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Vladimir Kragić.jpg|width=100%]] || || 이름 ||블라디미르 크라기치[br](Vladimr Kragić) || || 생년월일 ||[[1910년]] [[6월 8일]] || || 사망년월일 ||[[1975년]] [[9월 17일]] (향년 65세) || || 국적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width=28]] [[유고슬라비아]][* 현재 국적으로 따지면 [[크로아티아]]이다.] || || 출신지 ||[[스플리트]] || || 포지션 ||레프트 풀백, 아웃사이드 레프트 포워드 || || 신체조건 ||170cm / 75kg || || 등번호 ||-[* 이 시대에는 등번호가 존재하지 않았다.] || || 소속팀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1929~1939)''' || || 국가대표 ||6경기 4골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유고슬라비아]] / 1930~1934)^^ || [목차] [clearfix] == 개요 == [[유고슬라비아]]의 전 축구 선수. == 생애[* 출처: 위키피디아, 11v11] == === 선수 생활 === ==== 클럽 ==== 크라기치가 데뷔할 때의 포지션은 레프트 풀백. 즉, 수비수로 프로 무대에 첫 선을 보였다. 데뷔 시즌이던 1929년에 그는 단 1경기 출전에 그쳤지만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소속팀]]은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리그]] 챔피언 자리에 올랐다. 이후 그는 가지고 있던 공격적 재능을 바탕으로 아웃사이드 레프트 포워드로 포지션을 변경했고 1932-33 시즌에는 21골을 넣으며 리그 득점왕에 오르기도 했다. 크라기치의 대표적인 경기는 1933-34 시즌에 나왔는데 NK HAŠK전에서 5골을 넣어 7대1 승리를 이끈 경기였다.[* 다른 기록에는 혼자 7골을 다 넣었다는 기록도 있다.] 크라기치는 공식경기에서 137경기 출전, 78골을 넣었다. ====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 ==== 크라기치는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유고슬라비아 대표팀]]으로 총 6경기에 나갔다. 그의 데뷔전은 1930년 5월 4일의 [[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루마니아]]전이었고 마지막 경기의 상대도 루마니아였다. 그 경기는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지역예선#s-2.6|이탈리아 월드컵 지역예선]] 마지막 경기였는데 3경기 중 앞선 2경기에서 모두 무승부가 나왔다.[* 제2경기였던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스위스]]와 루마니아의 경기는 FIFA의 기록상으론 2대2 무승부. RSSSF와 위키백과에서는 루마니아에서 부적격 선수가 뛰던게 발각되어 루마니아의 2골을 몰수, 스위스가 승리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크라기치는 후반 20분에 동점골을 기록했지만 9분 후 유고슬라비아는 [[슈테판 도바이]]에게 추가골을 얻어맞아 결국 1대2로 패배, 월드컵 진출은 좌절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평가 == 힘과 스피드가 뛰어났다고 한다. 특히 강력한 슈팅 파워를 가진 공격수였다. == 수상 == === 클럽[* 크라기치는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원 클럽 플레이어]]이므로 클럽팀 이름 기입은 생략했다.] === *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우승 1회: 1929 *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준우승 3회: 1931-32, 1932-33, 1936-37 * 유고슬라비아 컵 준우승 1회: 1933-34 === 개인 === *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득점왕 1회: 1932-33 [각주] [[분류:1910년 출생]][[분류:1975년 사망]][[분류:유고슬라비아의 축구선수]][[분류:크로아티아의 축구선수]][[분류:HNK 하이두크 스플리트/은퇴, 이적]][[분류:원클럽맨/축구]][[분류:수비수]][[분류:공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