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vistavision.jpg]] VistaVision [목차] == 개요 == 1954년 미국의 [[파라마운트 픽처스]] 사가 [[텔레비전]]의 광범위한 보급과 [[20세기 폭스]] 사의 [[시네마스코프]] 포맷에 대응하기 위하여 만든 '''1.66:1''' 혹은 '''1.85:1''' [[화면비율]]의 와이드스크린 상영 방식이다. 비스타 사이즈라고도 부른다. 특수하게 제작된 비스타비전 필름[* 표준 35mm 필름의 이미지 프레임 두 장을 각각 90도씩 돌려 가로로 붙인 형태이다.]을 수평으로 작동시키는 전용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한 후, 이것을 표준 [[35mm 필름]]에 맞게 축소 인화하여 더욱 넓은 화면으로 영사한다.[* 필름을 수평으로 돌리며 촬영하는 이 방식은 나중에 [[아이맥스]] 필름 카메라에서 응용되었다.] 이 포맷으로 촬영된 최초의 영화는 1954년에 개봉한 <화이트 크리스마스>이다. 또한 [[알프레드 히치콕]]이 [[현기증]],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에 사용하여 끝내주는 화질을 보여주기도 했다. 하지만 이내 65mm 필름을 사용하는 울트라 파나비전 70이 등장했고, 화질과 사운드 둘 다 압살당하면서 비스타비전은 매우 빠른 몰락의 길을 걷는다. == 현황 == 비스타비전 시스템은 촬영 단계에서만 특수 필름을 사용하고 상영 시에는 기존의 필름을 그대로 사용했기 때문에, 극장에서 관객이 실질적인 해상력 차이를 느끼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게다가 단순 마스킹을 통해 1.85:1의 비율을 만드는 플랫(Flat) 와이드스크린 방식이 제작비가 훨씬 저렴하다는 것도 문제였다.[* 시네마스코프 화면비인 2.35:1도 마스킹을 통해 만들려면 만들 수 있었으나 그만큼 화면을 많이 확대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럴 경우 필름 입자의 크기도 같이 커져서 화면이 상당이 거칠어 보이게 된다.] 게다가 필름 사용이 크게 줄어든 지금은 사실상 사장된 포맷이 되었다. 마지막 비스타비전 영화는 [[말론 브란도]] 주연의 [[원 아이드 잭]](1961)이다. [[Dolby Cinema]]의 표준 스크린 규격이 비스타 비전 1.85:1의 비율이다. 국내에서는 [[스타필드 코엑스|건물 구조]] 상 불가피하게 [[시네마스코프]] 비율의 스크린이 설치된 [[메가박스 코엑스|코엑스 돌비 시네마]]를 제외한 모든 돌비 시네마관에 비스타 비전 비율의 스크린이 설치되어있다. === 특수효과 촬영에서의 제한적 사용 === 영화 자체를 비스타비전으로 만드는 것은 곧 사장되었으나, [[ILM]]이 [[조지 루카스]]의 [[스타워즈 시리즈]]의 특수효과를 만들면서 비스타비전 필름을 사용하게 된다. 이는 비스타비전이 해상도가 높고 필름 노이즈가 적어서 특수효과 합성 등을 할때 기존의 35mm보다 유리하기 때문이였다.[* 같은 이유로, 65mm도 특수효과에 쓰이는 일이 이후에 있었다.] 이 방법은 스타워즈 이후에도 쓰이게 되고[* 이런 방식은 오리지널 스파이더맨 시리즈에까지 쓰인다. 이쪽은 비스타비전/65mm 병용.], 이로써 비스타비전은 특수효과 촬영에 한해 부활하게 된다. 그러나, 디지털 촬영의 시대가 오면서 이런 이점도 디지털 카메라에 밀려버렸고, 현재 [[필름]]을 굳이 쓰는 감독들[* [[폴 토마스 앤더슨]], [[카우보이의 노래]] 이전 [[코엔 형제]], [[크리스토퍼 놀란]], [[쿠엔틴 타란티노]] 등]은 애초에 특수효과를 잘 안 쓰는 성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현재는 비스타비전이 쓰일 일은 없어지게 되었다. 오히려, [[쥬라기 월드]], 새 [[스타워즈 시리즈]]에서 65mm가 부분적으로 쓰이고 [[마스터(영화)|마스터]]와 [[헤이트풀 에이트]]는 본격적으로 65mm로 찍으면서 65mm의 활용이 조금이나마 늘어난 상황이다. 참고로 65mm 필름은 1시간만 촬영해도 1000만원 이상이 깨지는 엄청나게 비싼 필름이다. [[https://www.newsshooter.com/2018/05/05/magellan-65mm-the-lightest-and-most-compact-65mm-film-camera-on-earth/|#]] == 화면비 == 필름 상영이 거의 사라지고 DCP를 사용한 디지털 상영이 주류가 된 지금은 화면비만 살아남았고, 플랫(Flat)이란 이름으로 스코프(2.39:1)와 함께 가장 널리 쓰이는 DCP 표준 컨테이너이자 스크린 화면비가 되었다. 이에 따라 요즘 대부분의 영화들도 플랫 혹은 스코프로 촬영한다. 관례적으로는 여전히 비스타비전이라 불리며 [* 때문에 일본에서 1.85:1 화면비를 지칭할때 비스타라는 용어를 쓴다.] 훗날 HD 기본 화면비로 정착한 1.78:1와 묶어서 부르는 경향이 있다. 주로 시각적으로 복잡함을 요구하지 않는 드라마 장르에서 애용하는 비율이다. 영화계에서는 90년대까지는 많이 사용했으나, 2000년대 이후로는 흔히 쓰이는 2.39:1 비율에 많이 밀려서 인기가 없는 화면비였다. 하지만 OTT 시장의 활성화와 더불어서, 영화관에서 많이 찾는 [[아이맥스]]와 비슷하게 와이드한 비율이라서, 2:1 비율과 같이 2020년대 들어서 영화계에서 다시 많이 쓰이는 화면비다. 요즘은 드라마 장르 말고도 다양하게 많이 쓰이는 편이다. == 비스타비전을 사용한 영화 == *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1958년 영화 <[[현기증(미국 영화)|현기증]]>이 비스타비전으로 제작되었다.[* 특히 비스타비전 카메라로 잡아낸 "Zoon-in & Track-Out"은 유명하다.] *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2010년작 영화 <[[인셉션]]>의 일부 시퀀스에서 비스타비전 카메라가 사용된 바 있다. * [[설국열차(영화)|설국열차]]도 비스타비전 화면비로 상영되었다. * [[라이온 킹(2019)|라이온 킹 실사판]]에서 기본 화면비로 쓰였다.[* IMAX 디지털은 23분이 1.90:1, IMAX GT 레이저는 23분이 1.90:1/1.43:1의 화면비로 상영되었다.] * [[조커(2019)|2019년 영화 조커]]도 비스타비전 화면비가 사용되었다. * [[우민호]] 감독의 영화 <[[내부자들(영화)|내부자들]]>, <[[남산의 부장들]]>도 비스타비전 비율로 상영되었다. * [[길복순]]도 비스타비전 화면비로 상영하였다. [[분류:영화 상영 플랫폼]]