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일반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VorseRaider-JP-Manga-DM-color.png]] || 한글판 명칭 ||<-4>'''블러드 볼스'''|| || 일어판 명칭 ||<-4>'''ブラッド・ヴォルス'''|| || 영어판 명칭 ||<-4>'''Vorse Raider'''||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어둠 || 야수전사족 || 1900 || 1200 || 원작에서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본선 편|배틀 시티 편]]에서부터 [[카이바 세토]]가 사용한 몬스터로 등장. [[레어 헌터|빛의 가면과 어둠의 가면]]의 듀얼에서 처음 소환되었으나 이 때는 카이바가 적 몬스터를 치우려고 발동한 [[파괴륜]]을 빛의 가면의 함정 효과로 인해 역으로 대상이 되어 파괴되어버린다. 본선의 [[이시즈 이슈타르]]와의 듀얼에서는 [[수축(유희왕)|수축]]으로 공격력이 떨어진 뒤 [[죽음의 덱 파괴 바이러스]]의 제물이 되었다. 준결승 라인을 정하는 배틀 로얄 듀얼에서도 첫 턴에 소환되어 죠노우치를 공격하려다 유우기가 발동한 [[일족의 법도]]에 의해 그대로 막혀버렸고, 이후 마리크의 [[뉴도리아]] 효과에 의해 파괴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1화의 [[듀얼 아카데미아]] 입학 듀얼 당시 [[미사와 다이치]]가 사용하여 [[파괴륜]]으로 뻥 터뜨려 승리하는 것으로 나온다. 그리고 나중에 [[만죠메 쥰]]이 미사와와 듀얼하기 전에 그의 덱을 전부 바다에 던졌는데, 거기에도 당당히 포함되어 있었다. 무엇보다 저 덱은 미사와의 진짜 덱이 아니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이차원세계 편|이차원세계 편]]에서는 듀얼 좀비가 된 만죠메도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에서 사용했는데, 여기서는 [[엘리멘틀 히어로 스파크맨]]을 격파한 후 쥬다이의 멱살을 잡았다가 쥬다이의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에 의해 산화되었다. 이후 [[스컬 비숍]]도 [[오스틴 오브라이언]]과의 듀얼 중 [[암흑의 광견]]과 함께 [[라이컨 슬로프]]의 의식 소환 제물로 바치는 것으로 나왔다. ||[[파일:external/images.wikia.com/VorseRaider-JP-Anime-5D.png|width=100%]]|| || [[유희왕 5D's]][* 작중 등장 인물인 [[키류 쿄스케]]가 사용한 사양. 원본 일러스트를 좌우반전, 색반전 시켰다.] || [[유희왕 5D's]] [[유희왕 5D's/다크 시그너 편|다크 시그너 편]]에서는 [[키류 쿄스케]]가 [[팀 새티스팩션]] 시절 사용했던 몬스터 중 하나로 등장하며, [[시큐리티(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시큐리티]]와의 듀얼에서도 꺼내들었다가 [[몽타주 드래곤]]에 의해 파괴되었다. 이후 [[다크 시그너]]가 되어 찾아왔을 때 [[후도 유세이]]와 [[크로우 호건|크로우]] 앞에 나타나기 전에 이 카드를 투척했다. 나름대로 애지중시하던 카드로 보인다. [[유희왕 ARC-V]]에서도 깜짝 등장. 아카바 레오가 초창기 듀얼 몬스터즈의 역사를 소개할 때 [[랜드스타의 검사]], [[마하 바일로]], [[메카 헌터]] 등 초창기 카드들과 함께 회상장면에서 스쳐 지나간다. [[유희왕 SEVENS]]에서도 25화에 듀얼 역사 박물관에서 [[해피 레이디]]와 같이 스쳐지나가듯 출현했다 영어판 명칭인 'Vorse Raider'의 'vorse'란 단어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 [[어른의 사정]]으로 블러드(피)란 이름으로 발매할 수 없자 볼스라도 따 온 듯하다. 사실 저글리시의 폐해인데, "볼스"는 중세 폴암 "부쥬"(voulge)를 저글리시로 적은것 같다. 원 이름은 블러드 부쥬 정도가 돼야 하고, 영어명도 voulge raider가 됐어야 한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VorseRaider-DM4-JP-VG.png]] || 한글판 명칭 ||<-4>'''블러드 볼스'''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ブラッド・ヴォルス'''|| || 영어판 명칭 ||<-4>'''Vorse Raider'''||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6[*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에서부터는 4.] || 악마마족 || 야수전사족 || 1900 || 1200 || ||<-5>암흑 파워로 모든 것을 베어갈라버릴 정도의 힘을 가지고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 ||<-5>악행의 한계를 다하고 그것을 기쁨으로 삼는 마수인.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부터 등장.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ブラッド・ヴォルス.jpg|width=100%]]||[[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1031_1.jpg|width=100%]]|| || 1기[*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VorseRaider-JP-Manga-DM-NC.png]] [br] 이 카드의 구도는 원작인 21권의 136 페이지 쪽에 있는 구도] || 2기[* 이 카드의 구도는 원작인 26권의 42 페이지 쪽에 있는 구도]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블러드 볼스, 일어판명칭=ブラッド・ヴォルス, 영어판명칭=Vorse Raider,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1900, 수비력=1200, 종족=야수전사족, 효과외1=악행의 한계를 다하고 그것을 기쁨으로 삼는 마수인. 손에 든 도끼는 항상 피로 얼룩져있다.)] 공격력 1900의 능력치를 지닌 하급 [[일반 몬스터]]. 지금이야 좋은 효과에 공격력도 1900이 넘는 하급들이 여럿 더 있지만 이 카드가 나올 때에는 거의 없던지라 하급 어태커로써 이리저리 뛰어다녔다. 그 스탯 때문에 바닐라 위주의 덱에서도 가끔 보이곤한다. 바닐라 중에서도 같은 어둠 속성 1900이라면 메이저한 악마족인 [[데몬 솔저]]에게 밀리고, 야수전사족 중에서는 더 공격력이 높은 [[제네틱 워울프]]에게 밀린다. 그러나 이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카드라는 점에서 아직 차별화할 건덕지가 남아 있다. 제네틱 워울프와는 달리 이쪽은 어둠 속성이기 때문에 [[염무-「천기」]]와의 콤보로 2000을 만든 뒤, [[덱 파괴 바이러스|마의 덱 파괴 바이러스]]로 날려버리는 방법이 존재한다. 이외에도 [[레스큐 래빗]]과 함께하면 원큐로 괴염성왕-소우코를 불러낼 수 있어 마침 종족도 같은 [[염성(유희왕)|염성]]과 조합해볼 수 있다. 실제로 비공인이지만 이 조합을 사용한 덱이 대회에서 우승하기도 하였다. 한국판으로는 스페셜 세트 동봉 울트라 레어로밖에 존재하지 않았으나 스트럭처 덱 카이바편에서 노멀로 풀렸다. === [[유희왕 러시 듀얼|러시 듀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블러드 볼스(유희왕 러시 듀얼))] == 관련 카드 == === [[XX-세이버 보가트 나이트]] ===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종족 / 레벨 / 공격력, 그리고 디자인 등에서 연관성이 있다. === 카이저 블러드 볼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528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카이저 블러드 볼스, 일어판 명칭=カイザー・ブラッド・ヴォルス, 영어판 명칭=Kaiser Vorse Raider, 레벨=5, 속성=어둠, 종족=야수전사족, 공격력=1900, 수비력=1200,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500 올린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를 파괴한 몬스터의 공격력은 500 내린다.)] ||<-5>''나와라 카이저 블러드 볼스!'' - 유희왕 듀얼링크스, 카이바(DSOD) 전용 소환 대사. || ||<-5>''네 녀석의 몬스터를 파괴하는 것으로 이 카드의 공격력이 올라간다!'' ([[카이바(DSOD)(유희왕 듀얼링크스)|카이바(DSOD]],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①의 효과 대사)|| ||<-5>''이 몬스터가 파괴되는 것으로 네 녀석의 몬스터는 공격력이 내려간다!'' ([[카이바(DSOD)(유희왕 듀얼링크스)|카이바(DSOD]],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②의 효과 대사)|| ||<-5>''해치워라 카이저 블러드 볼스!'' ([[카이바(DSOD)(유희왕 듀얼링크스)|카이바(DSOD]],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공격 대사)|| [[유희왕 더 다크 사이드 오브 디멘션즈 MOVIE PACK]]에서 등장한 강화형. 왠지 라커 비슷하게 되었다. 레벨이 1 오르면서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없으면 자체적으로 패에서 특수 소환 가능한 능력을 얻었다. 선공을 가져간 경우 등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없는 경우에도 내놓을 수 있어서 [[사이버 드래곤]], [[포톤 스래셔]]의 상호호환으로 써먹을 수 있다. 그 외에 상대 몬스터를 전투로 파괴할 때마다 파워 업하는 효과와, 자신을 전투로 파괴한 몬스터의 공격력을 내리는 효과도 있다. 자신을 강화하고 상대를 약체화시키는 효과는 애니메이션에서 카이바가 사용했던 카드 중 하나인 [[뉴트]]와의 연관성도 있을 듯. 원본과 마찬가지로 [[극장판 유희왕 더 다크 사이드 오브 디멘션즈]]에서 카이바가 사용. 소환 후 [[엘프 검사]]를 파괴했으나, 이후 [[어둠의 유우기]]가 발동한 [[디멘션 매직]]의 후속 효과에 의해 파괴되었다. [[분류:유희왕/OCG/야수전사족]][[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