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소련 전략로켓군 총사령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40000, #D40000 20%, #D40000 80%, #a40000)" '''{{{#ffe400,#ffe300 소비에트 연방 제5대 전략로켓군 총사령관[br]{{{+1 블라디미르 표도로비치 톨룹코}}}[br]Влади́мир Фёдорович Толу́бко[br]Vladimir Fydorovich Tolubko}}}'''}}}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블라디미르 톨루브코.jpg|width=100%]]}}} || ||<|2> '''출생''' ||[[1914년]] [[11월 12일]] || ||[[러시아 제국]] [[폴타바주|폴타바현]] 콘스탄티노그라드[br](現 [[러시아]] [[남부 연방관구]] [[크라스노다르 지방]] [[크라스노다르]]) || ||<|2> '''사망''' ||[[1989년]] [[6월 17일]] (향년 74세) || ||[[소련]]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러시아 SFSR]] [[모스크바]] || || '''묘소''' ||노보데비치 묘지 || ||<|4> '''재임기간''' ||제20대 시베리아 군관구 사령관 || ||[[1968년]] [[4월]] ~ [[1969년]] [[5월]] || ||제5대 전략로켓군 총사령관 || ||[[1972년]] 4월 ~ [[1985년]] [[7월]]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4> '''복무''' ||[[소련 육군|소비에트 지상군]] || ||[[1932년]] ~ [[1960년]] || ||소비에트 전략로켓군 || ||1960년 ~ [[1989년]] || || '''최종 계급''' ||[[원수(계급)|포병상원수]] {{{-2 (소비에트 전략로켓군)}}} || || '''주요 참전''' ||[[독소전쟁]] || || '''주요 서훈''' ||[[레닌훈장]] (5회)[br][[사회주의노력영웅]][br][[적기훈장]] (4회)[br][[적성훈장]] (2회) ||}}}}}}}}} || [목차] [clearfix] == 개요 == [[소련]]의 [[군인]]. == 생애 == [[우크라이나인]] 노동자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7년제 중학교를 졸업한 뒤 교육학을 배웠다. 1932년 11월 [[노농적군]]에 징집된 톨룹코는 1933년 제14기병사단 공병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우크라이나 군관구에서 복무했다. 이후 1937년엔 [[울리야놉스크]]의 제1블라디미르 레닌 전차학교, 1941년엔 이오시프 스탈린 적군 기갑 및 차량화보병사관학교를 졸업했다. === [[독소전쟁]] === 레닌그라드 전선, 칼리닌 전선에 투입됐다. 1942년 7월 말 칼리닌 전선에서 심각한 부상을 입어 전선에서 물러나 이오시프 스탈린 적군 기갑 및 차량화보병사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회복 후 [[제2차 야시-키시네프 공세]], [[부다페스트 공방전]]에서 승리를 쟁취해 능력을 증명했다. === 전후 === 1950년 12월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고등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뒤 여러 부대의 사령관을 역임했다. 이후 1960년 3월 전략로켓군 제1부사령관으로 임명돼 전략로켓군 발전에 기여했다.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 당시 아나디리 작전에서 부대를 조직하고 군함으로 미사일을 수송하는 임무를 지휘했다. 1972년 4월 전략로켓군 총사령관, 국방부차관을 동시에 역임했다. 이후 포병상원수로 진급했다. 이로서 톨룹코는 [[소련군]] 역사상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일반 대장에서 병과상원수로 진급한 자가 됐다.[* 특정 병과 대장이 해당 병과의 상원수로 진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 말년 === 1985년 7월 해임된 뒤 소련 국방부 감찰단으로 복무했다. 이후 모스크바에서 사망한 뒤 노보데비치 묘지에 안장됐다. == 진급 이력 == * 1953년 8월 3일: [[소장(계급)|전차군 소장]] * 1958년 2월 18일: [[중장|전차군 중장]] * 1960년 5월 7일: [[상장(계급)|상장]] * 1970년 4월 29일: [[대장(계급)|대장]] * 1983년 3월 25일: [[원수(계급)|포병상원수]] [[분류:1914년 출생]][[분류:1989년 출생]][[분류: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분류:크라스노다르 출신 인물]][[분류:사회주의노력영웅]][[분류:소련의 군인]][[분류:독소전쟁/군인]][[분류:노보데비치 묘지 안장자]][[분류:소련 공산당 21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2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3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4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5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6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7기 중앙위원회 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