 국적의 [[천체물리학]]자. [[초신성]] 관찰을 통하여 [[우주]]의 가속도 팽창을 밝혀낸 공로로 [[2011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하였다. 현재 [[호주국립대학교]] 총장을 맡고 있다. == 생애 == [[1967년]] [[미국]] [[몬태나주]] 미줄라에서 태어나 13세 때 [[알래스카주]] [[앵커리지]]로 이주한 뒤 1985년 바틀릿 고등학교(Bartlett High School)를 졸업하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브라이언슈미트과거.png|width=100%]]}}} || || 브라이언 슈미트와 로버트 커시너 || [[1989년]] [[애리조나 대학교]]에서 [[물리학]]과 [[천문학]]을 전공하여 학사학위를 받은 뒤, [[하버드 대학교]]에서 애덤 리스(Adam Riess)와 함께 로버트 커시너(Robert Kirshner) 교수의 지도를 받아 1992년 천문학 석사에 이어 1993년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3~1994년 하버드-[[스미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Harvard-Smithsonian CFA)에서 박사후과정 연구원을 거쳐 1994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만난 호주 출신의 부인과 함께 호주로 이주하였다. 이후 [[호주국립대학교]]의 마운트스트롬로 천문대(Mount Stromlo Observatory) 연구원이자 교수로 재직했으며, 2010년 호주로 [[귀화]]하여 [[이중국적]]을 보유하고 있다. 2008년 호주과학아카데미와 미국국립아카데미 특별회원, 스페인왕립과학아카데미 외국인 회원, 2012년 [[왕립학회|영국왕립학회]] 회원에 선출되었다. 1994년부터 애덤 리스 등이 포함된 국제적 천문학 연구자 그룹 '고-[[적색편이]] 초신성 연구팀(High-z Supernova Search Team)'의 책임자로 초신성 Ia형을 관측하였다. 초신성은 진화의 마지막 단계에 이르러 급격히 폭발하면서 생기는 엄청난 에너지를 순간적으로 방출하여 그 밝기가 평소의 수억 배에 이르렀다가 서서히 사라지는 별([[항성]])을 가리킨다. 슈밋과 리스가 이끄는 연구팀은 초신성을 관측하여 빛이 어두워지는 속도가 점점 빨라진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1998년 이를 토대로 우주의 팽창속도가 시간이 갈수록 가속화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들과 별도로 초신성을 연구하던 솔 펄머터(Saul Perlmutter)도 같은 시기에 비슷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들의 연구 결과는 우주 시초의 [[빅뱅 우주론|빅뱅]](대폭발) 이후 우주의 팽창속도가 점차 느려진다고 여긴 기존의 우주론을 뒤집는 것이었다. 이에 따르면 오늘날의 우주는 70억년 전의 우주에 비하여 15%나 빠른 속도로 팽창하고 있다. 이들의 연구로부터 우주의 팽창을 가속화하는, 보이지 않는 에너지라 하여 명명된 [[암흑에너지]](dark energy) 개념이 도출되었고, 2003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암흑에너지의 존재를 뒷받침하는 우주의 초기 모습을 공개하면서 가설이 입증되었다.][* 오늘날에는 이 암흑에너지가 우주의 대부분(73%)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2011년 우주 가속팽창을 발견하여 우주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정립한 공로로 애덤 리스·솔 펄머터와 함께 [[노벨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하였다. 슈밋은 리스와 함께 상금의 절반을 받고, 나머지 절반은 펄머터에게 돌아갔다. 이밖에 2000년 맬컴 매킨토시 상[* Malcolm McIntosh Prize], 2001년 호주과학아카데미의 포지 메달(Pawsey Medal), 2006년 쇼 상[* Shaw Prize;솔 펄머터, 애덤 리스와 공동], 2007년 그루버 상[* Gruber Prize;솔 펄머터 연구팀과 공동] 등을 수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