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건담 F91)] ||<-2>
'''{{{#fff XM-07B[br]Vigna Ghina II}}}''' || || [[파일:XM-07B_Front.jpg|width=100%]] || [[파일:XM-07B_Rear.jpg|width=90%]]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제원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형식번호 ||XM-07B || || 명칭 ||비기나 기나 II[br]ビギナギナII[br]Vigna Ghina II || || 타입 ||프로토 타입 지휘관 전용 모빌슈트 || || 제작 및 설계 ||붓호 에어로다이나믹스 || || 운용조직 ||[[크로스 본 뱅가드]] || || 조종계통 ||[[리니어 시트]]형 콕피트에 파일럿 1명 || || 파일럿 ||[[도렐 로나]] || || 장갑재 ||티타늄 합금 고강도 세라믹 복합제 || || 동력원 ||미노프스키 타입 초밀도 핵융합 발전기 || || 기타 장비 ||빔 플래그 발생기 || || 고정 무장 ||발칸 건 x 2 [br] 빔 사벨 x 2 [br] [[빔 실드]] || || 옵션 무장 ||헤비 머신건 두정 내장형 샷 랜서 || }}}}}}}}} || [목차] [clearfix] == 개요 == [[기동전사 건담 F91]] [[MSV]]에 등장하는 기체로 [[비기나 기나]]의 개수형 중 [[플랜B]] 방안을 채택해 만든 [[모빌슈트]]. 전신을 [[빨간색]]으로 칠했고 팔에는 개조형의 [[샷 랜서]]와 출력강화형 [[빔 실드]]를 고정 장비한다. 백팩에는 비기나 기나에 채용된 핀 노즐이 아닌 플렉시블 윙 노즐을 장착했으며, 특이하게 건담 헤드를 달고 있다. 어깨 측면에 장착된 숄더 핀이나 [[건담 헤드]] 등 [[사나리]]의 [[건담 F91]]을 모방한 부분이 상당수 발견되기에 비밀리에 입수한 F91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만든 기술이 아니냐는 설이 돌지만 어디까지나 소문일 뿐이고 붓흐 콘체른은 일절 노 코멘트. 숄더 핀은 실제로 냉각효과가 있었지만, 윙 노즐의 경우 F91과 외견만 비슷할 뿐 [[베스바]]가 장착된 것이 아니며 VSBR는 G안으로 제작된 [[비기나 제라]]가 장비한다. 본 기체를 개발하게 된 경위나 시기 등은 여러 가지로 불명인 점이 많지만, 전반적인 기체 형태가 비기나 기나보다 비기나 제라와 더 많이 닮아 있다는 점을 미뤄 보면 이 기체의 무장을 더욱 발전시켜 진짜로 베스바를 장착한 것이 비기나 제라가 아닐까 하는 의견도 있다. 크로스 본 뱅가드의 정예부대중 하나인 레드 뱅가드대에 배치될 예정이었다고 하지만 자세한 것은 불명. 디자이너 [[오오카와라 쿠니오]]는 건담 매거진 제 5호에서 '''F91의 실전 데이터를 참고로 [[비기나 기나]]를 개조한 기체. 파일럿은 [[도렐 로나]]인게 맞지 않을까'''라고 코멘트한 적이 있다. 덕분에 [[SD건담 G제네레이션 OVER WORLD]]의 설정에서는 원래 [[파일럿]]이 도렐 로나로 표기되어 있다. == 파생형 == [include(틀:크로스본 건담)] * '''목성 결전 사양''' [[파일:비기나 기나 II.jpg|width=400]] [[코스모 바빌로니아 제국]]과의 전쟁시에 노획한 본 기체에 [[쿼바제]]의 각종 파츠들을 덧붙여 만든 개조형 기체로, 파일럿은 전 [[목성 제국]] [[에이스]] [[파일럿]]인 [[기리 가듀카 아스피스]]이다. 강철의 7인 시점에서 그가 타고 있던 양산형 쿼바제는 이미 구식 기체가 된 데다가 목성과의 공업 규격의 차이때문에 부품 수급에 문제가 생겨 그마저도 제대로 된 성능을 낼 수 없게 되자 아예 쿼바제의 부품을 달아서 그 비슷한 느낌을 내게 한 것. 기본적인 부분은 오리지널과 동일하지만 자잘한 마이너 튜닝을 통해 소체 자체의 성능도 조금 더 강화되었고, 쿼바제의 스네이크 핸드를 억지로 끼워넣는 바람에 빔 실드가 제외된 것이 외견상의 가장 큰 차이점. 그 대신 [[빔 사벨]]을 [[마개조]]해 만든 빔 커터 겸용 빔 실드를 달고 있다. == 모형화 == === 건프라 === ==== RE/100[anchor(리백)] ==== ||<-2>
[[파일:RE100_Vigina-Ghina_II.jpg|width=100%]] || || 등급 || [[RE/100]] || || 스케일 || 1/100 || || 발매 || 2019년 5월 31일 || || 가격 || 3,700엔 || || 링크 || [[https://bandai-hobby.net/item/3197/|제품 페이지]] || || 리뷰 || [[http://dalong.net/reviews/etc/re12/re12_p.htm|달롱넷]] / [[https://youtu.be/6LOKMYPw9lU|건담홀릭]] || 2019년 2월, [[RE/100]]으로의 상품화가 발표되었다. 마이너한 기체이기도 하고 앞서 제품화된 비기나 기나의 후속 기체라는 점도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프리미엄 반다이 한정으로 발매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의외로 일반판으로 발매되었다. 전반적으로 비기나 기나에서 변경된 디자인을 잘 재현했다는 평가이다. 다만, 일부 포인트들은 재현이 안되어 있어 부분 도색이 필요하고, 붉은색 파츠의 사출색이 다소 싸구려 느낌이 난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 RE/100 한정판[anchor(리백한정)] ===== * {{{#!wiki style="display:inline; padding:2px 3px; border:1px solid; border-radius:5px; border-color:#F6CF1D; background:#333333; font-size:.9em" {{{#F6CF1D '''프리미엄 반다이 한정'''}}}}}} '''목성 결전 사양''' [[파일:RE/100 비기나 기나 II 목성결전사양 박스아트.jpg|width=400]] * 2021년 4월 발매, 가격 4,200엔. * 리뷰 : [include(틀:국내 건프라 리뷰 표시)] [[http://www.dalong.net/reviews/cg/cgre16/cgre16_p.htm|달롱넷]] | [include(틀:해외 건프라 리뷰 표시)] [[http://schizophonic9.com/re7/re_vignajupiter.html|#1]], [[http://gundamsblog.net/ガンプラ/re-100-ビギナ・ギナii(木星決戦仕様)|#2]], [[https://kirinstation.at.webry.info/202104/article_39.html|#3]] 신규 조형의 스네이크 핸드와 샷 랜서용 무장 손과 액션 베이스 및 투명 클리어의 보조 베이스가 추가됐다. == 게임에서의 비기나 기나 II == * [[SD건담 G제네레이션 시리즈]]에서 원래 소체는 F91-MSV쪽으로, 목성 결전 사양이 [[기동전사 크로스본 건담]] 쪽으로 참전하고 있다. [[SD건담 G제네레이션 WORLD]]에 첫 등장했으며 이 때는 강철의 7인 버전 기리가 불참했으나, [[SD건담 G제네레이션 OVER WORLD]]에 강철의 7인 버전까지 참전하면서 비로소 파일럿과 기체가 전부 등장하게 되었다. 참고로 탑재하고 있는 [[핵미사일]]은 원작에서는 그냥 자폭하는 데만 써먹었지만, 실제로는 제대로 된 미사일 병기로 써먹을 수도 있다. [[SD건담 G제네레이션 시리즈]]에서 맵병기로 구현되면서 설정을 보완. * [[기동전사 건담 EXTREME VS]]에서도 크로스본 건담 X1 풀클로스의 각성기로 구현되었는데, 원작을 재현해 핵미사일 품고 자폭하는 걸로 나온다. 이후 [[기동전사 건담 EXTREME VS 2 X BOOST]]에서 단독기체로 참전하였다. [[분류:우주세기/모빌슈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