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자(한자)|정자]] ||秘佛 || || [[신자체]] ||秘仏 || || [[파일:external/www.bell.jp/1113-02.jpg|width=100%]] || || [[호류지]] [[몽전]] 구세관음상 || [목차] == 개요 == [[일본 불교]]의 [[절(불교)|사찰]]에서 모신 [[불상]] 중 특정한 때에만 공개하고 평소에는 공개하지 않는 [[불상]]이다. [[밀교(불교)|밀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헤이안 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몇몇 비불 중에는 '''절대 공개하지 않는''' 것도 있다. [[티베트 불교]]에서는 개인적인 밀교수행용으로 제작한 [[불상]]을 남이 보지 못하게 하는 경우는 있지만, 사찰에 봉안한 불상을 신도들이 보지 못하도록 막는 법은 없다고 한다. 이러한 비불은 [[일본 불교]]만의 관습인 것 같다. == 유명한 비불 == 아래의 표들은 공개 날짜순으로 정렬되었다. '중문'은 [[중요문화재]]를 가리킨다. === 매년 봄, 가을 일정 기간에 공개 === ||<:> 비불||<:>소재지||<:> 사찰||<:> 지정 사항||<:> 공개 기간|| ||<#FFFFC2>[[길상천]] 입상(吉祥天立像)||<#FFFFE6><:> [[교토부|교토]]||조루리지(浄瑠璃寺)||<(>중문 조각 제1071호||<#FFFFFB><(>[[1월 1일]]~[[1월 15일]][br][[3월 21일]]~[[5월 20일]][br][[10월 1일]]~[[11월 30일]]|| ||<#FFFFC2>[[애염명왕]] 좌상(愛染明王坐像)||<#FFFFE6><:> [[나라현|나라]]||사이다이지(西大寺)||<(>중문 조각 제1614호||<#FFFFFB><(>1월 중~2월 초[br]10월 말~11월 초|| ||<#FFFFC2>십일면관음 입상(十一面観音立像)||<#FFFFE6><:> 나라||홋케지(法華寺)||<(>[[일본의 국보|국보]] 조각 제14호||<#FFFFFB><(>3월 말~4월 초[br]6월 초[br]10월 말~11월 초|| ||<#FFFFC2>[[관음보살]] 입상(観音菩薩立像)[br]통칭 '구세관음(救世観音)'[* [[백제]] [[위덕왕]]이 아버지 [[성명왕]]의 모습을 본떠서 만든 것이라고 일본의 13세기 문헌인 《성예초(聖譽鈔)》에 기록되어 있다.[[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5334|#]]]||<#FFFFE6><:> 나라||[[호류지]](法隆寺)||<(>국보 조각 제22호||<#FFFFFB><(>[[4월 11일]]~[[5월 18일]][br][[10월 22일]]~[[11월 22일]]|| ||||||||||<#FFFFFB>[[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width=900&height=1]]|| === 매월 1회 특정일에 공개 === ||<:> 비불||<:>소재지||<:> 사찰||<:> 지정 사항||<:> 공개 기간|| ||<#FFFFC2>천수관음 좌상(千手観音坐像)||<#FFFFE6><:> [[오사카부|오사카]]||후지이데라(葛井寺)||<(>국보 조각 제53호||<#FFFFFB><(>매월 18일|| ||<#FFFFC2>십일면관음 입상(十一面観音立像)||<#FFFFE6><:> 오사카||도묘지(道明寺)||<(>국보 조각 제54호||<#FFFFFB><(>매월 18일·25일 [br] [[1월 1일]]~[[1월 3일]]|| ||||||||||<#FFFFFB>[[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width=900&height=1]]|| === 1년에 1일 또는 며칠만 공개 === ||<:> 비불||<:>소재지||<:> 사찰||<:> 지정 사항||<:> 공개 기간|| ||<#FFFFC2>[[쇼토쿠 태자]] 좌상(聖徳太子坐像)[br]야마시로왕 좌상(山背王坐像)[br]에구리왕 좌상(殖栗王坐像)[br]소마로왕 좌상(卒末呂王坐像) [br][[혜자]]법사 좌상(恵慈法師坐像)||<#FFFFE6><:> 나라||[[호류지]](法隆寺)||<(>국보 조각 제61호||<#FFFFFB><(>[[3월 22일]]~[[3월 24일]]|| ||<#FFFFC2>여의륜관음 입상(如意輪観音坐像)||<#FFFFE6><:> 오사카||간신지(観心寺)||<(>국보 조각 제5호||<#FFFFFB><(>[[4월 17일]]~[[4월 18일]]|| ||<#FFFFC2>감진화상 좌상(鑑眞和上坐像)||<#FFFFE6><:> 나라||도쇼다이지(唐招提寺)||<(>국보 조각 제19호||<#FFFFFB><(>[[6월 5일]]~[[6월 7일]]|| ||<#FFFFC2>대원수명왕 입상(大元帥明王立像)||<#FFFFE6><:> 나라||아키시노데라(秋篠寺)||<(>중문 조각 제1636호||<#FFFFFB><(>[[6월 6일]]|| ||<#FFFFC2>조겐상인 좌상(俊乗上人坐像)||<#FFFFE6><:> 나라||[[도다이지]](東大寺)||<(>국보 조각 제8호||<#FFFFFB><(>[[7월 5일]][br][[12월 16일]]|| ||<#FFFFC2>소교하치만 좌상(僧形八幡神坐像)||<#FFFFE6><:> 나라||도다이지(東大寺)||<(>국보 조각 제104호||<#FFFFFB><(>[[10월 5일]]|| ||<#FFFFC2>불공견삭관음 좌상(不空羂索観音坐像)||<#FFFFE6><:> 나라||고후쿠지(興福寺)||<(>국보 조각 제56호||<#FFFFFB><(>[[10월 17일]]|| ||<#FFFFC2>석가삼존 좌상(釈迦三尊坐像)||<#FFFFE6><:> 나라||호류지(法隆寺)||<(>국보 조각 제20호||<#FFFFFB><(>[[11월 1일]]~[[11월 3일]]|| ||<#FFFFC2>쇼토쿠 태자 입상(聖徳太子立像)||<#FFFFE6><:> 교토||고류지(広隆寺)|| ||<#FFFFFB><(>[[11월 22일]]|| ||<#FFFFC2>[[약사여래]] 입상(薬師如来立像)||<#FFFFE6><:> 교토||고류지(広隆寺)||<(>중문 조각 제919호||<#FFFFFB><(>[[11월 22일]]|| ||<#FFFFC2>홋케도 집금강신 입상(法華堂 執金剛神立像)||<#FFFFE6><:> 나라||도다이지(東大寺)||<(>국보 조각 제6호||<#FFFFFB><(>[[12월 16일]]|| ||<#FFFFC2>료벤승정 좌상(良弁僧正坐像)||<#FFFFE6><:> 나라||도다이지(東大寺)||<(>국보 조각 제7호||<#FFFFFB><(>[[12월 16일]]|| ||||||||||<#FFFFFB>[[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width=900&height=1]]|| === 수년~수십년마다 공개 === ||<:> 비불||<:>소재지||<:> 사찰||<:> 지정 사항||<:> 공개 기간|| ||<#FFFFC2>[[아미타불|아미타]]삼존 입상(阿弥陀三尊立像)||<#FFFFE6><:> [[나가노현|나가노]]||모토젠코지(元善光寺)|| ||<#FFFFFB><(>7년마다|| ||<#FFFFC2>십일면관음 입상(十一面観音立像)||<#FFFFE6><:> [[교토부|교토]]||로쿠하라미츠지(六波羅蜜寺)||<(>국보 조각 제123호||<#FFFFFB><(>진년(辰年)인 해[* 즉 12년에 1번.]|| ||<#FFFFC2>[[미륵불]] 좌상(弥勒仏坐像)||<#FFFFE6><:> [[와카야마현|와카야마]]||지손인(慈尊院)||<(>국보 조각 제109호||<#FFFFFB><(>21년에 1번|| ||<#FFFFC2>마두관음 좌상(馬頭観音坐像)||<#FFFFE6><:> [[후쿠이현|후쿠이]]||나카야마데라(中山寺)|| ||<#FFFFFB><(>33년에 1번|| ||<#FFFFC2>여의륜관음 좌상(如意輪観音坐像)||<#FFFFE6><:> [[시가현|시가]]||이시야마데라(石山寺)||<(>중문 조각 제910호||<#FFFFFB><(>33년에 1번 [br] [[천황]] 즉위년 [br]특별한 행사가 있는 해[br](최근 공개 : [[2009년]], [[2016년]])|| ||<#FFFFC2>여의륜관음 좌상(如意輪観音坐像)||<#FFFFE6><:> 시가||온조지(園城寺)||<(>중문 조각 제3026호||<#FFFFFB><(>33년에 1번|| ||<#FFFFC2>천수관음 입상(千手観音立像)||<#FFFFE6><:> 교토||[[기요미즈데라]](清水寺)|| ||<#FFFFFB><(>33년에 1번|| ||||||||||<#FFFFFB>[[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width=900&height=1]]|| === 공개 시기 불특정 === 공개 시기가 불특정한 비불 가운데는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일반에 공개되지 않았거나, 이런 식으로 비공개를 고수하다가 사찰에 화재가 발생해 그대로 소실된 불상도 있다. ||<:> 비불||<:>소재지||<:> 사찰||<:> 지정 사항||<:> 공개 기간|| ||<#FFFFC2>일자금륜 좌상(一字金輪坐像)||<#FFFFE6><:>[[이와테현|이와테]]||주손지(中尊寺)||<(>중문 조각 제9호||<#FFFFFB>[[2012년]]|| ||<#FFFFC2>부동명왕상(不動明王像)[br]이동자상(二童子像)||<#FFFFE6><:>[[치바현|치바]]||나리타산 신쇼지[br](成田山新勝寺)||<(>중문 조각 제3170호||<#FFFFFB><(>[[에도 시대]] 이후 공개 기록 없음|| ||<#FFFFC2>성관음상(聖観音像)||<#FFFFE6><:>[[도쿄도|도쿄]]||센소지(浅草寺)|| ||<#FFFFFB><(>'''공개된 적 단 한 번도 없음'''|| ||<#FFFFC2>약사삼존 입상(薬師三尊立像)||<#FFFFE6><:>도쿄||간에이지(寛永寺)||<(>중문 조각 제3047호||<#FFFFFB>[[2006년]]|| ||<#FFFFC2>아미타삼존 입상(阿弥陀三尊立像)[* 백제 성명왕이 노리사치계를 보내 왜에 처음으로 '불교'를 전할 때 불경과 함께 보낸 불상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젠코지 자체는 642년에 건립.]||<#FFFFE6><:>[[나가노]]||젠코지(善光寺)|| ||<#FFFFFB><(>본존불 : '''공개된 적 단 한 번도 없음'''[br]협시불 : 6년에 1번씩 공개|| ||<#FFFFC2>아미타삼존상(阿弥陀三尊像)||<#FFFFE6><:>[[야마나시현|야마나시]]||가이젠코지(甲斐善光寺)||<(>중문 조각 제1065호||<#FFFFFB>|| ||<#FFFFC2>약사여래 입상(薬師如来立像)||<#FFFFE6><:>[[시가현|시가]]||엔랴쿠지(延暦寺)|| ||<#FFFFFB><(>[[2006년]]|| ||<#FFFFC2>미륵보살상(弥勒菩薩像)||<#FFFFE6><:>시가||온조지(園城寺)|| ||<#FFFFFB><(>'''공개된 적 단 한 번도 없음'''|| ||<#FFFFC2>엔친 좌상(円珍坐像) (中尊大師)||<#FFFFE6><:>시가||온조지(園城寺)||<(>국보 조각 제46호||<#FFFFFB><(>엔친의 기일인 [[10월 29일]]에 공개|| ||<#FFFFC2>엔친 좌상(円珍坐像) (御骨大師)||<#FFFFE6><:>시가||온조지(園城寺)||<(>국보 조각 제47호||<#FFFFFB><(>2014년 가을 공개|| ||<#FFFFC2>신라명신 좌상(新羅明神坐像)[* 일본 [[헤이안 시대]]의 승려 [[엔닌]]에게 큰 도움을 줬던 [[장보고]]의 실제 모습을 본딴 것이라는 설이 있다.]||<#FFFFE6><:>시가||온조지(園城寺)||<(>국보 조각 제98호||<#FFFFFB><(>특별전 때 몇 차례 공개|| ||<#FFFFC2>부동명왕상(不動明王像)||<#FFFFE6><:>시가||온조지(園城寺)|| ||<#FFFFFB><(>특별전 때 몇 차례 공개|| ||<#FFFFC2>약사여래 좌상(薬師如来坐像)||<#FFFFE6><:>시가||젠스이지(善水寺)||<(>중문 조각 제3168호||<#FFFFFB><(>[[2005년]]|| ||<#FFFFC2>부동명왕 좌상(不動明王坐像)||<#FFFFE6><:>[[교토부|교토]]||[[도지]](東寺)||<(>국보 조각 제92호||<#FFFFFB><(>학술조사 외의 공개 기록 없음|| ||<#FFFFC2>약사여래 좌상(薬師如来坐像)||<#FFFFE6><:>교토||닌나지(仁和寺)||<(>국보 조각 제117호||<#FFFFFB><(>[[1986년]] 학술조사 때 최초 공개|| ||<#FFFFC2>허공장보살상(虚空蔵菩薩像)||<#FFFFE6><:>교토||호린지(法輪寺)|| ||<#FFFFFB><(>[[다이쇼 덴노]] 친견 이후 공개 기록 없음|| ||<#FFFFC2>십일면관음 입상(十一面観音立像)||<#FFFFE6><:>[[나라현|나라]]||[[도다이지]](東大寺)|| ||<#FFFFFB><(>'''공개된 적 단 한 번도 없음'''|| ||<#FFFFC2>장왕권현 입상(蔵王権現立像) 3점||<#FFFFE6><:>나라||긴푸센지(金峯山寺)||<(>중문 조각 제946호||<#FFFFFB><(>큰 행사 때만 공개|| ||<#FFFFC2>약사여래상(薬師如来像)||<#FFFFE6><:>[[와카야마현|와카야마]]||곤고부지(金剛峯寺)|| ||<#FFFFFB><(>과거의 비불 : [[1926년]] 소실[* 소실될 때까지 '''공개된 적 단 한 번도 없음'''][br]현재의 비불 : [[2015년]] 최초 공개|| ||<#FFFFC2>천수관음상(千手観音像)||<#FFFFE6><:>와카야마||고카와데라(粉河寺)|| ||<#FFFFFB><(>'''공개된 적 단 한 번도 없음'''|| ||||||||||<#FFFFFB>[[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width=900&height=1]]|| == 창작물에서 == * [[마리아님이 보고 계셔]]: [[니죠 노리코]]가 [[릴리안 여학원]] 고등부에 입학하게 된 계기. [[불상]] 애호가인 노리코의 제1지망 고등학교 입학시험일 전날이, 하필 [[교토부|교토]]의 어느 [[절(불교)|절]]에서 비불을 20년마다 1번씩 공개하는 날이었던 것. 노리코는 '빨리 다녀오면 괜찮겠지'라고 생각하고는 교토로 향했지만, 집([[치바현]])으로 돌아오는 길에 [[폭설]]이 내려 [[신칸센]]이 멈추고 결국 ~~[[노쇼]]~~ 결시(缺試)하고 만다. 결국 노리코는 본래 가고 싶었던 고등학교 대신, 고모할머니 니죠 스미레코(二條菫子)의 권유로 입시를 치러 합격해 두었던 릴리안 여고에 입학하게 된다. * [[명탐정 코난: 미궁의 십자로]]: 작중 교토에 있는 가공의 사찰 산노지(山能寺)에서 10년에 한번 공개하는 비불 약사여래상이 도적단에 의해 도난당하고, 이 비불이 사건의 중심이 된다. [[분류:일본의 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