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블리치)] ||<-2>
{{{#000000 '''{{{+2 블리치}}}''' (2018)[br]''BLEACH''}}}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블리치(영화).jpg|width=100%]]}}} || || '''{{{#000000 장르}}}''' ||[[액션]], [[판타지]], [[모험]], [[공포]] || || '''{{{#000000 감독}}}''' ||사토 신스케 || || '''{{{#000000 제작}}}''' ||영화 「BLEACH」 제작위원회 || || '''{{{#000000 각본}}}''' ||사토 신스케, 하바라 다이스케 || || '''{{{#000000 원작}}}''' ||[[쿠보 타이토]] || || '''{{{#000000 출연}}}''' ||[[후쿠시 소타]], [[스기사키 하나]], [[요시자와 료]] 외 || || '''{{{#000000 음악}}}''' ||야마다 유타카 || || '''{{{#000000 제작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Cine Bazar || || '''{{{#000000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워너 브라더스|워너 브라더스 재팬]] [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넷플릭스]] || || '''{{{#000000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8년]] [[7월 20일]] || || '''{{{#000000 상영 시간}}}''' ||108분 || || '''{{{#000000 제작비}}}''' ||360만 달러 || || '''{{{#000000 월드 박스오피스}}}''' ||'''$3,247,531''' ([[2018년]] [[7월 29일]] [[https://www.boxofficemojo.com/movies/intl/?page=&wk=2018W29&id=_fBLEACH01|기준]]) || || '''{{{#000000 공식 홈페이지}}}''' ||[[http://wwws.warnerbros.co.jp/bleach-movie/|홈페이지]]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000000 상영 등급}}}]]''' ||미정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58Txqly_BzM)] [[쿠보 타이토]]의 만화 [[블리치]]를 원작으로 제작된 [[영화]]. 주제가는 [[\[Alexandros\]]]의 Mosquito Bite. 《[[겟 스마트]]》의 피터 시걸(Peter Segal)가 프로듀서, 《[[타이탄의 분노]]》의 댄 마조(Dan Mazeau)가 각본을 맡아 [[할리우드]]에서 제작될 예정이었지만,[[http://variety.com/2012/film/news/wb-developing-pic-of-manga-bleach-1118050608/|#]] 무산되고 [[일본]]의 스탭과 배우들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바로 이것. [[워너 브라더스]]가 배급을 담당하는 것은 유지되었다. == 시놉시스 == || '''[[호로(블리치)|호로]]. 인간의 혼을 먹는 악령. 호로를 막을 수 있는 단 하나의 존재는...''' '''유령을 볼 수 있는 고등학생, [[쿠로사키 이치고]]는 호로를 퇴치하기 위해 [[소울 소사이어티]]에서 인간계로 온 [[쿠치키 루키아]]와 만나게 된다. 이치고와 그의 가족들을 지키다가 큰 부상을 입게 된 루키아는 이치고가 대신 싸울 수 있게 사신의 힘을 양도하고 이치고는 [[사신대행]]이 된다.''' || 원작 및 애니판과 차이가 있다면 일단 시대배경이 2010년대 중후반으로 변경 때문에 호로 탐색기의 형태도 폴더폰이 아닌 레이더 장치겸 앱폰의 형태로 보여지며 이치고를 포함한 주역들도 2학년인 16세 시점이며[* 이시다가 루키아에 대해 이치고에게 캐물을 때 이치고가 '''1년전에 전학왔으면서 대화하는 건 오늘이 처음이네''' 라는 대사로 알수 있다. 다만 북미 위키에서는 원작처럼 1학년인 15(feefteen)으로 표기하고 있다.] 사신들의 복장이나 이치고네 학교 여학생들 교복 복장컨셉도 다수 변경[* 원작 및 애니에서 루키아를 포함한 사신들은 교복차림에서 양말이 검은 색위주이고 일반인학생들은 흰색위주였으나 실사판에서는 같은 회색으로 통합 사신들도 타비(일본식양말)에다 게다를 착용하는 것이 아닌 일본식 엄지발가락이 나눠진 부츠로 변경되었다. 일반급은 검은색이지만 바쿠야 같은 대장급은 흰색.], 이치고가 어머니 미사키의 죽음이 자신의 책임이라고 말할때 대화 상대가 루키아에서 아버지인 쿠로사키 잇신으로 바뀌었고 중반부 부터 렌지가 이치고를 습격하면서 첫 대면+중도에 이시다 우류까지 난입한다는 점[* 공원에서 날뛴 거미형호로를 정화한 것도 이치고가 아닌 렌지였다.], 종반부에 이치고가 우류와의 협공으로 그랜드 피셔를 해치워 어머니의 원수를 갚고 루키아가 뱌쿠야, 렌지와 함께 귀환할 때 이치고에게 나눠준 영압을 완전히 흡수하여 사신에 대한 정보 및 자신과 만난 기억을 전부 소거[* 심지어 갈구면서 발길질 한번 뿐이지만 이치고를 전투불능으로 만드는데 마무리한 것도 루키아다.] 참월까지 회수 한 채로 돌아갔기에 극형을 면했다는 점이다. == 등장인물 == * [[쿠로사키 이치고(블리치 영화)]] - [[후쿠시 소타]][* [[가면라이더 포제]]의 [[키사라기 겐타로|주인공]] 역할을 맡은 바 있다.]([[신용우]][*애니판 애니판과 같다.]), 타카무라 카이토(어린시절) * [[쿠치키 루키아]] - [[스기사키 하나]][* [[후쿠시 소타]]와 같이 [[무한의 주인(영화)|무한의 주인]]에 나온적이 있다.]([[이현진(성우)|이현진]][*애니판]) * [[이시다 우류]] - [[요시자와 료]][* [[가면라이더 포제]]에서 [[사쿠타 류세이|2호 라이더]] 역할을 맡았다.]([[김명준(성우)|김명준]]) * [[쿠치키 뱌쿠야]] - [[미야비(가수)|미야비]]([[엄상현]][* 이후 [[블리치 천년혈전 편]]에서도 같은 역을 맡았다.]) * [[이노우에 오리히메]] - [[마노 에리나]][*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포제&오즈 MOVIE 대전 MEGAMAX]]에서 [[미사키 나데시코|3호 라이더]] 역할을 맡았다. 때문에 시사회에서는 오리히메 의상으로 나데시코 포즈를 취하는 사진도 있다.]([[정소영(성우)|정소영]][*애니판]) * [[사도 야스토라]] - 코야나기 유우([[정성훈]][* 이후 천년혈전편에서 릴제 바로를 연기했다.]) 원작에서처럼 과묵한 편이며 패스트 푸드점에 그랜드 피셔가 던진 잔해가 날아올때 그 잔해를 한손으로 붙잡아 막는 데다 사신대행상태의 이치고의 모습을 보며 잠시 대화를 나누었고 풀브링거의 잠재력을 보여준 인물 * [[아바라이 렌지]] - 사오토메 타이치([[장민혁]][*애니판]) * [[아리사와 타츠키]] - 이토 리사코 엄청 변화가 가해졌다 그것도 헤어스타일이 뱅헤어로 * [[아사노 케이고]] - 야마다 히로히토([[민승우]]) 헤어스타일이 짧게 바뀌었지만 성격은 원작과 동일 * [[우라하라 키스케]] - 타나베 세이이치([[최한]][*애니판]) * [[쿠로사키 잇신]] - [[에구치 요스케]]([[홍진욱]][* 이후 [[블리치 천년혈전 편]]에서 [[아즈기아로 이반]]을 맡는다.]) 일단 소울 소사이어티 출신이 아닌 평범한 영능력자이거나 소울 소사이어티 태생이더라도 하급 혼백으로 설정이 변경된 것인지 묘소에서 그랜드피셔와 대면할 당시 카린과 유즈를 찾으러 왔다가 곧바로 루키아의 귀도술에 의해 잠시 기절했다. * [[쿠로사키 마사키]] - [[나가사와 마사미]]([[오인실]]) * [[쿠로사키 유즈]] - 히라사와 코코로([[이재현(성우)|이재현]]) * [[쿠로사키 카린]] - 안도 미유([[조경이]]) 역시 비중은 적은 편 여기서는 자매 둘다 머리카락이 장발인 것으로 바뀌었다. * 그랜드 피셔 여기서는 당시 어린시절 이치고가 목격했던 소녀가 호로가 되기 이전 생전의 인간모습으로 설정이 변경[* 원작에서는 그랜드 피셔에게 흡수된 영혼중 하나로 추정] 루키아가 공식으로 인증했다. 심지어 아란칼조차 되지 못하고 이시다를 포함한 친구들의 도움을 얻은 이치고의 손에 정화된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bleach_2018, tomato=71, popcorn=76)] [include(틀:평가/IMDb, code=tt5979872, user=6.4)]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bleach, user=2.9)]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1007427, user=6.141)]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57980, user=3.32)]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36310, user=5.9)]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4844731, user=4.9)] [include(틀:평가/왓챠, code=mWpmbrM, user=2.0)]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68061, light=28.57)]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69666, expert=없음, audience=없음, user=없음)]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19406, expert=없음, user=4.6)] 영화 자체는 상당히 볼만하다. 음악과 연출이 상당히 빼어나며, 스토리도 준수하게 각색됐고 액션도 평타 이상은 친다. 주연 배우들의 연기도 많이 오글거리지 않게 잘 연출되었다. 다만 렌지와 바쿠야의 모습에서 많은 호불호가 갈린다. [[실사화]]에 항상 따르는 우려와 다르게 스토리도 설명이 부족한 부분이 있었지만, 완급조절은 했고 무엇보다도 [[CG]]가 최소한 보는데 방해되지는 않는다는 평. 그러나 만화 원작의 실사화 작품들의 연이은 실패로 이러한 만화원작인 실사화 작품의 제작이 제동이 걸릴 것이라는 평가도 있다.--다행이다-- == 흥행 == ||<-7> 출처 : [[https://www.boxofficemojo.com/movies/intl/?page=&wk=2018W29&id=_fBLEACH01|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단위 :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2018년]] [[7월 20일]] || '''$3,247,531''' || [[2018년]] [[7월 29일]] || ||<-4> 개별 국가(개봉일순,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일본]]''' || [[2018년]] [[7월 20일]] || '''$3,247,531''' || [[2018년]] [[7월 29일]] || [[일본 영화]]로서는 보기 드물게 제작비를 완전히 공개했다. 360만 [[미국 달러|달러]]를 제작비로 사용했으며, 마케팅 등 제반비용을 감안한 [[손익분기점]]은 1천만 [[미국 달러|달러]]라고 밝혔다. 하지만 같은 시기 개봉작들이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 [[인크레더블 2]] 등 흥행작들이어서 최악의 대진운으로 시작했다. 결과적으로 누적수입 5억 엔으로 총비용의 절반 남짓만 회수하여 흥행에 참패했다. === [[일본]] === [[파일:e2r34234234.png]] 개봉 첫 주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 [[미래의 미라이]], [[모두의 이야기|극장판 포켓몬스터: 모두의 이야기]]에 밀린 4위에 그쳤다. [[파일:wef21213.png]] 개봉 2주차에 [[박스오피스]] 5위로 하락했고, 개봉 3주차만에 박스오피스 Top 10 밖으로 나가 떨어지고 말았다. [[파일:wef1adcac.png]] 한국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에 등록된 최종 박스오피스 누계 집계는 4억 4800만 엔 선. 결국 [[http://bbs.ruliweb.com/av/board/300013/read/2501845|누적수입이 5억엔]]으로 마무리 되었다. === [[북미]] === [[2018년]] [[7월 28일]]에 [[뉴욕]]의 JAPAN CUTS: 일본 영화 축제에서 개봉했고 [[9월 14일]]에 [[넷플릭스]]를 통해 배급됐다. === [[한국]] === [[넷플릭스]]를 통해 배급한다. 기존 성우진을 어느 정도 유지한 모습이 호평 받았다. 다만 성우진을 공개 하지 않아 어떤 성우들이 출연한건지는 불명. ~~그래서인지 박성태의 이치고, 남도형의 우류, 김연우의 오리히메는 들을수 없게 되었다.[* 세 성우는 [[가면라이더 포제]]에서 3명의 [[키사라기 겐타로|라]][[사쿠타 류세이|이]][[미사키 나데시코|더]]를 맡았기 때문.]~~ ~~그런데 [[강연금]]은 성우 전부 교체 됐다.~~ === [[중국]] === [[http://www.cbooo.cn/m/680846|블리치 중국 실시간 박스오피스(단위: 위안)]] [[2019년]] [[4월 19일]] [[중국 영화]] [[영화 시장|시장]]에 정식 개봉한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ptj0969&logNo=221557173082&proxyReferer=https%3A%2F%2Fm.search.naver.com%2Fsearch.naver%3Fsm%3Dmtp_hty.top%26where%3Dm%26query%3D%25EB%25B8%2594%25EB%25A6%25AC%25EC%25B9%2598%2B%25EC%2598%2581%25ED%2599%2594%2B%25EC%25A4%2591%25EA%25B5%25AD|중국에서 대흥행을 기록했다고 한다.]] == 기타 == * 감독 사토 신스케가 뽑은 본작의 테마는 '[[쿠로사키 이치고|이치고]]와 [[쿠치키 루키아|루키아]]의 우정'이라고 한다. * 원작자 [[쿠보 타이토]]는 당시에 최종장을 연재 중이라 시간적 여유가 없었고, 무엇보다 감독이 원작을 어떻게 다루는지 지켜보기 위해서 제작에 크게 관여하지 않았다고 한다. 영화가 마음에 들지 않았으면, 코멘트도 쓰지 않으려고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좋은 작품을 만들어줬다고 평가했다.[[https://www.dmitory.com/comic/31287549|#]] * 이치고, 우류, 오리히메 역의 배우가 과거 [[가면라이더 포제]]에 출연한 경력이 있는지라 포제 동창회라고 칭해지기도 하며, [[가면라이더 지오 스핀오프 지오 보완계획]]에서 대놓고 언급했다. [[분류:2018년 영화]][[분류:일본의 액션 영화]][[분류:일본 공포 영화]][[분류:일본의 판타지 영화]][[분류:일본의 모험 영화]][[분류:블리치/미디어 믹스]][[분류:일본 만화 원작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