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브루드 워/리마스터/등급전 맵/2018년 시즌1)] [include(틀: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2><#0000FF><:> '''{{{#white 블루스톰(Blue Storm)}}}'''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lue storm.jpg|width=100%]]}}} || ||<-2><#FF2400><:> '''{{{#white 맵 정보}}}''' || ||<:> '''타 입''' || 고지형 힘싸움맵 || ||<:> '''사이즈''' || 128 × 96 || ||<:> '''인원수''' || 2인용 || ||<:> '''타일셋''' || Twilight (황혼) || ||<:> '''맵 제작자''' || [[김응서]] || ||<-2><#FF2400><:> '''{{{#white 이 맵이 사용된 블리자드 공식 리그}}}''' || ||<-2><:> [[곰TV MSL 시즌3]] [[EVER 스타리그 2007]][br][[곰TV MSL 시즌4]][br][[박카스 스타리그 2008]][br][[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리그]][br][[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br][[WCG|WCG 2008]][br][[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1]] || [목차] == 소개 == [[스타크래프트]]의 맵. [[저그]]가 여러모로 유리하다는 평이 대세지만, 전체적으로는 밸런스가 나름 잘 잡힌 [[개념맵]]이다. == 경기 양상 == 주된 양상은 두 가지 정도로 꼽을 수 있다. 초반 [[날빌]]을 통한 한방 or 장기전 반땅싸움. 이런 형태는 [[2인용맵]]에서 자주 일어나는 현상이긴 하지만 이 맵은 그 현상이 극대화됐었다. 본진 구석이 굉장히 넓어 몰래 건물을 모르고 있다가 헉하고 당할 수도 있고[* 토스는 아예 멀티쪽의 상대편 본진 가까운 언덕에 파일런을 짓고 상대 본진 쪽에 몰래 게이트를 짓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테란은 아예 언덕 쪽에 팩토리를 짓고 날리는 방법도 사용했다.], 3, 9시 지역 구석이나 앞마당 뒷편 언덕에서 좁은 샛길을 이용한 [[전진 게이트]]나 [[전진 병영|전진 배럭]] 등등 각종 전진 건물 시리즈 및 몰래 건물 시리즈를 하기에 최적화 된 맵이라 많은 [[프로토스]]나 [[테란]] 유저들은 전략적 플레이로 승부수를 띄우는 경우가 많았다. 테란 입장에서는 토스 상대로 (날빌이라기보단 정석적인 빌드에 가깝지만) [[투팩토리|투팩]]이나 [[원팩 더블]]이후 타이밍 러시를 구사하기도 상당히 좋은데, 바로 앞마당 언덕 뒷편에서 상대 [[연결체|넥서스]]에 탱크 포격이 직접적으로 닿기 때문에 앞마당만 파괴해도 큰 이득이었으며, 이 [[타이밍#s-1|타이밍]]을 막으려면 언덕을 한바퀴 멀리 돌아서오거나 [[왕복선|셔틀]]을 활용해야 하는 등 공격측에 유리한 점이 매우 많기 때문. 굳이 타이밍 러시를 가지 않아도 반땅 싸움으로 끌고 가기에도 매우 좋다. 토스도 테란의 방어선이 하나라 뚫기가 어렵지만 멀티 사이사이 지형이 복잡해 구원군을 보내기 어려워 동시다발적인 리콜이나 [[우주모함|캐리어]] [[순회공연]]을 하기도 좋다. 저그의 경우에도 뮤탈 올인이나 [[땡히드라]] 등의 플레이를 하기에 적합해서 [[저그]] 입장에서도 각종 날빌을 구사하기 나쁘지 않았다. 블루스톰에서 한 경기들을 모아보면 날빌이란 날빌은 다 볼 수 있다. 이따금씩 양 선수가 동시에 날빌을 시도해 [[엘리전]]으로 가며 엽기적인 경기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또 무난하게 경기 중반을 넘기면 반땅 싸움으로 흘러가기도 쉬운데, 절반으로 나뉜 센터 지역의 지형상 상대 진영으로 넘어가긴 어렵고, 자기 진영에서 지키기는 쉽기 때문이다. 그리고 자신이 지키기만 해도 본진 포함 멀티 5개를 한 방어선 내에서 지킬 수 있기 때문에 굳이 상대의 약점이 보이지 않는 한 지키려는 플레이가 우선시되었다. 이처럼 맵의 자원이 다 고갈될 때까지 싸우는 경기도 자주 나온 편이었다. 특히 블루스톰에서의 [[테테전/스타크래프트|테테전]]은 거의 [[수면제]] 수준. 심지어 [[무승부]]로 인하여 재경기 판정까지 나온 적도 있었다. 그나마 전선이 고착화되지 않고 계속되는 전투와 난전 양상으로 자주 흘러가는 [[저프전/스타크래프트|저프전]]이 이런 양상에서 조금이나마 벗어났긴 했지만, 어쨌든 거기서 거기다. [[테저전/스타크래프트|테저전]]에서는 저그의 [[2해처리 뮤탈리스크]]를 막기 어려웠다. 저그는 [[2해처리 뮤탈]] 이후 테란의 앞마당과 가까운 가스멀티 획득 후 [[수호군주|가디언]]이나 이후 운영을 하기도 용이했고, 앞마당 자체가 뮤탈리스크 견제에 최적화되어 테란들이 고전을 면치 못했다. 대신 극후반 반땅 싸움으로 가면 결국 4가스 vs 4가스 구도라 테란이 유리했다. 대표적인 경기는 프로리그에서 펼쳐진 [[이영호]] vs [[박문기]]로, 초중반 박문기의 압도적 우세 속에서 박문기는 [[울트라리스크]]를 퍼주는 등 방심하는 모습을 보였고, 결국 이영호 특유의 다수의 탱크로 버티기 작전으로 결국 자원이 바닥난 박문기는 역전패를 당했다. 이 맵에서 [[2해처리 뮤탈]]을 가장 잘 구사한 건 역시 [[이제동]]이었다. 곰티비 클래식 시즌 2에서 이영호를 세트 스코어 3:0으로 KO, 또한 [[EVER 스타리그 2007]] 4강에서는 [[신희승|신베팅]]을 3:0으로 격파하는 등, 이제동의 [[2해처리 뮤탈]]을 테란들은 막아내지를 못했다. == 이야깃거리 ==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프로리그]], [[양대 리그]]([[온게임넷 스타리그|스타리그]], [[MSL]]) 가리지 않고 널리 사용되었다. 1.0 시절에는 앞마당 미네랄 뒤 공간이 좁아 [[저그]]가 유리한 맵이었으나, 1.2 버전에서 그 공간을 넓힌 후로는 [[밸런스#s-2.1|밸런스]]가 상당히 잘 맞았다. [[EVER 스타리그 2007]] 4강 2세트 [[이제동]] vs --[[신희승]]-- 경기에서 이제동이 전설의 '''2부대 [[뮤탈]] 컨트롤'''을 사용하면서 이 맵에서 승리를 거뒀다. 경기 초반 [[이제동]]은 --신희승--의 전략에 속으며 레이스에 많은 오버로드를 잡혀 불리했는데, 이후 뮤탈만을 계속 모아 뮤탈 2부대로 상대 앞마당과 본진을 동시 타격하는 극강의 멀티태스킹을 선보였다. 이를 본 [[엄재경]] 해설위원은 이제동에게 '[[팔]]이 네 개인가요? [[마우스(입력장치)|마우스]] 두 개로 컨트롤 하나요?'라며 극찬을 하였다. [[김택용]]이 공식전에서 --[[마재윤]]--에게 처음으로 [[http://www.youtube.com/watch?v=JnnTlpDDIoY|패배를 했을 때]] 이 곳에서 패배했고, [[박성준(1986)|박성준]]이 우세승을 얻은 [[https://youtu.be/BZNOMUH1Fi0|일명 디스코 사건]]도 이 곳에서 일어났다. [[EVER 스타리그 2007]] 4강에서 자신의 숙적 [[송병구]]에게 '''0:3'''으로 KO당했을 때의 3세트 맵이기도 하고 [[박카스 스타리그 2008]] 4강 4세트 [[이영호]]와 반땅승부 끝에 캐리어가 털리며 패했다.[* [[김캐리|캐리어만 보면 눈이 확 뒤집히는 것으로 유명한 모 해설가]]는 김택용이 GG를 칠때 "캐리어 GG"라고 했을 정도였다.] 역대 [[저프전/스타크래프트|저프전]] 명경기를 꼽자면 반드시 들어가는 [[이제동]]이 [[김택용]]의 [[커세어 리버]]를 상대로 [[네오 사우론 저그]]로 맞서 승리한 맵으로, [[https://youtu.be/aFc6WZOHCrQ|저프전 최고의 명경기 중 하나]]. 또, 이 곳에서 두고두고 명경기로 회자되는 [[이영호]]와 김택용의 [[박카스 스타리그 2008]] 4강 4경기 [[김캐리버]] [[https://youtu.be/9XqBggHyDvk|3탄]]의 주인공이었다. 위의 마조작이나 박성준 상대로 임팩트있게 패한 것까지 포함, 이 맵에서만 김택용의 전적이 유독 나쁜 편이라서 일명 '''택까스톰'''이라는 좋지 않은 별명이 붙기도 했다.[* 그런데 정작 김택용 인생의 가장 치욕적인 패배 중 하나인 [[곰TV MSL 시즌3]]의 결승전(VS [[박성균]])은 '''여기서만 이겼다'''. 반대로 김택용이 대단한 활약을 보여서 '''"코키"'''라고 불리는 [[로키(스타크래프트)|로키 2]]에서는 역대 최초의 [[마패관광]]을 당하고 진건 덤.] 사실 공식전 전적 19전 8승 11패(42.1%)로 아주 못했다고는 하기 어려운 전장이지만 하도 임팩트있게 진 경기가 많아서(...). 김캐리버 시리즈의 원조인 [[송병구]]도 EVER 스타리그 2007 [[https://youtu.be/X46RS2LsjNo|결승전 4세트]]에서 [[이제동]]에게 패하면서 준우승에 그친 적이 있는 맵이다. 반면 [[배병우]]는 유독 이 맵에서 놀라운 활약을 펼치면서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리그]] 신인왕을 받았다. 그래서 이 맵을 병우스톰이라 부르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 맵이 사라진 뒤 그는 자연스럽게 몰락했다.~~[* 그래도 배병우는 블루스톰이 빠진 뒤에도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1]]에 진출하여 36강을 기록했다.] 거기다 이제동도 이 맵에서 상술한 --신희승--과의 경기, 김택용과의 경기 등 인상적인 승리를 많이 거두기도 했으며, 그가 상술한 옛날토스 경기에서 송병구를 꺾고 최초로 우승을 하며 로열로더가 된 전장이 여기이기도 하다. 사실 이제동의 블루스톰 공식전 전적은 19전 11승 8패(57.9%)로 그닥 고승률이라고 하기는 어려움에도 그 입장에서는 영광의 순간이 되었던 적이 많았던 전장.[* 블루스톰이 사용된 양대리그 4개 대회 중 2개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나머지 2번 중 1번은 본선에 진출을 못했고 나머지 1번은 8강에서 이영호에게 석패했다. 거기다가 은퇴 이후에 [[KSL]]에서도 블루스톰이 사용되었던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시즌 1]]에 준우승을 차지했다.] 참고로 저 전적을 자세히 보면 알겠지만 김택용의 블루스톰 공식전 전적의 정확히 반대이다(...). [[손석희(프로게이머)|손석희]]는 이 맵에서 대놓고 [[패스트 캐리어]]로 [[염보성]]을 격파한 바 있다. 염보성은 일찌감치 4가스를 먹으며 골리앗 블러드로 느긋하게 승리를 챙길 생각이었지만, 1부대가 넘는 캐리어의 정교한 컨트롤에 결국 패했다. 염보성 스스로도 어이가 없었는지 [[GG]] 치기 전 고개를 절레절레 하는 모습이 카메라에 잡혔을 정도다. [[강민]]이 [[권수현(프로게이머)|권수현]]을 상대로 전진포톤 러시+미친 심시티로 영혼까지 털어먹었던 전적도 있다. 확실히 [[몬티홀(스타크래프트)|몬티홀]]도 그렇고 어째 [[저그]]들만 잘 당한다. [[박세정]]이 ~~[[김창희(1989)|김창희]]~~에게 타이밍 러쉬와 마인대박으로 인해 패색이 짙어진 상황에서 다크템플러와 3차례의 마인 역대박을 통해 대역전승을 거둔 경기도 유명하다. 이 맵을 3인용으로 재해석한 [[어센션(스타크래프트)|어센션]]이라는 맵이 등장했는데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1]] 공식맵으로 채택됐다. [[분류:스타크래프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