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브라질 의회의 원내 구성)] ||<-2> [[파일:브라질 민주운동 로고.png|width=150]] || ||<-2> {{{#white '''Movimento Democrático Brasileiro'''}}} || || {{{#white '''약칭'''}}} ||MDB|| || {{{#white '''한글명칭'''}}} ||브라질 민주운동|| || {{{#white '''창당일'''}}} ||[[1965년]] [[12월 4일]]^^(전신)^^[br][[1981년]] [[6월 30일]]|| || {{{#white '''당사'''}}} ||Ed. Principal sala T4 -[br]Esplanada dos Ministérios [[브라질리아]]|| || {{{#fff '''상징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30914D; border: #;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초록색}}}}}} || || {{{#white '''이념'''}}} ||[[빅텐트]][br][[대중주의]][br][[자유주의]][br][[경제적 자유주의]] ---- '''내부 계파 :''' • [[경제적 내셔널리즘]] • [[사회보수주의]] ---- '''역사적 :'''[br][[자유주의]][br][[사회자유주의]]|| || {{{#white '''스펙트럼'''}}} ||[[중도주의|중도]] ~ [[중도우파]][* [[https://www.bbc.com/news/world-latin-america-47657159|"Michel Temer: Brazil ex-president arrested in corruption probe"]]. [[BBC]]. 21 March 2019. Retrieved 18 June 2020. "Mr Temer, from the center-left MDB party, took over the Brazilian presidency in August 2016 following the impeachment of leftist Dilma Rousseff, a process in which he played a key role."] ---- '''역사적 :'''[br][[중도주의|중도]] ~ [[중도좌파]][* 1990년대 이전까진 중도~중도좌파 성향 정도로 평가받았으나, 90년대 이후부턴 중도우파로 평가받는 편이다.]|| || {{{#white '''대표'''}}} ||베렐라 로씨|| || {{{#white '''당원 수'''}}} ||2,125,665명^^(2021년 기준)^^ || || {{{#white '''청년 조직'''}}} ||청년 MDB || || {{{#white '''정책연구소'''}}} ||율리시스 기마랑이스 재단|| || {{{#white '''상원 의석 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914D calc(10*100%/81), #fff 0%)" {{{#000 '''10석 / 81석'''}}}}}} || || {{{#white '''하원 의석 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914D calc(42*100%/513), #fff 0%)" {{{#000 '''42석 / 513석'''}}}}}} || || {{{#white '''공식 사이트'''}}} ||[[http://mdb-rs.org.b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px]]]][* 접속불가] [[https://www.facebook.com/MDBSVS15/|[[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px]]]]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dbrs15, 크기=24)][br][[https://www.instagram.com/mdbrs15/|[[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px]]]] [[https://www.youtube.com/user/imprensapmdbr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px]]]] [[http://whts.co/mdbrs| [[파일:WhatsApp 아이콘.svg|width=24px]]]] || [목차] [clearfix] == 개요 == 1965년에 창당된 [[브라질]]의 [[빅 텐트]], [[포퓰리즘]] 성향의 정당이다. 역사적으로 [[룰라 다 시우바]]의 [[노동자당]]을 비롯한 다른 성향의 정당들과 선거연합을 꾸렸다. == 명칭 == 원래 이름은 "브라질 민주운동"으로, 약칭은 MDB를 사용한다. 다만 [[1981년]]부터 [[2017년]]까지는 당명에 "당(Partido)"을 붙여 "브라질 민주운동'''당'''"이라고 불렀으며, 약칭 또한 PMDB로 사용했다. 허나 2017년 12월, 당의 [[근본]]을 찾는다는 의미로 원래의 당명인 브라질 민주운동으로 회귀했다. 다만 워낙 관습화된지라 아직까지도 언론 기사에서조차 "당"을 붙이는 경우가 종종 있다. == 역사 == 1965년 12월 4일에 창당되었으며, 2015년 창당 50주년을 맞이했다. [[노동자당]]을 비롯한 브라질의 다른 주요 정당들보다 훨씬 더 오랜 역사를 간직하고 있으며, MDB보다 더 오래된 정당은 [[브라질 사회당]](PSB) 정도다. 브라질이 80년대 민주화되기 전에는 "민주"라는 이름과는 달리 [[브라질 군사정권|군사정권]]의 조종을 받는 [[관제야당]]이었다. 그것도 유일한 합법 야당이었는데, 이 시절 브라질은 군사정권 입맛에 따라 여당과 브라질 민주운동 외의 다른 정당들은 죄다 불법인 말 그대로 "[[양당제]]"였기 때문. 다만 그럼에도 "야당"은 야당이었는지, [[민주화]]를 갈망하던 인사들이 MDB를 비판적으로 지지하고 입당하면서 군사정권의 의도와는 달리 관제야당에서 종종 벗어나는 움직임을 보이기도 했다. 1984년 대선에서는 비록 간선제였지만 이 당의 [[탄크레두 네베스|탄크레두 네비스]] 후보가 당선되어 비로소 집권 기회를 잡았으나, 네비스 당선자가 취임도 못하고 사망하는 바람에(...) 부통령인 [[조제 사르네이]]가 승계하게 되었다. 그나마 사르네이 또한 이 당 출신이었으므로 집권여당 지위 자체를 잃지는 않았다. 허나 여전히 군사정권 하에서의 반쪽자리 민주화였던지라 사르네이 정권의 민주화는 큰 전진을 보지 못했으며, 군부의 동의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허수아비 신세였다. 그러다 1988년, 신헌법이 제정되고 나서야 비로소 실권을 쥘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신헌법 덕분에 다당제로 전환되면서, 당세는 급격하게 줄기 시작한다. 그도 그럴 것이, 그간은 이 당이 유일한 합법 야당이었기 때문에, 진보 성향의 인사들도 울며겨자먹기로 이 당에 입당한 것이었는데, 다당제로 전환되면서 더 이상 이 당에 눌러 앉아 있을 이유가 없었기 때문. 결국 대거 탈당 사태가 발생하고 여러 신당 창당이 이뤄진다. 덕분에 1986년 총선 때만 하더라도 과반 의석을 차지했던 정당이 4년 뒤에는 개헌저지선 이하로 추락했으며, 1989년 대선 또한 울리세스 기마랑이스 후보가 4.7%만을 득표해 광탈했다. 1994년에도 상황은 달라지지 않았으며, 심지어 1998년 대선 때는 후보 선출조차 실패하기에 이르른다. 이후 2002년 여성인 리타 카마타를 대통령 후보로 선출해 잠시 화제를 모으기도 했지만, 저조한 지지율에 결국 [[브라질 사회민주당|사회민주당]](PSDB) 후보인 호세 세라와 단일화해 부통령 후보로 출마하기에 이르른다. 하지만 세라가 낙선하면서 고전하다가 2006년 또 다시 후보 선출에 실패했으나, 2010년 [[미셰우 테메르]] 대선 후보가 [[노동자당]]의 [[지우마 호세프]] 후보의 러닝메이트로 들어가면서 비록 집권당은 아니지만 그래도 20년만에 여당 지위를 되찾는데 성공한다. 하지만 호세프 정권이 삐그덕거리면서 연정 탈퇴 논의가 나오기 시작했고, 2016년에는 끝내 노동자당과의 연정에서 탈퇴해 호세프 대통령 탄핵에 찬성표를 던졌다. 그리고 기어코 호세프가 탄핵당하면서 부통령이었던 테메르가 대통령직을 승계해 26년만에 집권당으로 복귀했다. 그러나 이 정치적 혼란기를 극복할 능력은 안되었는지 각종 부정부패 논란 등에 휘말리다가 결국 지지율만 추락하고 기어코 차기 대선 불출마를 선언하기에 이른다. 대신 엔히키 메이렐리스를 대통령 후보로 내세웠지만, 지지부진하다가 1% 대의 득표율로 광탈했다. 결국 2018년 대선에서 대통령 자리는 [[자이르 보우소나루]]에게 넘어갔다. 그나마 2020년 지방선거에서는 결선투표에서 주요 대도시 지역 시장자리는 지켰다. 노동자당 등이 내세운 좌파 후보가 줄줄이 1차 투표에서 낙마한 상황에서 경쟁 후보가 극우 성향 [[사회자유당(브라질)|사회자유당]] 등 강경 우파 성향 정당 후보들이었기 때문에 [[2002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진보 성향 유권자층도 비판적 지지를 내세우며 민주운동 후보에 투표]]한 덕을 봤다. [[2022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에서는 처음에 시모니 테베치를 독자 후보로 출마시켰으나 처참한 득표율로 1차 투표에서 낙선했고, 결선 투표를 앞두고는 당 차원에서는 중립을 지키되 시모니 테베치 후보가 노동자당의 [[룰라 다 시우바]] 후보를 공식 지지하는 형식을 취했고, 그 덕분에 룰라 3기 정부에 합류해 각료를 배출할 수 있었다. 2023년 1월 1일 출범한 룰라 3기 정부에 시모니 테베치 전 대선후보가 기획예산관리부장관으로 합류하는 등 총 3자리를 배분받았다. == 역대 선거 == === 대통령 선거 === ||
'''연도''' || '''대통령 후보자''' || '''부통령 후보자''' || '''1차 득표수 (득표율)''' || '''2차 득표수 (득표율)''' || '''결과''' || || [[1989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1989년]][* 1960년 이후 첫 직선제 대선] || 율리시즈 기마라에스 || 왈디르 피레스 || 3,204,853 (4.74%) || 진출 실패 || 낙선 (7위) || || [[1994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1994년]] || 오레스테스 퀘시아 || 아이리스 드 아라우주 || 2,773,497 (4.38%) || 진출 실패 || 낙선 (4위) || || [[2002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2002년]] || 조세 세하[* [[브라질 사회민주당]] 후보] || 리타 카마타 || '''19,705,061 (23.91%)''' || 33,370,739 (38.72%) || 낙선 (2위) || || [[2010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2010년]] ||<|2> [[지우마 호세프]][* [[노동자당]] 후보] ||<|2> [[미셰우 테메르]] || '''47,651,434 (46.91%)''' || '''55,752,529 (56.05%)''' || {{{#fff '''당선 (1위)'''}}} || || [[2014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2014년]] || '''43,267,668 (41.59%)''' || '''54,501,119 (51.64%)''' || {{{#fff '''당선 (1위)'''}}} || || [[2018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2018년]] || 헨리크 메이렐레스 || 게르마노 히고투 || 1,288,950 (1.20%) || 진출 실패 || 낙선 (7위) || || [[2022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2022년]] || [[시모니 테베치]] || 마라 가브릴리[* [[브라질 사회민주당]] 후보] || 4,915,423 (4.16%) || 진출 실패 || 낙선 (3위) || === 국가의회 선거 === ||
<|2> '''연도''' ||<-3> '''하원''' ||<-3> '''상원''' || || '''의석 (비율)''' || '''득표 수 (득표율)''' || '''결과''' || '''의석 (비율)''' || '''득표 수 (득표율)''' || '''결과''' || || 1966년 || 132 / 409 (32.3%) || 4,915,470 (36.0%) || 원내 2당 || 4 / 23 (17.4%) || 5,911,361 (43.4%) || 원내 2당 || || 1970년 || 87 / 310 (28.1%) || 4,777,927 (30.5%) || 원내 2당 || 6 / 46 (13.0%) || 13,440,875 (39.6%) || 원내 2당 || || 1974년 || 161 / 364 (44.2%) || 10,954,359 (48.0%) || 원내 2당 || 16 / 22 (72.7%) || 14,486,252 (59.0%) || {{{#fff '''원내 1당'''}}} || || 1978년 || 191 / 422 (45.3%) || 14,803,526 (49.6%) || 원내 2당 || 8 / 23 (34.8%) || 17,432,948 (57.1%) || 원내 2당 || || 1982년 || 200 / 479 (41.8%) || 17,666,773 (43.0%) || 원내 2당 || 9 / 25 (36.0%) || 18,410,338 (43.7%) || 원내 2당 || || 1986년 || 260 / 487 (53.4%) || 22,633,805 (47.8%) || {{{#fff '''단독 과반'''}}} || 38 / 49 (77.6%) || - || {{{#fff '''단독 과반'''}}} || || 1990년 || 109 / 502 (21.7%) || 7,798,653 (19.3%) || {{{#fff '''원내 1당'''}}} || 8 / 31 (25.8%) || - || {{{#fff '''원내 1당'''}}} || || 1994년 || 107 / 513 (20.9%) || 9,287,049 (20.3%) || {{{#fff '''원내 1당'''}}} || 14 / 81 (25.9%) || 14,870,466 (15.5%) || {{{#fff '''원내 1당'''}}} || || 1998년 || 83 / 513 (16.2%) || 10,105,609 (15.2%) || 원내 3당 || 26 / 81 (32.1%) || 13,414,074 (21.7%) || {{{#fff '''원내 1당'''}}} || || 2002년 || 76 / 513 (14.8%) || 11,692,011 (13.4%) || 원내 3당 || 19 / 81 (23.5%) || 25,199,662 (15.4%) || {{{#fff '''원내 1당'''}}} || || 2006년 || 89 / 513 (17.3%) || 13,580,517 (14.6%) || {{{#fff '''원내 1당'''}}} || 16 / 81 (19.8%) || 10,148,024 (12.0%) || 원내 2당 || [[분류:브라질의 정당]][[분류:대중주의 정당]][[분류:자유주의 정당]][[분류:빅 텐트 정당]][[분류:1965년 정당]][[분류:경제적 자유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