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인민의회 의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f0110, #4f0214 20%, #4f0214 80%, #3f0110)" '''제3대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인민의회|{{{#dacdb6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인민의회}}}]] 의장[br]{{{+1 블라디미르 아나톨리예비치 비둅카}}}[br]Владимир Анатольевич Бидёвка'''}}}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블라디미르 비둅카.jpg|width=100%]] }}}|| ||<|2> '''출생''' ||[[1981년]] [[3월 7일]] ([age(1981-03-07)]세)||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도네츠크주]] [[도네츠크]][* 현 [[러시아]]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도네츠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소련)] → [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 [include(틀:국기, 국명=도네츠크 인민공화국)]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 '''학력''' ||도네츠크 국립대학교 {{{-2 ([[정치학]])}}}|| || '''직업''' ||언론인, 정치인|| ||<|2> '''경력''' ||제7대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 의원|| ||[[2012년]] [[12월 12일]] ~ [[2014년]] [[10월 20일]]|| ||<|4> '''현직''' ||제1·2대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인민의회]] 의원|| ||[[2014년]] [[11월 14일]] ~ [[현직]]||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인민의회]] 의장|| ||[[2018년]] [[11월 19일]] ~ [[현직]]|| || '''정당''' ||[include(틀:도네츠크 공화국)]|| || '''자녀''' ||2명||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블라디미르 비둅카 도네츠크 공화국.jpg|width=100%]]}}}|| '''블라디미르 비둅카'''는 [[우크라이나]], [[러시아]]의 정치인으로,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인민의회]] 의장을 역임했다. == 생애 == 1981년 3월 7일 [[우크라이나 SSR]] [[도네츠크주]] [[도네츠크]]에서 태어났다. 1999년 마케옙카 제37학교를 졸업했으며, 2003년 도네츠크 국립대학교 역사학부 정치학과를 수석 졸업했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 [[도네츠크주]] 주의원을 역임했다. 동시에 [[우크라이나 공산당]] 도네츠크주 위원회 서기장을 역임했고 돈바스의 공산주의자들이라는 신문의 편집장으로 일했다. [[https://www.unian.info/war/10342833-dpr-parliament-headed-by-former-communist-mp-photo.html|#]] 2012년, [[우크라이나 공산당]] 소속 비례대표 18번으로 제7대 최고 라다 의원으로 당선되었고, 2014년 [[돈바스 전쟁]] 이후 사임했다. 2014년 5월 29일, 최고 라다 의원으로서 마지막 연설을 하면서 우크라이나 국방부 장관 미하일로 코발에게 [[도네츠크주]] 주민들에 대한 [[우크라이나군]]의 테러 행위를 지적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1fjdIj-oO0o|#]] 2014년 6월 [[키이우]]를 떠나 더이상 최고 라다 회의에 참석하지 않았지만 제대로 사임 처리되지 않았으며 '''공석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의원들이 비둅카 명의로 일부 법안에 대해 투표권을 행사'''했다.[* 이는 친러, 반러를 가리지 않고 행해지는 우크라이나만의 유서깊은 정치적 악습으로, 피아노 투표라는 전문 용어까지 있다. 2007년부터 2012년까지 제6대 최고 라다에서는 450명의 의원들 중 449명이 피아노 투표를 했다고 알려졌다. [[https://www.yahoo.com/news/ukraine-parliament-plagued-multiple-voting-130825355.html|#]]] [[http://w1.c1.rada.gov.ua/pls/radan_gs09/ns_arh_dep?vid=3&kod=40507|#]] 제7대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 의원으로서 의정 활동을 하는 동안 [[돈바스]] 노동자의 권리를 지지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h_OR80XeixU|#]] [[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 개선을 촉구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fOIKYoWAek|#]] [[자유당(우크라이나)|자유당]]을 필두로 한 우크라이나의 네오나치, 민족주의 세력을 비판했고 [[https://www.radiosvoboda.org/a/25136303.html|#]] 2013년에는 도네츠크주에서 셰일 가스를 추출하는 것을 시위를 통해 막았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SZGF41draOc|#]] 우크라이나의 [[유럽연합]] 및 [[NATO]] 가입을 반대했다. [[2014년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 선거]]에 [[우크라이나 공산당]] 비례대표 후보로 입후보했으나 공산당이 3.88%를 득표하는 참패를 거두며 낙선했다. 이후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으로 넘어가 [[2014년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총선]]에서 [[도네츠크 공화국]] 소속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인민의회]] 의원으로 당선되었다. [[https://www.unian.info/war/10342833-dpr-parliament-headed-by-former-communist-mp-photo.html|#]] 제헌의회에서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인민의회 부의장, 정보 정책 및 정보 기술위원회 부위원장, 헌법 제정 및 국가 재건 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고 30개 이상의 법안을 발의했다. [[2018년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총선]]에서 [[도네츠크 공화국]] 소속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인민의회]] 의원으로 당선되었고, 인민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동시에 [[유럽연합]]의 제재 명단에 추가되었다. [[https://ria.ru/20181211/1547820056.html|#]] [[분류:1981년 출생]][[분류:도네츠크 출신 인물]][[분류:우크라이나의 정치인]][[분류: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인민의회 의장]][[분류:러시아의 정치인]][[분류: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분류:러시아로 귀화한 인물]][[분류:도네츠크 공화국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