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2 블레이드}}}''' (1998)[br]Blad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블레이드 1998 포스터.jpg|width=100%]]}}} || || '''{{{#ffffff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공포]], [[액션]], [[SF]]}}} || || '''{{{#ffffff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스티븐 노링턴}}} || || '''{{{#ffffff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데이비드 S. 고이어]]}}} || || '''{{{#ffffff 원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마블 코믹스]] - 마브 울프먼, 진 콜란}}} || || '''{{{#ffffff 기획}}}''' ||{{{#!wiki style="margin: 0px 10px" 린 해리스, [[스탠 리]], [[아비 아라드]], 조셉 칼라마리}}} || || '''{{{#ffffff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피터 프랑크프루트, [[웨슬리 스나입스]], 로버트 잉글먼, 앤드류 J. 혼, 존 디벤스}}} || || '''{{{#ffffff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웨슬리 스나입스]], [[스티븐 도프]] 등}}} || || '''{{{#ffffff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테오 반 드 산드}}} || || '''{{{#ffffff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폴 루벨}}} || || '''{{{#ffffff 미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커크 M. 페트루셀리}}} || || '''{{{#ffffff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마크 아이샴}}} || || '''{{{#ffffff 의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소냐 밀코빅 헤이스}}} || || '''{{{#ffffff 무술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제프 워드}}} || || '''{{{#ffffff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아멘 라 필름스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이미지너리 포시스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마블 엔터테인먼트|마블 엔터프라이즈]]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뉴 라인 시네마]]}}} || || '''{{{#ffffff 수입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주)신필름}}} || || '''{{{#ffffff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뉴 라인 시네마]]}}} || || '''{{{#ffffff 스트리밍}}}''' ||{{{#!wiki style="margin: 0px 10px" [[왓챠|[[파일:왓챠 로고.svg|width=60]]]] | [[쿠팡 플레이|[[파일:쿠팡플레이 로고.svg|width=90]]]]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60]]]]}}} || || '''{{{#ffffff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1998년]] [[8월 21일]]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998년]] [[11월 7일]]}}} || || '''[[화면비율|{{{#ffffff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2.39 : 1}}} || || '''{{{#ffffff 상영 타입}}}''' ||{{{#!wiki style="margin: 0px 10px" [[필름]]}}} || || '''{{{#ffffff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120분}}} || || '''{{{#ffffff 제작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4,500만 달러'''}}} || || '''{{{#ffffff 월드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131,183,530'''}}} || || '''{{{#ffffff 북미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70,087,718'''}}} || || '''{{{#ffffff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195,835명'''[* 서울 관객 수만 표시함.] }}}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fffff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청소년 관람불가|[[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25]] {{{#000000 청소년 관람불가}}}]]'''}}} ----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파일:R등급 로고.svg|width=25]]}}} || || '''{{{#ffffff 링크}}}''' ||{{{#!wiki style="margin: 0px 10px" [[https://www.facebook.com/BladeFilmsOfficia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The power of an immortal. The soul of a human. The heart of a hero.''' >'''불멸의 힘, 인간의 영혼, 영웅의 마음.''' >---- > 북미 포스터 태그라인. [[블레이드 실사영화 시리즈]]의 첫번째 작품. 스티븐 노링턴 감독[* 블레이드의 개봉 이전에 데스머신이라는 공포영화를 만든적이 있는데 평가나 흥행에서 둘다 실패했고(...), 훗날 [[젠틀맨 리그]]의 [[젠틀맨 리그(영화)|영화판]]을 감독하게 된다.], [[웨슬리 스나입스]] 주연. [[스티븐 도프]]가 처음으로 대중에게 이름을 알린 영화이기도 하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vR8bncInVrA)]}}}|| || {{{#ffffff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O2Y3FFFIvRI)]}}}|| || {{{#ffffff '''▲ 4K 예고편'''}}} || == 시놉시스 == * 출처: [[다음 영화]] > [[출산]]을 바로 앞둔 [[산모]]가 응급실에 실려온다. 이미 위독한 상황에 있는 산모에게서 뱃속의 아이라도 살리기 위해 응급수술이 시작된다. 그러나 누구도 산모가 [[뱀파이어]]에게 물렸다는 사실을 모른다. > > 산모의 몸 속에 스며든 뱀파이어의 피는 아기의 혈관 속으로 스며들어 아이의 운명을 바꾼다. 반은 인간, 반은 뱀파이어로 태어난 블레이드(웨슬리 스나입스)는 자신의 어머니를 죽게 한 뱀파이어에 대해 복수를 다짐한다. > > 한편 뱀파이어들은 인간세계에 은밀히 섞여서 살고 있다. 지역지구장을 맡고 있는 뱀파이어 프로스트(스티븐 도프)는 자신의 세력 확장을 위해 무자비한 방식으로 인간을 공격한다. 그런데 프로스트가 가장 무서워하는 존재는 인간과 뱀파이어의 우성 유전자만을 이어받은 블레이드인데... == 등장인물 == * [[웨슬리 스나입스]] - [[블레이드(마블 코믹스)|에릭 브룩스 / 블레이드]] 역 * [[크리스 크리스토퍼슨]] - [[아브라함 위슬러]] 역 * [[스티븐 도프]] - [[디컨 프로스트]] 역 * 엔부쉬 라이트 - 캐런 젠슨 역 작중에서는 병원의 의사로 혈액전문의이며 작품의 [[히로인]]이다.[* 주인공의 [[여자]]가 아닌 또다른 여주인공이라는 의미에서의 히로인.] 병원에 거의 불타서 실려온 디컨의 똘마니 퀸에게 물렸는데 때마침 나타난 블레이드에게 구출된다. 그 후로 자신의 의지로 블레이드 일행과 함께한다. 전투력은 없다시피 하지만 일반인 치고는 킬카운트를 올렸고[* 뚱뚱해서 움직이지도 못하는 뱀파이어를 잡자 블레이드가 자외선 발광기를 주면서 움직이면 쏴버리라고 하고 잠시 한눈 파는데 이 뚱보 뱀파이어가 '''아주 약간''' 움찔하자 눈하나 깜짝이지 않고 사정없이 자외선으로 지져 [[끔살]]시킨다. 그리고선 블레이드에게 '''움직였어요.'''(...)]블레이드에게 뱀파이어 살상무기인 [[EDTA]](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 혈액 응고를 막는 데 쓰이는 화학물) 혈청을 제공하며 블레이드에게 물려 자신의 피를 빨게해줘 그의 기력을 회복시키는 등의 활약도 한다.[* 1편에선 주사기처럼 생겼고 약물이 주입되면 몸이 부풀어 올라 터져 죽는다. 이 무기는 2편에서도 개조되어서 활용되는데, 양팔목에 달린 칼날 모양의 무기 안에 독침처럼 장착되어 찌르는 순간 자동으로 주사하게 된다. 그런데 작중묘사를 보면 이 강력한 무기가 리퍼에게는 먹히지 않는 듯 하다.] * 도널 로그[* 훗날 드라마 [[고담(드라마)|고담]]에서 [[하비 불록(고담)|하비 불록]]을 연기한다.] - 퀸 역 디컨 프로스트의 똘마니. 블레이드에게 맨날 당하는 주제에 입만 살아있는 녀석. 블레이드에게 온몸이 태워지고[* 이 부분에서 (영화 촬영 당시)재미있는 일화가 있는데, 배우인 도널 로그는 평소 턱이 잘 빠지는 습관성 탈골이 있었다. 해당 장면 촬영을 위해 전신에 화상 분장을 하고 연기를 펼치던 도중, 하필 그 때 턱이 빠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결국 촬영은 중단되었고, 본인은 그대로 빠진 턱을 고치러 병원에 갔는데, 병원 관계자가 전신 화상 분장을 한 그를 보고는 소스라치게 놀랐다고 한다(...). 다행히 분장이라고 잘 설명해줬다고 한다.] 팔이 하나 잘렸지만 나중에 블레이드를 잡을 뻔한 상태에서 아무리 잘라도 내 팔은 또 생긴다며 유치하게 놀렸는데, 얼마 안 가서 다음 장면에 얼굴이 반쯤 갈리고 팔도 또 잘린다(…). 블레이드가 캐런 젠슨의 피를 마시고 원기회복해 프로스트 일당에게 덤빌 때, '''또''' 주제파악을 못하고 블레이드에게 덤볐지만 바로 블레이드에게 목이 잘린다.~~한심하다.~~ 사후 선글라스는 블레이드가 강탈(?)한다. * 산나 라단 - 버네사 브룩스 역 블레이드의 어머니로 디컨에게 당해 죽은줄 알았으나 노예[[흡혈귀]]가 되어버려 디컨의 [[첩]]이 되어 블레이드를 함정에 빠뜨리고 만다. 이때문에 충격을 받은 아들한테[* 블레이드는 그래도 어머니이기에 설마 자신을 함정에 빠뜨리지는 않을것이라 생각했다.] 의절을 당하고 오히려 자신의 자식인 블레이드를 정말 진심으로 죽이려고 역패드립을 치다가 결국엔 분노한 [[존속살해|자기 자식 손에 끔살당하는 최후]]를 맞게 된다. 원작에서는 그냥 병원에서 사망한다. * 알리 조버 - 머큐리 역 디컨 프로스트의 애인. 캐런이 입안에 [[마늘]] [[스프레이]]를 뿌리는 바람에 괴로워 하다가 '''머리가 터져서''' [[끔살]]. [[KOF 시리즈]]에 나오는 [[미스티]]의 모티브가 되었다. * 팀 귀니 - 커티스 웹 역 캐런 젠슨과 재결합을 원하지만 번번이 거절당하는 의사로 캐런과 함께 디컨의 똘마니 퀸의 시체를 살펴보다가 벌떡 일어난 퀸에게 물려 피를 빨린다. 이후 등장이 없어 사망한 줄 알았는데, 흉측한 [[좀비]]와 비슷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프로스트의 말에 따르면 퀸이 통구이 상태일 때 피를 빤거라 뱀파이어가 되는게 아니라 이상한 부작용이 생겨버렸다. 캐런을 알아보고 재결합 얘기를 또 꺼내지만 이미 정신 상태가 좋지 못한 터라 곧이어 캐런을 공격하려 한다. 하지만 캐런에게 오히려 얻어맞고 쓰려져서 섬뜩한 비명만 지르고 [[개발살]]나 [[리타이어]]. * ~~[[모비우스]]~~ 본래 삭제된 결말에서 등장했으나 모종의 이유로 삭제되었다.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젊고 야심만만한 뱀파이어 '''[[디컨 프로스트]]'''는[* 순혈은 아니고 원래 인간이었던 후천적 뱀파이어다.] 전설 속의 피의 신 '라마그라'를 자신에게 강림시켜 세계의 지배자가 되고자 한다. 이를 저지하기 위해 인간과 뱀파이어의 [[혼혈]]인 블레이드가 나선다. == 사운드트랙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blade, critic=45, user=8.7)]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1083484-blade, tomato=55, popcorn=78)] [include(틀:평가/IMDb, code=tt0120611, user=7.1)]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blade, user=3.3)]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19259, presse=없음, spectateurs=3.2)]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4554, user=7.3)]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85014, user=3.6)]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32649, user=3.5)]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10448, user=7.1)]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1298120, user=7.0)] [include(틀:평가/왓챠, code=myWqGod, user=3.6)]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45799, light=88.28)]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9459, expert=없음, audience=없음, user=8.38)]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708, user=8.2)] [include(틀:평가/CGV, code=없음, egg=없음)] [include(틀:평가/MRQE, code=blade-m100065057, user=61)]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A-)] [include(틀:평가/TMDB, code=36647-blade, user=67)]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blade, user=7.1)] [include(틀:평가/RogerEbert.com, code=blade-1998, user=3)] > Though some may find the plot a bit lacking, Blade's action is fierce, plentiful, and appropriately stylish for a comic book adaptation. >---- > '''몇몇 관객은 플롯이 약간 부족하다고 느낄지도 모르지만, <블레이드>의 액션은 맹렬하면서도 풍부하고, 코믹북을 각색한 영화에 걸맞게 스타일리시하다.''' > - [[로튼 토마토]] 총평 > '''요즘 [[흡혈귀]]들은 환각제 섞인 피를 즐긴다''' >---- > - [[박평식]] '''(★☆)''' > '''영화 오락의 잔혹성. 이제 갈 데까지 갔다''' >---- > - 강한섭 '''(★★)''' > '''지나치게 허세를 부리고 쓸데없이 긴 오락영화''' >---- > - 김영진 '''(★★)''' 평단에게는 그다지 영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지만[* 다만 예외는 있듯이, [[로저 이버트]]는 별 3개를 주면서, 비주얼과, 카메라 촬영, 분장 외에 영화의 여러 요소를 호평했다.], 관객들에게는 그 당시로써는 생소한 호러 + 액션영화로 좋은 평가를 받고 흥행에도 성공했다. 2023년 시점에서 봐도 꽤 시원시원하게 전개되는 액션영화다. == 흥행 == ||<-7><:>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링크)/|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131,183,530''' ||<:> '''(기준일자)'''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미정 ||<:> '''$70,087,718''' ||<:> 미정 || 4천 5백만 달러의 제작비를 들여서 관객 파이층에 한계가 생기는 R등급 호러임에도 1억 3천 100만 달러의 흥행수익을 기록해서 같은 마블 계열의 [[맨 인 블랙 실사영화 시리즈|맨 인 블랙 시리즈]]가 시작한 [[마블 코믹스/영화|마블 실사영화]]의 흥행 기세를 이어갔다. 국내에서는 청소년 관람 불가 등급으로 개봉해 서울 관객 195,835명을 동원했다. == 기타 == * 개봉 당시에는 이 영화가 [[마블 코믹스]]를 원작으로 하는 작품인지 모르는 사람이 많았다. 그도 그런것이 당시 만화원작인 영화가 생각만큼 인식이 좋지 않았기에 그냥 뱀파이어가 등장하는 영화 정도로만 생각됐었다.[* 물론 [[DC 코믹스]] 원작인 [[리처드 도너]] 감독의 [[슈퍼맨(영화)|슈퍼맨]]과 [[팀 버튼]]이 감독한 [[배트맨(1989년 영화)|배트맨]] [[배트맨 2|시리즈]]는 그래도 흥행에 성공했지만...] 하지만, 1편이 흥행에 성공하고 마블 원작인 영화라는것이 밝혀지면서 주목을 받게되고 이후, [[샘 레이미]]의 '''[[스파이더맨 트릴로지|스파이더맨]]을 비롯해 마블 슈퍼히어로 무비제작에 본격적으로 불을 지피게 된다.''' * [[스티븐 도프]]는 블레이드 리부트판이 스티브 노링턴 감독이 참여한 1편을 능가 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https://variety.com/2023/film/news/stephen-dorff-marvel-garbage-mcu-blade-wesley-snipes-1235503432/|#]] 이런 발언이 자신이 참여한 작품이라서 추켜세우는 게 아니라 최근 마블 영화의 실망스런 행보, 블레이드 리부트가 PG등급으로 제작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들었다. == 관련 문서 == * [[블레이드(마블 코믹스)]] == 외부 링크 == ## 해당 작품과 관련 있는 외부 사이트의 링크를 기재하는 문단입니다. ## 아래 예시에 삽입된 주소와 문구를 연결을 원하는 사이트로 교체합니다. == 둘러보기 == ## 해당 작품과 관련된 둘러보기 틀을 배치하는 문단입니다. ## 최상단 둘러보기 틀은 최대 2개까지만 배치할 수 있으니 더 많은 둘러보기 틀을 넣길 원하면 본 문단에 배치하세요. [include(틀:블레이드 실사영화 시리즈)]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블레이드 실사영화 시리즈, version=143)] [[분류:미국의 액션 영화]][[분류:미국 공포 영화]][[분류:미국의 SF 영화]][[분류:1998년 영화]][[분류:뉴 라인 시네마]][[분류:블레이드(마블 코믹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