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파일:Karte_Brennerbasistunnel.png|width=100%]]}}} || || '''사업 개요도''' [[https://de.wikipedia.org/wiki/Brennerbasistunnel|출처]] || [clearfix] == 개요 == [youtube(30foJiPUrBA,width=550)] [[영어]]: Brenner Base Tunnel (BBT) [[독일어]]: Brennerbasistunnel [[이탈리아어]]: Galleria di base del Brennero '''브레너 베이스 터널'''(Brenner Base Tunnel)은 [[오스트리아]] [[티롤 주]] [[인스브루크]](Innsbruck) 일대와 [[이탈리아]] [[트렌티노알토아디제]] 포르테자(Fortezza)를 연결하는 [[터널]]이다. 완공 시 [[스위스]]의 [[고트하르트 베이스 터널]]을 뛰어넘어 지하철, 물자 수송용 터널을 제외한 교통 목적 터널 중 '''세계 최장 터널'''이란 타이틀을 가져오게 된다. == 건설 동기 == [[고트하르트 베이스 터널]]과 마찬가지로 노후화된 철도 인프라를 대체하기 위해 건설된다. 총 공사 비용 '''105억 [[유로]]''',[* [[https://tirol.orf.at/stories/3205690/|#]]] 총연장은 무려 '''64km'''로 유럽 최대의 공사 프로젝트 중 하나이며, 개통 즉시 세계에서 가장 긴 교통 목적 터널이 될 예정이다. 최고속도는 여객철도 250km/h, 화물철도 120km/h로 [[TEN-T]] '''스칸디나비아-지중해 운송로'''(Scandinavian-Mediterranean Corridor)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터널이 지나가는 지역은 예로부터 '''브레너 패스'''(Brenner pass)라고 불렸는데, 주변보다 고도가 낮아 지나다니는 데 용이했기에 알프스를 건너는 주요 길목으로 쓰였다. 이에 [[19세기]]부터 철도가 놓여 잘 쓰이고 있었으나 시간이 지나고 [[독일]], [[이탈리아]] 간 왕래가 더욱 활발해지면서 나날이 늘어나는 물동량을 수용하기엔 역부족이었다. 이에 브래너 패스를 지나는 화물의 3/4는 [[고속도로]]를 경유할 수밖에 없었다. 매일같이 브레너 패스를 오가는 차량들 탓에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도 커져만 갔고, 실제로 지역의 평균기온이 소폭 상승하기도 했다. 결국 [[독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는 [[유럽연합]] 및 상호 간의 합의에 따라 새로운 철도 터널을 공사하기로 결정한다. == 상세 == 터널의 총 길이는 64km에 달하나, 실제로 베이스 터널에 해당하는 부분은 55km다. 64km는 [[인스브루크]] 시가지 우회를 목적으로 짓는 바이패스 터널을 포함한 수치다. 지표면으로부터의 최대 깊이는 무려 '''1,720m'''. 한편 터널 중 대략 60%가량이 [[오스트리아]]에, 나머지 40%는 [[이탈리아]] 영토에 걸쳐있는데, 중간에 정점을 두어 국경을 표시할 계획이다. 국경 부분의 깊이는 대략 810m. 한편 터널 자체는 [[고트하르트 베이스 터널]]처럼 작은 쌍굴형 터널 두 개와 중앙의 비상용 터널 하나로 구성되어 있으며, 333m마다 터널 사이를 가로지르는 비상통로가 지어진다. 주 터널의 지름은 각각 8.1m 정도라고. 브레너 베이스 터널을 통과하는 열차는 기존의 브레너 철도(Brenner Railway)를 경유할 때보다 소요시간이 2배 이상 빨라진다. 또한 구배도 기존의 12퍼밀에서 4-7퍼밀로 낮아져 최대견인중량이 2배가량 늘어난다. 본 터널은 [[인스브루크]] 시가지 남쪽 지하의 구난역부터 시작하며, 북측 진입 선로는 인스브루크에서 들어오는 터널과 시가지 동쪽 바움키르헨(Baumkirchen)에서 분기하는 우회선로로 나뉜다. 우회선로는 [[1994년]] 바움키르헨과 기존 브레너 철도를 이을 목적으로 먼저 지어졌는데, 브레너 베이스 터널이 개통하면 노선 중간에 연결선로를 설치해 터널과 이을 계획이다. 문서 상단 사진의 초록색 점선이 우회 터널이다. 한편 본 터널에는 인스브루크를 포함해 장크트요도크(St. Jodok), 트렌스(Trens) 총 3개의 구난역이 지어진다. === 북부연결선 === ||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파일:Brenner-Nordzulauf_Karte.svg|width=100%]]}}} || || '''북부연결선(Brenner-Nordzulauf) 사업 개요도''' [[https://de.wikipedia.org/wiki/Brenner-Nordzulauf|출처]] || [[https://www.bbtinfo.eu/nordzulauf-2/|공식 홈페이지 설명(독일어)]] [[독일어]]: Brenner-Nordzulauf [[이탈리아어]]: Linea di Accesso Sud alla Galleria di Base del Brennero, Accesso Nord [[뮌헨]]에서 [[로젠하임]]을 거쳐 터널 북측 기점을 잇는 노선으로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공사를 담당한다. 실제로 신선이 지어지는 구간은 뮌헨 동남쪽 그라핑(Grafing)부터 인스브루크 동쪽의 바움키르헨(Baumkirchen)까지로, 종점에서 상술한 인스브루크 우회선과 직결한다. 그라핑-바움키르헨 구간 총연장은 130km. 전체적인 선형은 뮌헨-인스브루크를 직선으로 잇는 게 아니라 C자 형태로 크게 돌아서 가는데, 중간에 [[알프스 산맥]]이 있어서 직선으로 갔다간 베이스 터널을 하나 더 파야 할 지경이기 때문이다. 최대 구배는 12퍼밀이며 구간별 최고속도는 그라핑-라트펠트(Radfeld) 230km/h, 라트펠트-바움키르헨 220km/h다. 라트펠트-바움키르헨 구간은 [[2012년]] 이미 완공했고, 독일 국경-라트펠트 구간도 터널이 뚫리는 2032년까지 공사를 마칠 계획이다. 완공 이후 [[레일젯]], [[인터시티(유럽)|인터시티]] 등 인스브루크로 향하는 장거리 열차는 대개 신선을 경유하고 있다. 반면 독일 구간은 2023년 시점에서 구체적인 노선 계획까지 나왔음에도 착공을 안 한 상태다. 일단 독일 정부에서 발표한 2030년 연방 교통망 구축계획(Bundesverkehrswegeplan 2030)에 그라핑-독일 국경까지의 구간이 포함되면서 여전히 추진 중에 있음이 밝혀졌다. === 남부연결선 === [[https://www.bbtinfo.eu/suedzulauf/|공식 홈페이지 설명 (독일어)]] [[https://www.mit.gov.it/nfsmitgov/files/media/basic/2021-10/21.10.22_Circonvallazione%20Trento_CSLLPP_revA.pdf|공식 사업 계획 (이탈리아어)]][* 트렌토 우회선(Circonvallazione di Trento) 구간.] [[독일어]]: Brenner-Südzulauf [[이탈리아어]]: Linea di Accesso Sud alla Galleria di Base del Brennero, Accesso Sud 터널의 남측 종점 포르테자(Fortezza)부터 [[베로나]](Verona)까지를 잇는 노선으로 [[이탈리아]]에서 설계와 공사를 담당한다. 총연장은 180km. 거의 전 구간에 걸쳐 전용선로를 신설하는 북부와 달리 우선 기존의 '''브레너 철도'''(Ferrovia del Brennero, Brennerbahn)를 개량하되, 선형이 나쁘거나 우회가 필요한 부분에 한해 신선을 짓게 된다. 연선 일대가 험준한 산 사이의 회랑과도 같은 형태라 새로 지어지는 철로도 완만한 커브를 그리며 내려오는 모양새다.[* 이런 지형에서 선로를 일직선으로 지었다간 구배가 급격하게 치솟는다.] 최대 구배는 12.5퍼밀, 최고속도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200~230km/h 사이인 것으로 보인다. 남부연결선 사업은 크게 4개의 개별 프로젝트로 나뉘고,[* 포르테자-폰테가르데나(24.7km), 볼차노 우회선(Circonvallazione di Bolzano, 14km), 트렌토 우회선(Circonvallazione di Trento, 41.5km), 페스칸티나-베로나.][* 자세한 구간별 정보는 [[트렌이탈리아]] 공식 사업 개요와 [[베네토]] 교통부 홈페이지를 참조할 것.[[https://www.fsitaliane.it/content/fsitaliane/it/opere-strategiche/brennero-e-linea-fortezza-verona.html|#(이탈리아어)]], [[https://trail.unioncamereveneto.it/infrastrutture/alta-velocita-alta-capacita-verona-brennero/|#(이탈리아어)]]] 잔여 구간은 기존선을 사용한다.[* 폰테가르데나-볼차노(27km), 볼차노-트렌토(27km), 트렌토-페스칸티나(25km).] 브레너 철도도 이미 개량이 된 상태라 일부 구간은 최고속도를 180km/h까지 낼 수 있기 때문.[* [[독일어 위키백과]] 브레너 철도 문서의 철도거리표를 참고하면 어떤 구간에 신선이 지어지는지 대략적인 유추가 가능하다.[[https://de.wikipedia.org/wiki/Brennerbahn|#]]] 이중 포르테자-폰테가르데나 구간은 [[2020년]] 착공, 페스칸티나-베로나를 제외한 나머지 프로젝트도 2023년 기준 조사를 마치고 설계에 들어간 상태다. 전 구간 완공시기는 대략 [[2030년대]] 중반 즈음이 될 듯. 한편 사업계획에 따르면 추후 잔여 구간도 신선을 지어 최종적으로 포르테자-베로나 전 구간을 [[철도의 선로 구성 방식#s-2.5|복복선화]]할 것으로 보인다. == 기타 == 브레너 베이스 터널이 개통하면 [[스위스]]를 경유하지 않고 [[독일]]과 [[이탈리아]] 사이를 오가는 고중량 화물열차를 굴릴 수 있게 된다. 이에 유럽권 [[철도 동호인]]들은 이 터널의 주된 목적 중 하나가 [[스위스]]의 세관통과 우회라는 추측을 하고 있다. 아무리 스위스가 [[유럽 경제 지역]]의 일부라지만, 엄연히 [[유럽연합]] 비회원국이기 때문에 물자를 수송하기 위해선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 [[분류:독일의 철도]][[분류:오스트리아의 철도]][[분류:이탈리아의 철도]][[분류:대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