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10021 '''브래디 지라디 관련 틀'''}}} || || {{{#!wiki style="margin: 0 -10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2017 오버워치 월드컵 캐나다 대표팀)] ---- [include(틀:2018 오버워치 월드컵 캐나다 대표팀)] ---- [include(틀:2019 오버워치 월드컵 캐나다 대표팀)]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efiant_Agilities.png|width=100%]]}}} || ||<-2> {{{#c10021 '''{{{+1 Agilities}}}'''}}} || ||<-2> {{{#ffffff '''브래디 지라디 (Brady Girardi)''' }}} || || {{{#c10021 '''생년월일'''}}} || [[1999년]] [[12월 27일]] ([age(1999-12-27)]세) [br] [[앨버타]] 주 블레어모어 시 || || {{{#c10021 '''국적'''}}}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캐나다]] || || {{{#c10021 '''아이디'''}}} || '''Agilities''' abilities NOOBTUBER9 || || {{{#c10021 '''포지션'''}}}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width=25]] DPS || || {{{#c10021 '''주 영웅'''}}} || [[겐지(오버워치)|[[파일:겐지 초상화.png|width=30]]]] [[파라(오버워치)|[[파일:파라 초상화.png|width=30]]]] [[정크랫|[[파일:정크랫 초상화.png|width=30]]]] [[한조(오버워치)|[[파일:한조 초상화.png|width=30]]]] [[둠피스트|[[파일:둠피스트 초상화.png|width=30]]]] || || {{{#c10021 '''소속 팀'''}}} || Sodipop[br](2016.07.21 ~ 2016.09.12) '''[[Immortals|[[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300px-Immortalslogo_square.png|width=20]] Immortals]][br](2016.09.12 ~ 2017.10.31)''' '''[[LA 발리언트|[[파일:LA 발리언트 로고 1.svg|width=20]] LA 발리언트 ]][br](2017.10.31 ~ 2019.10.24)''' [[토론토 디파이언트|[[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width=20]] 토론토 디파이언트 ]][br](2019.10.30 ~ 2020.10.25) [[LA 발리언트|[[파일:LA 발리언트 로고 2.svg|width=20]] LA 발리언트 ]][br](2020.12.09 ~ 2021.01.29) [[토론토 디파이언트|[[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width=20]] 토론토 디파이언트]] {{{-3 스트리머}}}[br](2021.03.12 ~ 2021.11.18) || || {{{#c10021 '''국가대표'''}}}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2017 오버워치 월드컵|2017]], [[2018 오버워치 월드컵|2018]], [[2019 오버워치 월드컵|2019]]) || || {{{#c10021 '''외부 링크'''}}}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agilities, 크기=20)] [[https://www.twitch.tv/agilities|[[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 ||<-5> '''{{{#white 우승 경력}}}''' || ||<-5> '''{{{#gold 오버워치}}}''' || ||<-5> '''Overwatch Winter Premiere 우승''' || || 대회 출범 || → || '''Immortals''' || → || 대회 폐지 || ||<-5> '''Overwatch Carbon Series 우승''' || || 대회 출범 || → || '''Immortals''' || → || 대회 폐지 || ||<-5> '''[[2017 오버워치 컨텐더스 북미 시즌 제로]] 우승''' || || 대회 출범 || → || '''Immortals''' || → || [[EnVyUs/오버워치|EnVyUs]] || ||<-5> '''[[오버워치 리그 출범 시즌/스테이지4 결산#s-3.1|오버워치 리그 출범 시즌 스테이지4]] 우승''' || || [[뉴욕 엑셀시어]] || → || '''LA 발리언트''' || → || [[밴쿠버 타이탄즈]] || ||<-5> '''{{{#white 준우승 경력}}}''' || ||<-5> '''{{{#gold 오버워치}}}''' || ||<-5> [[2017 오버워치 월드컵]] 준우승 || || 러시아 || → || '''캐나다''' || → || 중국 || ||<-2> {{{#ffffff 보유 기록}}} || || [[오버워치 월드컵]] 최초 단독 6인 처치 || [[2017 오버워치 월드컵/카토비체 예선|2017 16강 vs NLD]]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a085dc291954733dc178452e30098100d1f1b28.gif|width=100%]]}}} || --존 잘 리 티-- [[캐나다]]의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 상세 == [[Hydration]] 과 함께 투사체 전문 서양 딜러를 떠올리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선수이다. [[2017 오버워치 월드컵]]에서 캐나다 국대로 엄청난 겐지 실력을 뽐내며 인지도를 올렸다. 다만 용검을 쓸때마다 2킬 이상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천하제'일'검이라는 굴욕적인 별명을 안게 되었다. [[오버워치 리그]] 시즌 1에서는 [[LA 발리언트]]에서 Silkthread와 번갈아 가면서 출전하다 주전을 맡았다. 여기서도 용검을 뽑았다하면 2검 이상을 못하는 건 여전해서 한국 해설진에게 0 아니면 1이라고 디지털 겐지 드립까지 당했다. 하지만, 궁극기를 사용하는 센스에 비해 '''[[김효종(2000)|단점을 무시할 수 있는 수준으로 궁극기를 매우 빨리 채운다.]]''' 게임 시작 후 30초만에 궁극기 게이지가 80%를 상회하는 것은 예사고, 심지어 한타 한 번에 궁극기 두 번 이상을 채워내는 일도 상당한 편. 그 학살과 비교해도 궁극기충전 속도만큼은 앞서는 것이 어질리티의 시그니쳐이자 플레이 스타일이다. 어질리티의 겐지의 파괴력이 리그에서도 잘 먹혀든다는 사실을 보면 그 장점을 잘 알 수 있다. 다른 이들이 용검 한 번으로 2킬을 해낼 때 어질리티는 용검을 두 번 채워서 2킬을 해냈다고 보면 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 겐지~~ 시즌 2에서는 33메타에서 쭉 브리기테를 맡고 팀 성적도 최하위권이라 존재감이 없어졌지만 메타가 변화하고 팀 기량도 올라오자 딜러 실력이 건재함을 보여줬다. 2020시즌에는 캐나다선수 위주로 로스터를 리빌딩한 토론토 디파이언트로 팀을 옮겨 같은 연고지 선수들+카리브와 함께하게 되었다. 이번 시즌에는 메이, 둠피스트를 주로 플레이하며 팀의 메인딜러인 슈어포어, 로직스가 번갈아가면서 나오는 현 토론토의 로스터에서 이 둘을 잘 받쳐줘 주전으로 활약했다. 이후 [[LA 발리언트]]로 다시 합류했으나, 팀이 공중분해되며 방출당했다. [[2021 오버워치 리그|2021 시즌]]은 스트리머 활동에 더 집중하며 다음 시즌을 기약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그 후 토론토 디파이언트에 컨텐츠 크리에이터로 복귀하였으나 이후 계약이 종료됐다. == 여담 == [[파일:180912-agilities.gif]] * 수려한 이목구비와 여리여리한 체구를 가진 금발[* 다만, 원래 머리색은 밝은 갈색이다.] 서양 꽃미남으로 여성팬들에게 인기가 매우 많다. 대부분의 커뮤니티에서 리그 최고의 미남으로 꼽히며 선발출전하는 날에는 다른 날보다 블리자드 아레나가 떠나갈 정도의 큰 함성이 자주 들리는 편이다. * 처음으로 옵드컵에서 '''단독 6킬'''을 달성한 선수기도 하다. 그것도 용검으로 5킬이다. [[https://clips.twitch.tv/ZealousBumblingManateeDxCat|영상]] * 5월 6일자 AMA에서 자신이 생각하는 세최겐은 [[이승준(프로게이머)|후아유]]라고 밝혔다. 질문은 리그 최고의 겐지가 누구냐는 내용이었는데 리그에도 잘하는 겐지는 많지만 세계 최고의 겐지는 후아유라고...[[https://youtu.be/UmTM3Sn9Q30?t=4m15s|영상]] * 같은 팀의 한국인 선수 [[박영서(프로게이머)|카리브]]와 친한데, 인터넷에 올라오는 둘의 진한 우정 표현을 보고 서로 사랑하는 사이가 아니냐는 얘기가 돌았다(...). 어질리티도 둘 사이에 '섹슈얼 텐션'이 느껴진다는 얘기를 알고 있었는지, 어이없어하며 우리는 그런 사이 아니라고 해명(?)을 하였다. [[http://www.inven.co.kr/board/overwatch/4538/4778904?name=subjcont&keyword=%EC%B9%B4%EB%A6%AC%EB%B8%8C|#]] [[분류:1999년 출생]][[분류:프로게이머/오버워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