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66ff, #fff 30%)" '''블라디미르 바이스의 역임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black,#white ---- ||<-4> '''둘러보기 틀 모음''' || ||<-4> '''대표팀''' || || [[틀: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파일: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66ff; font-size: 0.9em" [[틀: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ffffff '''슬로바키아'''}}}]]}}}[br]{{{-2 9대}}} || || || || ||<-4> '''클럽''' || || || || || ---- }}}}}} || ---- ||<-3> {{{+1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white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3> '''Š.K. Slovan Bratislava'''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블라디미르 바이스(1964).jpg|width=100%]]}}} || ||<-2> '''이름''' || {{{+1 '''블라디미르 바이스'''}}}[br]'''Vladimír Weiss''' || ||<|2><-2> '''출생''' ||[[1964년]] [[9월 22일]] ([age(1964-09-22)]세) || ||{{{-2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체코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브라티슬라바주 브라티슬라바시]]}}} || ||<-2>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슬로바키아)] || ||<-2> '''신체''' ||[[키(신체)|키]] 182cm || ||<-2> '''직업''' ||[[축구선수]]([[미드필더]] / ^^은퇴^^)[br][[축구 감독]] || ||<|2> '''소속''' || '''선수''' ||라피드 브라티슬라바(1976~1983 / ^^유스^^)[br]ČH 브라티슬라바(1983~1984 / ^^유스^^)[br]아그로 휴르바노보(1984~1986)[br][[FK 인테르 브라티슬라바|인테르 브라티슬라바]](1986~1993)[br][[AC 스파르타 프라하|스파르타 프라하]](1993)[br][[1. FK 드르노비체]](1993)[br][[FC DAC 1904 두나이스카 스트레다|두나이스카 스트레다]](1994)[br][[FC VSS 코시체|1. FC 코시체]](1995~1996)[br][[FC 페트르잘카|아르트메디아 페트르잘카]](1996~2000) || || '''감독''' ||[[FC 페트르잘카|아르트메디아 페트르잘카]](1998~1999 / ^^수석코치^^)[br]아르트메디아 페트르잘카(1999~2006)[br][[FC 사투른 모스크바 오블라스티|사투른 모스크바]](2006~2007)[br]아르트메디아 페트르잘카(2007~2008)[br]'''[[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슬로바키아 대표팀]](2008~2012)'''[br][[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2011~2012)[br][[FC 카이라트]](2012~2015)[br][[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조지아 대표팀]](2016~2020)[br][[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2021~ ) || ||<-2> '''국가대표''' ||19경기 1골^^([[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체코슬로바키아]] / 1988~1990)^^[br]12경기 1골^^([[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슬로바키아]] / 1993~1995)^^ || ||<^|1><-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족''' ||{{{-1 아버지}}} [[블라디미르 바이스#s-1]][*A 본인과 이름이 같다.][br]{{{-1 아들}}} [[블라디미르 바이스(1989)|블라디미르 바이스]][*A][br]{{{-1 손자}}} 빅토리아 바이스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슬로바키아]]의 [[축구선수]] 출신 [[코치(스포츠)|감독]]. [[2021년]]부터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감독을 맡고 있다.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2010년 남아공 월드컵]]에서 [[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슬로바키아 대표팀]] 감독으로써 분리 독립 이후 사상 첫 16강 진출을 이끌었는데 이탈리아를 꺾으며 주목 받았다. 아들도 이름이 [[블라디미르 바이스]]로 [[1989년]]생이다. [[맨체스터 시티 FC]] 유스 출신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국가대표로 활동 중인 유명 선수이다. 한편 아버지 또한 이름이 블라디미르로 역시 축구선수였으며 2018년 78세의 나이로 작고했다. == 선수 경력 == 바이스는 [[1964년]]에 [[브라티슬라바]]에서 태어나서 지역팀에서 유스 생활을 보냈다. 선수 생활의 대부분을 [[슬로바키아]]에서 했으나, [[체코]]의 명문 클럽인 [[AC 스파르타 프라하]]에서 잠시 뛰기도 했다. FK 인터 브라티슬라바에서 뛸 때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체코슬로바키아]]의 일원으로써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에 출전하기도 했다. 이 대회가 체코슬로바키아의 마지막 FIFA 월드컵 본선 무대였고, 1994년 미국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한 뒤 체코슬로바키아는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갈라지게 됐다. 블라디미르 바이스 또한 이후 본인이 태어난 슬로바키아 대표팀으로 활동하면서 A매치를 소화했다. == 감독 경력 == 아르트메디아 페트르잘카 감독으로 있었던 2005년, 아르트메디아 페트르잘카를 이끌고 [[UEFA 챔피언스 리그/2005-06 시즌|2005-2006 UEFA 챔피언스리그 예선]]을 통과하며 조별리그로 진출하는 기염을 토했다. 바이스가 유명해진 것은 [[2008년]] 자국 대표팀인 [[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직을 맡고 나서부터였다. [[UEFA 유로 2008|유로 2008]] 이후 공석이 된 자리를 채운 그는 [[체코슬로바키아]] 해체 이후 처음으로 대표팀을 월드컵 본선행으로 이끌었고,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2010년 남아공 월드컵]] 본선에 참가했다.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F조|F조]]에서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뉴질랜드]], 그리고 디펜딩 챔피언이었던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를 상대해야 했으므로, 그의 슬로바키아에게 있어서 16강 진출은 상당히 암담해보였다. 1차전 뉴질랜드전에서도 힘겹게 1-1로 비겼고, 2차전 파라과이전에서는 0-2 완패를 당한 상황인지라 마지막 경기였던 이탈리아전이 누가봐도 쉽지 않으리라 예상했다. 한편 이탈리아도 전대회 우승팀답지 않게 2무로 어려운 상황. 하지만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슬로바키아 vs 이탈리아|마지막 3차전]]에서 이탈리아에 3-2 승리를 거두며 사상 첫 16강 진출에 성공한다. 전반 초반부터 로베르트 비텍의 선취골로 앞서나가더니 후반 막바지에 또다시 비텍이 골을 성공시켰다. 후반 21분에 [[마르틴 슈크르텔]]가 만든 행운의 선방이 없었다면, 이탈리아가 조금이라도 빨리 득점에 성공했다면... 슬로바키아는 이기지 못했을 상황이었다. 10여 분을 남겨두고 슬로바키아와 이탈리아의 난타전이 벌어졌고, 총 5골이 나오는 피말리는 승부가 진행되었다. 이 경기로써 바이스는 조국의 영웅이 되었다. 슬로바키아로서는 첫번째 토너먼트 진출에 성공한 것이었다. 이후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16강#s-1.5|16강전]]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와의 경기에서는 네덜란드의 막강한 공격력에 고전한 끝에 1-2로 석패했다. 바이스는 이후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와 FC 카이라트를 거쳐서 [[2016년]] [[3월]]에 [[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UEFA 유로 2020]] 플레이오프에서 결승까지 진출했으나, [[북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에 0-1로 패하며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 이후 감독 커리어에서 10년만의 메이저 대회 복귀에는 실패했다. 그리고 결국 감독직에서 자진 사임했다. == 여담 == 아버지와 아들도 모두 이름이 [[블라디미르 바이스]]며, 모두 [[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멤버였다. 그야말로 3대째 프로 축구선수 가문. == 둘러보기 == [include(틀: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참가 감독)] [각주] [[분류:1964년 출생]][[분류:브라티슬라바 출신 인물]][[분류:체코슬로바키아의 축구선수]][[분류:슬로바키아의 축구선수]][[분류:복수의 대표팀에서 뛴 축구선수]][[분류:슬로바키아의 축구감독]][[분류:FK 인테르 브라티슬라바/은퇴, 이적]][[분류:AC 스파르타 프라하/은퇴, 이적]][[분류:1. FK 드르노비체/은퇴, 이적]][[분류:FC DAC 1904 두나이스카 스트레다/은퇴, 이적]][[분류: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FC 사투른 모스크바 오블라스티/역대 감독]][[분류:FC 페트르잘카/역대 감독]][[분류: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역대 감독]][[분류:FC 카이라트/역대 감독]][[분류: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체코슬로바키아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참가 선수]][[분류: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 참가 감독]][[분류:축구 선수 자녀]][[분류:2000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